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경제 통합’의 과제
입력 2006.11.30 (22:49)
수정 2006.11.30 (22: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곳 부산의 좌우에는 동남해안 최대 공업도시, 울산과 창원이 있습니다.
최근 부산과 울산, 경남을 하나로 묶어 광역 경제통합체 구축하려는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동남권 경제벨트의 필요성과 과제를 양희진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중공업과 자동차 산업으로 상징되는 우리나라 최대 공업도시 울산, 3개 메이저 조선소와 기계산업 등을 갖춘 남부권의 산업 요충지 경남, 이 두 지역 중간에 위치한 부산은 제조업 기반이 상대적으로 약하지만 금융과 전시컨벤션 등 서비스 산업이 특화돼 있고 연구인력도 풍부하다는 강점이 있습니다.
경제 광역화라는 세계적 추세 속에 이 3개 시도가 동남권 광역경제권이란 이름으로 통합에 나서고 있습니다.
<인터뷰>권오혁(부경대 경제학과 교수) : "기존 행정구역으로 지원이 불가능한 다양한 것들을 광역화를 통해 가능해 진다"
3개 지역을 합치면 지역 내 총생산, GRDP가 16.9%까지 올라가 수도권 종속에서 벗어나 경제자립이 가능해질 것이란 전망입니다.
또 조선과 자동차가 중심의 초광역 경제권이 형성돼 국가 경쟁력 강화에도 버팀목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인터뷰>김형구(부산경제연구소장) : "국내는 수도권과 차별화돼 대응력을 갖추고 국외로 글로벌네트웍 구축해 진출하자는 것"
통합 방향은 부산은 연구인력과 산업 기자재를 공급하고 울산과 경남은 이를 기반으로 생산, 제조 기능을 극대화하는 것입니다.
<인터뷰>김영삼(부산발전연구원장) : "울산 창원은 제조 기반은 높지만 지식기반이 상대적으로 취약하고 부산이 이를 보강한다"
하지만 이들 3개 시도가 실질적인 경제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반드시 풀어야 할 과제가 있습니다.
바로 최근 들어 더욱 두드러지고 있는 지역 이기주의의 장벽입니다.
신항의 명칭과 배후 터의 관할권을 놓고 부산과 경남 간 수년 동안 계속된 갈등이 아직 해소되지 않고 있을 정도입니다.
경제 통합 논의 과정에서도 연구 센터 등을 서로 유치하겠다며 치열한 신경전을 벌어지고 있습니다.
때문에 경제통합을 이끌 거버넌스, 즉 조정기구 구성이 시급하지만 누가 주도해서 어떤 형태로 구성할지 논의조차 없는 상태입니다.
또 동남권 경제 통합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차원이 아닌 보다 넓은 안목의 경제 논리로 보강돼야 할 것입니다.
KBS 뉴스 양희진입니다.
이곳 부산의 좌우에는 동남해안 최대 공업도시, 울산과 창원이 있습니다.
최근 부산과 울산, 경남을 하나로 묶어 광역 경제통합체 구축하려는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동남권 경제벨트의 필요성과 과제를 양희진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중공업과 자동차 산업으로 상징되는 우리나라 최대 공업도시 울산, 3개 메이저 조선소와 기계산업 등을 갖춘 남부권의 산업 요충지 경남, 이 두 지역 중간에 위치한 부산은 제조업 기반이 상대적으로 약하지만 금융과 전시컨벤션 등 서비스 산업이 특화돼 있고 연구인력도 풍부하다는 강점이 있습니다.
경제 광역화라는 세계적 추세 속에 이 3개 시도가 동남권 광역경제권이란 이름으로 통합에 나서고 있습니다.
<인터뷰>권오혁(부경대 경제학과 교수) : "기존 행정구역으로 지원이 불가능한 다양한 것들을 광역화를 통해 가능해 진다"
3개 지역을 합치면 지역 내 총생산, GRDP가 16.9%까지 올라가 수도권 종속에서 벗어나 경제자립이 가능해질 것이란 전망입니다.
