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브로 세계 시장 규모 ‘5년간 94조 원’

입력 2007.10.19 (22: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국제 표준 기술이 된다는것은 그 자체가 돈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앞으로 5년간 와이브로의 세계 시장 규모는 모두 94조원에 이를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한승복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와이브로의 힘은 휴대전화와 유선인터넷의 장점을 겸비하고 있다는데 있습니다.

휴대전화처럼 고속으로 이동 중에도 통신을 할 수 있습니다.

정보처리 속도 역시 유선인터넷에 크게 뒤지지 않습니다.

초기 망 구축비용이 유선인터넷보다 훨씬 적은 장점입니다.

아직 인터넷망이 없는 아프리카 등지에선 와이브로가 유선인터넷 대체기술로 채택될 가능성이 높은 것도 이런 이유에서입니다.

<인터뷰>이경주(삼성전자 정보통신총괄 상무): "전 세계 40개국이 와이브로에 관심을 갖고 있고 저희는 시장성이 높은 20여 개국과 수주 상담을 벌이고 있습니다."
와이브로의 세계시장 규모는 내년에 4조 원에서 오는 2012년에는 38조 원까지 성장해 앞으로 5년 동안 모두 94조 원에 이를 전망입니다.

국내에서도 앞으로 5년 동안 15조 원의 생산유발효과와 7만 5천여 개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기대됩니다.

와이브로는 특히 삼성과 KT 등 우리 기업이 핵심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만큼 단말기와 장비 수출, 기술사용료 수입 등을 통해 우리 경제에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정관영(KT 휴대인터넷사업본부 상무): "보다 많은 국가에서 서비스 제공이 활성화 되고 그렇게 되면 장비나 단말기 가격이 인하되고 국내에 제공되는 서비스보다 저렴하게 제공될 수 있고..."

그러나 세계표준 채택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선 가입자가 7만 명에 불과한 국내 와이브로 시장을 경제성 있는 규모로 늘리는 일이 무엇보다 시급한 과제입니다.

KBS 뉴스 한승복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와이브로 세계 시장 규모 ‘5년간 94조 원’
    • 입력 2007-10-19 20:47:52
    뉴스 9
<앵커 멘트> 국제 표준 기술이 된다는것은 그 자체가 돈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앞으로 5년간 와이브로의 세계 시장 규모는 모두 94조원에 이를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한승복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와이브로의 힘은 휴대전화와 유선인터넷의 장점을 겸비하고 있다는데 있습니다. 휴대전화처럼 고속으로 이동 중에도 통신을 할 수 있습니다. 정보처리 속도 역시 유선인터넷에 크게 뒤지지 않습니다. 초기 망 구축비용이 유선인터넷보다 훨씬 적은 장점입니다. 아직 인터넷망이 없는 아프리카 등지에선 와이브로가 유선인터넷 대체기술로 채택될 가능성이 높은 것도 이런 이유에서입니다. <인터뷰>이경주(삼성전자 정보통신총괄 상무): "전 세계 40개국이 와이브로에 관심을 갖고 있고 저희는 시장성이 높은 20여 개국과 수주 상담을 벌이고 있습니다." 와이브로의 세계시장 규모는 내년에 4조 원에서 오는 2012년에는 38조 원까지 성장해 앞으로 5년 동안 모두 94조 원에 이를 전망입니다. 국내에서도 앞으로 5년 동안 15조 원의 생산유발효과와 7만 5천여 개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기대됩니다. 와이브로는 특히 삼성과 KT 등 우리 기업이 핵심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만큼 단말기와 장비 수출, 기술사용료 수입 등을 통해 우리 경제에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정관영(KT 휴대인터넷사업본부 상무): "보다 많은 국가에서 서비스 제공이 활성화 되고 그렇게 되면 장비나 단말기 가격이 인하되고 국내에 제공되는 서비스보다 저렴하게 제공될 수 있고..." 그러나 세계표준 채택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선 가입자가 7만 명에 불과한 국내 와이브로 시장을 경제성 있는 규모로 늘리는 일이 무엇보다 시급한 과제입니다. KBS 뉴스 한승복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