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 ①주택대출 금리 속속 인상
입력 2006.11.08 (22:16)
수정 2006.11.08 (22: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콜금리 조정을 하루 앞두고 시중 은행들이 일제히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올리기 시작했습니다.
금리인상으로 주택 매수세를 잡겠다는 것이지만 실효성과 부작용 논란이 만만치 않습니다.
집중취재 먼저 김현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이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0.2%에서 0.3% 포인트 인상하기로 했습니다.
집값을 잡으려는 정부의 노력이 반영된 결과라는 평가입니다.
실제로 금리가 오르면 주택 매수세가 꺾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지난해 상승한 집값의 거품을 측정해보니 이 거품의 70%는 저금리가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때문에 영국과 호주 등 많은 선진국들도 주택가격을 잡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는 방법을 써왔습니다.
<녹취>존 레이커(호주 금융감독청 의장) : "호주는 집값 상승에 대한 대안으로 금리를 조절하는 통화정책을 사용했습니다."
그러나 반대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습니다.
금리가 오르면 집값은 떨어질 수 있지만 소비를 위축시키고 주가를 떨어뜨리는데다 국내 통화 가치가 상승해 환율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조영무(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 : "금리는 단순히 부동산 가격뿐 아니라 소비 투자 환율 등 여러 경제 전반에 골고루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기 때문에 결정에 보다 신중해야 합니다."
또 금리를 올릴 경우 장기적으로 볼 때 집값 안정에 효과가 있겠느냐는 회의론적인 시각도 있습니다.
즉 금리가 오르면 시중에 풀린 돈은 줄어들지만 정부가 집값 안정의 확신을 심어주지 못하는 한 한 두차례의 금리 인상으로는 다시 부동산으로 몰리는 돈을 막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또 결국은 서민들의 이자 부담만 늘어나는 것 아니냐는 반론도 많아 논란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현경입니다.
콜금리 조정을 하루 앞두고 시중 은행들이 일제히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올리기 시작했습니다.
금리인상으로 주택 매수세를 잡겠다는 것이지만 실효성과 부작용 논란이 만만치 않습니다.
집중취재 먼저 김현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이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0.2%에서 0.3% 포인트 인상하기로 했습니다.
집값을 잡으려는 정부의 노력이 반영된 결과라는 평가입니다.
실제로 금리가 오르면 주택 매수세가 꺾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지난해 상승한 집값의 거품을 측정해보니 이 거품의 70%는 저금리가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때문에 영국과 호주 등 많은 선진국들도 주택가격을 잡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는 방법을 써왔습니다.
<녹취>존 레이커(호주 금융감독청 의장) : "호주는 집값 상승에 대한 대안으로 금리를 조절하는 통화정책을 사용했습니다."
그러나 반대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습니다.
금리가 오르면 집값은 떨어질 수 있지만 소비를 위축시키고 주가를 떨어뜨리는데다 국내 통화 가치가 상승해 환율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조영무(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 : "금리는 단순히 부동산 가격뿐 아니라 소비 투자 환율 등 여러 경제 전반에 골고루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기 때문에 결정에 보다 신중해야 합니다."
또 금리를 올릴 경우 장기적으로 볼 때 집값 안정에 효과가 있겠느냐는 회의론적인 시각도 있습니다.
즉 금리가 오르면 시중에 풀린 돈은 줄어들지만 정부가 집값 안정의 확신을 심어주지 못하는 한 한 두차례의 금리 인상으로는 다시 부동산으로 몰리는 돈을 막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또 결국은 서민들의 이자 부담만 늘어나는 것 아니냐는 반론도 많아 논란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현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취재] ①주택대출 금리 속속 인상
-
- 입력 2006-11-08 21:05:17
- 수정2006-11-08 22:18:16
<앵커 멘트>
콜금리 조정을 하루 앞두고 시중 은행들이 일제히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올리기 시작했습니다.
금리인상으로 주택 매수세를 잡겠다는 것이지만 실효성과 부작용 논란이 만만치 않습니다.
집중취재 먼저 김현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이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0.2%에서 0.3% 포인트 인상하기로 했습니다.
집값을 잡으려는 정부의 노력이 반영된 결과라는 평가입니다.
실제로 금리가 오르면 주택 매수세가 꺾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지난해 상승한 집값의 거품을 측정해보니 이 거품의 70%는 저금리가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때문에 영국과 호주 등 많은 선진국들도 주택가격을 잡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는 방법을 써왔습니다.
<녹취>존 레이커(호주 금융감독청 의장) : "호주는 집값 상승에 대한 대안으로 금리를 조절하는 통화정책을 사용했습니다."
그러나 반대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습니다.
금리가 오르면 집값은 떨어질 수 있지만 소비를 위축시키고 주가를 떨어뜨리는데다 국내 통화 가치가 상승해 환율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조영무(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 : "금리는 단순히 부동산 가격뿐 아니라 소비 투자 환율 등 여러 경제 전반에 골고루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기 때문에 결정에 보다 신중해야 합니다."
또 금리를 올릴 경우 장기적으로 볼 때 집값 안정에 효과가 있겠느냐는 회의론적인 시각도 있습니다.
즉 금리가 오르면 시중에 풀린 돈은 줄어들지만 정부가 집값 안정의 확신을 심어주지 못하는 한 한 두차례의 금리 인상으로는 다시 부동산으로 몰리는 돈을 막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또 결국은 서민들의 이자 부담만 늘어나는 것 아니냐는 반론도 많아 논란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현경입니다.
-
-
김현경 기자 hkkim@kbs.co.kr
김현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부동산 안정 대책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