또 조선과 자동차가 중심의 초광역 경제권이 형성돼 국가 경쟁력 강화에도 버팀목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인터뷰>김형구(부산경제연구소장) : "국내는 수도권과 차별화돼 대응력을 갖추고 국외로 글로벌네트웍 구축해 진출하자는 것"
통합 방향은 부산은 연구인력과 산업 기자재를 공급하고 울산과 경남은 이를 기반으로 생산, 제조 기능을 극대화하는 것입니다.
<인터뷰>김영삼(부산발전연구원장) : "울산 창원은 제조 기반은 높지만 지식기반이 상대적으로 취약하고 부산이 이를 보강한다"
하지만 이들 3개 시도가 실질적인 경제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반드시 풀어야 할 과제가 있습니다.
바로 최근 들어 더욱 두드러지고 있는 지역 이기주의의 장벽입니다.
신항의 명칭과 배후 터의 관할권을 놓고 부산과 경남 간 수년 동안 계속된 갈등이 아직 해소되지 않고 있을 정도입니다.
경제 통합 논의 과정에서도 연구 센터 등을 서로 유치하겠다며 치열한 신경전을 벌어지고 있습니다.
때문에 경제통합을 이끌 거버넌스, 즉 조정기구 구성이 시급하지만 누가 주도해서 어떤 형태로 구성할지 논의조차 없는 상태입니다.
또 동남권 경제 통합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차원이 아닌 보다 넓은 안목의 경제 논리로 보강돼야 할 것입니다.
KBS 뉴스 양희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동남권 경제 통합’의 과제
-
- 입력 2006-11-30 21:35:27
- 수정2006-11-30 22:50:11
<앵커 멘트>
이곳 부산의 좌우에는 동남해안 최대 공업도시, 울산과 창원이 있습니다.
최근 부산과 울산, 경남을 하나로 묶어 광역 경제통합체 구축하려는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동남권 경제벨트의 필요성과 과제를 양희진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중공업과 자동차 산업으로 상징되는 우리나라 최대 공업도시 울산, 3개 메이저 조선소와 기계산업 등을 갖춘 남부권의 산업 요충지 경남, 이 두 지역 중간에 위치한 부산은 제조업 기반이 상대적으로 약하지만 금융과 전시컨벤션 등 서비스 산업이 특화돼 있고 연구인력도 풍부하다는 강점이 있습니다.
경제 광역화라는 세계적 추세 속에 이 3개 시도가 동남권 광역경제권이란 이름으로 통합에 나서고 있습니다.
<인터뷰>권오혁(부경대 경제학과 교수) : "기존 행정구역으로 지원이 불가능한 다양한 것들을 광역화를 통해 가능해 진다"
3개 지역을 합치면 지역 내 총생산, GRDP가 16.9%까지 올라가 수도권 종속에서 벗어나 경제자립이 가능해질 것이란 전망입니다.
또 조선과 자동차가 중심의 초광역 경제권이 형성돼 국가 경쟁력 강화에도 버팀목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인터뷰>김형구(부산경제연구소장) : "국내는 수도권과 차별화돼 대응력을 갖추고 국외로 글로벌네트웍 구축해 진출하자는 것"
통합 방향은 부산은 연구인력과 산업 기자재를 공급하고 울산과 경남은 이를 기반으로 생산, 제조 기능을 극대화하는 것입니다.
<인터뷰>김영삼(부산발전연구원장) : "울산 창원은 제조 기반은 높지만 지식기반이 상대적으로 취약하고 부산이 이를 보강한다"
하지만 이들 3개 시도가 실질적인 경제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반드시 풀어야 할 과제가 있습니다.
바로 최근 들어 더욱 두드러지고 있는 지역 이기주의의 장벽입니다.
신항의 명칭과 배후 터의 관할권을 놓고 부산과 경남 간 수년 동안 계속된 갈등이 아직 해소되지 않고 있을 정도입니다.
경제 통합 논의 과정에서도 연구 센터 등을 서로 유치하겠다며 치열한 신경전을 벌어지고 있습니다.
때문에 경제통합을 이끌 거버넌스, 즉 조정기구 구성이 시급하지만 누가 주도해서 어떤 형태로 구성할지 논의조차 없는 상태입니다.
또 동남권 경제 통합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차원이 아닌 보다 넓은 안목의 경제 논리로 보강돼야 할 것입니다.
KBS 뉴스 양희진입니다.
-
-
양희진 기자 julius@kbs.co.kr
양희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