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북한의 핵 실험 추정지역을 촬영한 미국 위성사진이 공개됐습니다.
별다른 지형변화가 눈에 띄지 않아 폭발규모가 당초 추정보다 훨씬 약했던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홍사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핵 실험 발표가 있은지 나흘 뒤 미국의 위성이 촬영한 함경북도 풍계리 지역 사진입니다.
지하 실험지로 추정되는 갱도 입구가 무너지지 않고 온전한 상태입니다.
핵 실험 발표 이틀 전에 촬영된 사진과 비교해 봐도 주변 지형에 별다른 변화가 눈에 띄지 않습니다.
폭탄의 최종 조립이 이뤄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연구 건물들도 전혀 변화가 없습니다.
주변 전체 지형을 봐도 보통 핵 실험 때 나타나는 거대한 원형의 지반 함몰 흔적은 없습니다.
원자력 전문가들은 폭발의 규모가 당초 추정했던 것 보다 훨씬 작았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터뷰> 장순흥 (KAIST 원자력공학과 교수): "200 톤에서 최대 800 톤이라 했는데 200 톤 쪽에 가까울 것이란 생각..."
플루토늄 폭탄은 터뜨리는 기술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북한의 기술 수준으로 봐서 전체 플루토늄의 0.2 % 정도 만이 터졌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터지는 플루토늄 양이 10 % 이상 돼야 핵 무기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번 핵 실험의 규모가 작았다 하더라도 완전한 실패라고 보긴 어렵다고 전문가들은 말하고 있습니다.
플루토늄을 초기 단계까지라도 일단 분열시켰다는 게 중요하다는 진단입니다.
<인터뷰>장순흥 (KAIST 원자력공학과 교수): "핵 폭발은 성공, 다만 폭발력에 대해선 생각했던 것보단 실패한 것으로....."
따라서 전문가들은 북한이 플루토늄의 폭발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추가로 핵 실험에 나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지난 98 년 인도와 파키스탄도 초기 핵 실험의 보완 작업을 위해 4차례 씩 추가 핵 실험을 실시했습니다.
KBS 뉴스 홍사훈입니다.
북한의 핵 실험 추정지역을 촬영한 미국 위성사진이 공개됐습니다.
별다른 지형변화가 눈에 띄지 않아 폭발규모가 당초 추정보다 훨씬 약했던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홍사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핵 실험 발표가 있은지 나흘 뒤 미국의 위성이 촬영한 함경북도 풍계리 지역 사진입니다.
지하 실험지로 추정되는 갱도 입구가 무너지지 않고 온전한 상태입니다.
핵 실험 발표 이틀 전에 촬영된 사진과 비교해 봐도 주변 지형에 별다른 변화가 눈에 띄지 않습니다.
폭탄의 최종 조립이 이뤄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연구 건물들도 전혀 변화가 없습니다.
주변 전체 지형을 봐도 보통 핵 실험 때 나타나는 거대한 원형의 지반 함몰 흔적은 없습니다.
원자력 전문가들은 폭발의 규모가 당초 추정했던 것 보다 훨씬 작았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터뷰> 장순흥 (KAIST 원자력공학과 교수): "200 톤에서 최대 800 톤이라 했는데 200 톤 쪽에 가까울 것이란 생각..."
플루토늄 폭탄은 터뜨리는 기술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북한의 기술 수준으로 봐서 전체 플루토늄의 0.2 % 정도 만이 터졌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터지는 플루토늄 양이 10 % 이상 돼야 핵 무기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번 핵 실험의 규모가 작았다 하더라도 완전한 실패라고 보긴 어렵다고 전문가들은 말하고 있습니다.
플루토늄을 초기 단계까지라도 일단 분열시켰다는 게 중요하다는 진단입니다.
<인터뷰>장순흥 (KAIST 원자력공학과 교수): "핵 폭발은 성공, 다만 폭발력에 대해선 생각했던 것보단 실패한 것으로....."
따라서 전문가들은 북한이 플루토늄의 폭발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추가로 핵 실험에 나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지난 98 년 인도와 파키스탄도 초기 핵 실험의 보완 작업을 위해 4차례 씩 추가 핵 실험을 실시했습니다.
KBS 뉴스 홍사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핵실험 추정지, “지형 변화 없다”
-
- 입력 2006-10-18 21:06:22
<앵커 멘트>
북한의 핵 실험 추정지역을 촬영한 미국 위성사진이 공개됐습니다.
별다른 지형변화가 눈에 띄지 않아 폭발규모가 당초 추정보다 훨씬 약했던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홍사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핵 실험 발표가 있은지 나흘 뒤 미국의 위성이 촬영한 함경북도 풍계리 지역 사진입니다.
지하 실험지로 추정되는 갱도 입구가 무너지지 않고 온전한 상태입니다.
핵 실험 발표 이틀 전에 촬영된 사진과 비교해 봐도 주변 지형에 별다른 변화가 눈에 띄지 않습니다.
폭탄의 최종 조립이 이뤄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연구 건물들도 전혀 변화가 없습니다.
주변 전체 지형을 봐도 보통 핵 실험 때 나타나는 거대한 원형의 지반 함몰 흔적은 없습니다.
원자력 전문가들은 폭발의 규모가 당초 추정했던 것 보다 훨씬 작았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터뷰> 장순흥 (KAIST 원자력공학과 교수): "200 톤에서 최대 800 톤이라 했는데 200 톤 쪽에 가까울 것이란 생각..."
플루토늄 폭탄은 터뜨리는 기술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북한의 기술 수준으로 봐서 전체 플루토늄의 0.2 % 정도 만이 터졌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터지는 플루토늄 양이 10 % 이상 돼야 핵 무기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번 핵 실험의 규모가 작았다 하더라도 완전한 실패라고 보긴 어렵다고 전문가들은 말하고 있습니다.
플루토늄을 초기 단계까지라도 일단 분열시켰다는 게 중요하다는 진단입니다.
<인터뷰>장순흥 (KAIST 원자력공학과 교수): "핵 폭발은 성공, 다만 폭발력에 대해선 생각했던 것보단 실패한 것으로....."
따라서 전문가들은 북한이 플루토늄의 폭발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추가로 핵 실험에 나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지난 98 년 인도와 파키스탄도 초기 핵 실험의 보완 작업을 위해 4차례 씩 추가 핵 실험을 실시했습니다.
KBS 뉴스 홍사훈입니다.
-
-
홍사훈 기자 aristo@kbs.co.kr
홍사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북핵 6자회담 타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