[앵커PICK] 기후에너지부 약속 어디로…“멈춰선 정책 시계”

입력 2025.08.19 (19:04)

수정 2025.08.19 (19:18)

[앵커]

앵커가 주목한 뉴스, 앵커픽 시간입니다.

기후 위기가 가속화되면서 이재명 정부는 기후에너지부를 만들겠다고 약속했죠.

하지만 정부 국정과제에는 이 공약이 포함되지 않았는데요.

기대와 달리 신설이 차일피일 미뤄지면서 기후에너지부의 전남 유치는 물론 전남이 역점적으로 추진하는 신재생에너지 관련 사업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빨라지는 기후 시계, 멈춰선 정책 시계', 오늘의 앵커픽으로 준비했습니다.

[리포트]

폭염과 극한호우가 반복되며 기후 위기를 온몸으로 체감하게 한 올 여름.

이재명 정부의 대표 기후 공약인 '기후에너지부 신설'이 더 주목받는 이유입니다.

하지만 정부 출범 3개월이 다 되도록 구체적 방안은 안 나오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에너지 정책을 산업부에서 떼어 내는 것에 대해 여당 내부에서도 반발이 나왔습니다.

[이언주/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8월 11일 : "산업과 에너지를 섣불리 분리하는 것은 곧 글로벌 산업 경쟁력, 국가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 한 부서 안에서 견제와 촉진이 두 개가 공존하는 것이 가능할 것인가."]

지난 13일 발표된 국정과제에도 기후에너지부 신설이 반영되지 않으면서 공약 무산 우려마저 제기됐습니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우려를 일축하고 나섰지만 정부 조직 개편과 맞물려 있어서 신설이 언제 구체화될지는 미지수입니다.

[김성환/환경부 장관/어제/국회 기후위기특별위원회 회의 : "큰 틀의 대강은 대통령실과 국정기획위원회 간의 협의가 있었던 것으로 알고, 대통령실이 책임있게 마지막 미세 조정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일찌감치 기후에너지부 유치전에 뛰어든 전남 역시 동향을 주시 중입니다.

새로운 부를 만들지 않고, 환경부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조직 개편이 이뤄질 경우 유치 자체가 어려울 수도 있는 상황.

기후에너지부 신설이 차질을 빚으면, 'RE100 산단'과 '에너지고속도로' 등 전남 중심으로 추진돼야 할 관련 사업이 자칫 삐그덕거리는 것 아니냐는 걱정도 있습니다.

믿는 구석은 여당 대표의 약속입니다.

[정청래/더불어민주당 대표/7월 22일 당시 후보 : "대통령과 상의를 해서 대통령께 호남 발전을 위해서 기후에너지부 호남 이전에 대해서 전향적으로 검토해주실 것을 건의드릴 예정입니다."]

부처 신설과 입지에 정무적 판단이 들어갈 수밖에 없는 만큼 단체장과 지역 정치권의 적극적 노력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오늘의 앵커픽이었습니다.

영상편집:이성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광주 - 주요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