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추적] 돈 빼돌리는 ‘장애인 자활센터’
입력 2006.11.03 (22:12)
수정 2006.11.03 (22: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오늘 현장추적에서는 한 장애인 복지단체의 비리를 고발합니다. 관리 감독이 허술한 틈을 타 쓰지도 않은 활동 보조인을 거짓으로 올려 돈을 떼먹고 있습니다.
수백억원이 투입된 사회적 일자리 창출 사업이 걷돌고 있는 것입니다.
박예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장애인 박모 씨는 지난해 인천의 한 장애인 복지센터에서 파견된 4명의 활동보조인으로부터 도움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복지센터 측은 석 달 만에 갑자기 집이 멀다는 이유로 파견을 중단했습니다.
박 씨에 대한 활동보조 일지입니다.
열 달 동안 15명의 활동보조인이 파견된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인터뷰> 박 OO (장애인) : "열 댓 명이 쫙 올라가 있더라구요. 확인을 한다고 그래서 전 네 분밖에 모른다. 받지도 않았는데 저를 이용한 거잖아요."
이 장애인 복지센터는 지난해 3월부터 '사회적 일자리'사업 지원금으로 1억 6천만 원을 받았습니다.
한 달 평균 열다섯 명의 활동보조인이 일한 것으로 노동부 고용지원센터에 보고했지만 실제 일한 사람은 절반도 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인터뷰> 활동보조인 : "(제가) 코디를 작년 12월까지 하면서 한 번도 이 사람들에 대한 얘기도 못 들어봤고 얼굴도 모르고 전화번호도 몰라요."
심지어 일도 하지 않은 곳에서 일했다고 기재하거나, 직원들 집에서 가사 활동을 도운 경우도 있습니다.
<인터뷰> 센터 사무국장 : "도서관에 보내서 자료를 수집하게 한다거나 ... 솔직히 말씀을 드리면 딱히 장애인 분들이 꽉 차 있지 않았다는 거죠."
하지만 관리감독 기관의 감사에서도 이 같은 비리는 드러나지 않았습니다.
<인터뷰> 고용지원센터 소장 : "한 분이 여러 업무를 맡고 있기 때문에 일일이 다 체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활동일지와 출근부를 증빙서류로 제출하도록 규정돼 있지만 조작할 경우 대책이 없습니다.
정부는 올해 사회적 일자리 창출 사업에 517억의 예산을 투입했습니다.
이 사업으로 430여 개 사업장에서 6천여 명이 혜택을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비양심적인 운영과 관리 감독 부실 속에 수백억 원의 세금이 새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박예원입니다.
오늘 현장추적에서는 한 장애인 복지단체의 비리를 고발합니다. 관리 감독이 허술한 틈을 타 쓰지도 않은 활동 보조인을 거짓으로 올려 돈을 떼먹고 있습니다.
수백억원이 투입된 사회적 일자리 창출 사업이 걷돌고 있는 것입니다.
박예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장애인 박모 씨는 지난해 인천의 한 장애인 복지센터에서 파견된 4명의 활동보조인으로부터 도움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복지센터 측은 석 달 만에 갑자기 집이 멀다는 이유로 파견을 중단했습니다.
박 씨에 대한 활동보조 일지입니다.
열 달 동안 15명의 활동보조인이 파견된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인터뷰> 박 OO (장애인) : "열 댓 명이 쫙 올라가 있더라구요. 확인을 한다고 그래서 전 네 분밖에 모른다. 받지도 않았는데 저를 이용한 거잖아요."
이 장애인 복지센터는 지난해 3월부터 '사회적 일자리'사업 지원금으로 1억 6천만 원을 받았습니다.
한 달 평균 열다섯 명의 활동보조인이 일한 것으로 노동부 고용지원센터에 보고했지만 실제 일한 사람은 절반도 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인터뷰> 활동보조인 : "(제가) 코디를 작년 12월까지 하면서 한 번도 이 사람들에 대한 얘기도 못 들어봤고 얼굴도 모르고 전화번호도 몰라요."
심지어 일도 하지 않은 곳에서 일했다고 기재하거나, 직원들 집에서 가사 활동을 도운 경우도 있습니다.
<인터뷰> 센터 사무국장 : "도서관에 보내서 자료를 수집하게 한다거나 ... 솔직히 말씀을 드리면 딱히 장애인 분들이 꽉 차 있지 않았다는 거죠."
하지만 관리감독 기관의 감사에서도 이 같은 비리는 드러나지 않았습니다.
<인터뷰> 고용지원센터 소장 : "한 분이 여러 업무를 맡고 있기 때문에 일일이 다 체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활동일지와 출근부를 증빙서류로 제출하도록 규정돼 있지만 조작할 경우 대책이 없습니다.
정부는 올해 사회적 일자리 창출 사업에 517억의 예산을 투입했습니다.
이 사업으로 430여 개 사업장에서 6천여 명이 혜택을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비양심적인 운영과 관리 감독 부실 속에 수백억 원의 세금이 새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박예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현장추적] 돈 빼돌리는 ‘장애인 자활센터’
-
- 입력 2006-11-03 21:30:41
- 수정2006-11-03 22:18:28
<앵커 멘트>
오늘 현장추적에서는 한 장애인 복지단체의 비리를 고발합니다. 관리 감독이 허술한 틈을 타 쓰지도 않은 활동 보조인을 거짓으로 올려 돈을 떼먹고 있습니다.
수백억원이 투입된 사회적 일자리 창출 사업이 걷돌고 있는 것입니다.
박예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장애인 박모 씨는 지난해 인천의 한 장애인 복지센터에서 파견된 4명의 활동보조인으로부터 도움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복지센터 측은 석 달 만에 갑자기 집이 멀다는 이유로 파견을 중단했습니다.
박 씨에 대한 활동보조 일지입니다.
열 달 동안 15명의 활동보조인이 파견된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인터뷰> 박 OO (장애인) : "열 댓 명이 쫙 올라가 있더라구요. 확인을 한다고 그래서 전 네 분밖에 모른다. 받지도 않았는데 저를 이용한 거잖아요."
이 장애인 복지센터는 지난해 3월부터 '사회적 일자리'사업 지원금으로 1억 6천만 원을 받았습니다.
한 달 평균 열다섯 명의 활동보조인이 일한 것으로 노동부 고용지원센터에 보고했지만 실제 일한 사람은 절반도 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인터뷰> 활동보조인 : "(제가) 코디를 작년 12월까지 하면서 한 번도 이 사람들에 대한 얘기도 못 들어봤고 얼굴도 모르고 전화번호도 몰라요."
심지어 일도 하지 않은 곳에서 일했다고 기재하거나, 직원들 집에서 가사 활동을 도운 경우도 있습니다.
<인터뷰> 센터 사무국장 : "도서관에 보내서 자료를 수집하게 한다거나 ... 솔직히 말씀을 드리면 딱히 장애인 분들이 꽉 차 있지 않았다는 거죠."
하지만 관리감독 기관의 감사에서도 이 같은 비리는 드러나지 않았습니다.
<인터뷰> 고용지원센터 소장 : "한 분이 여러 업무를 맡고 있기 때문에 일일이 다 체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활동일지와 출근부를 증빙서류로 제출하도록 규정돼 있지만 조작할 경우 대책이 없습니다.
정부는 올해 사회적 일자리 창출 사업에 517억의 예산을 투입했습니다.
이 사업으로 430여 개 사업장에서 6천여 명이 혜택을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비양심적인 운영과 관리 감독 부실 속에 수백억 원의 세금이 새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박예원입니다.
-
-
박예원 기자 air@kbs.co.kr
박예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