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대형 유통점 입점 갈등
입력 2006.11.14 (22:19)
수정 2006.11.14 (22: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경기도 성남시에 대형 할인매장이 들어선다는 계획이 알려지자 재래시장 상인들이 시장문을 닫아걸고 거세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김영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성남 지역 재래시장 상인 3백여 명이 시장을 떠나 거리로 나왔습니다.
상인들은 성남시청 앞에 모여 대형 유통점 입점에 반대하는 항의 집회를 열었습니다.
가게 문은 아예 닫았습니다.
상인들은 이마트와 삼성 홈플러스 등 대형 유통점이 한꺼번에 세 개나 들어오면 재래시장의 상권이 무너진다고 주장합니다.
<인터뷰> 이호영 (재래시장 상인회 회장) : "액기스는 다 뽑아가는 거죠. 본사나 해외로. 그러다 보니까 여기 재생산되고 재투자돼서 활성화해야 하는데 그것이 안되기 때문에 힘들다는 거죠."
중소기업청의 조사에 따르면, 전국 대형 유통점의 지난해 매출액은 24조 원으로, 전년보다 12% 늘었습니다.
반면 재래시장은 9% 가까이 줄었습니다.
재래시장의 경우 대부분 가족들에 의해 운영돼 서비스나 시스템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박문준 (중소기업청 시장경영지원센터 상권연구실장) : "판매기법이라든가 원산지나 가격표시제라든가 이런 부분들이 대형점만큼 시스템화돼 있지 않다는 거죠."
전문가들은 대형유통점에 의해 재래시장이 고사할 경우 결국 소비자들의 선택권이 그만큼 침해된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김영인입니다.
경기도 성남시에 대형 할인매장이 들어선다는 계획이 알려지자 재래시장 상인들이 시장문을 닫아걸고 거세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김영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성남 지역 재래시장 상인 3백여 명이 시장을 떠나 거리로 나왔습니다.
상인들은 성남시청 앞에 모여 대형 유통점 입점에 반대하는 항의 집회를 열었습니다.
가게 문은 아예 닫았습니다.
상인들은 이마트와 삼성 홈플러스 등 대형 유통점이 한꺼번에 세 개나 들어오면 재래시장의 상권이 무너진다고 주장합니다.
<인터뷰> 이호영 (재래시장 상인회 회장) : "액기스는 다 뽑아가는 거죠. 본사나 해외로. 그러다 보니까 여기 재생산되고 재투자돼서 활성화해야 하는데 그것이 안되기 때문에 힘들다는 거죠."
중소기업청의 조사에 따르면, 전국 대형 유통점의 지난해 매출액은 24조 원으로, 전년보다 12% 늘었습니다.
반면 재래시장은 9% 가까이 줄었습니다.
재래시장의 경우 대부분 가족들에 의해 운영돼 서비스나 시스템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박문준 (중소기업청 시장경영지원센터 상권연구실장) : "판매기법이라든가 원산지나 가격표시제라든가 이런 부분들이 대형점만큼 시스템화돼 있지 않다는 거죠."
전문가들은 대형유통점에 의해 재래시장이 고사할 경우 결국 소비자들의 선택권이 그만큼 침해된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김영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성남시, 대형 유통점 입점 갈등
-
- 입력 2006-11-14 21:31:39
- 수정2006-11-14 22:26:41
<앵커 멘트>
경기도 성남시에 대형 할인매장이 들어선다는 계획이 알려지자 재래시장 상인들이 시장문을 닫아걸고 거세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김영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성남 지역 재래시장 상인 3백여 명이 시장을 떠나 거리로 나왔습니다.
상인들은 성남시청 앞에 모여 대형 유통점 입점에 반대하는 항의 집회를 열었습니다.
가게 문은 아예 닫았습니다.
상인들은 이마트와 삼성 홈플러스 등 대형 유통점이 한꺼번에 세 개나 들어오면 재래시장의 상권이 무너진다고 주장합니다.
<인터뷰> 이호영 (재래시장 상인회 회장) : "액기스는 다 뽑아가는 거죠. 본사나 해외로. 그러다 보니까 여기 재생산되고 재투자돼서 활성화해야 하는데 그것이 안되기 때문에 힘들다는 거죠."
중소기업청의 조사에 따르면, 전국 대형 유통점의 지난해 매출액은 24조 원으로, 전년보다 12% 늘었습니다.
반면 재래시장은 9% 가까이 줄었습니다.
재래시장의 경우 대부분 가족들에 의해 운영돼 서비스나 시스템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박문준 (중소기업청 시장경영지원센터 상권연구실장) : "판매기법이라든가 원산지나 가격표시제라든가 이런 부분들이 대형점만큼 시스템화돼 있지 않다는 거죠."
전문가들은 대형유통점에 의해 재래시장이 고사할 경우 결국 소비자들의 선택권이 그만큼 침해된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김영인입니다.
-
-
김영인 기자 heemang@kbs.co.kr
김영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