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이렇게 기름 오염 지역이 늘면서 이번 피해가 도대체 어느 정도에 이를지 가늠하기조차 쉽지 않습니다.
물이 빠진 갯벌 곳곳에서는 이미 조개류의 집단폐사가 목격되고 있습니다.
황정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물이 빠져나간 신두리 해변, 기름으로 뒤덥힌 갯벌에는 조개들이 죽은 채 널려 있습니다.
기름 찌꺼기가 있는 곳이면 어김없이 죽은 조개들의 무리가 발견됩니다.
어른 손바닥만한 키조개도 끈적한 기름을 뒤집어쓴 채 폐사했고, 고둥은 간신히 숨이 붙어 있지만 더 이상 움직일 힘이 남아 있지 않습니다.
신두리 해변을 비롯한 충남 태안 일대 갯벌 곳곳에서 이 같은 조개류의 집단 폐사가 목격되고 있습니다.
환경전문가들은 기름띠가 계속 해안에 유입되면서 갯벌 서식 생물들의 폐사가 더욱 가속화될 걸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장동용(국장 환경운동연합): "오늘부터 생물들이 죽어 떠밀려오기 시작했고, 오늘부터 집단폐사가 시작된 걸로 확인..."
주민들의 삶의 터전에도 죽음의 그림자가 드리우기 시작했습니다.
검은 기름띠로 뒤덥힌 굴과 바지락 양식장에는 수확이 중단되면서 어민들의 발길이 끊겨 황량한 모습입니다.
수확을 앞둔 해삼과 전복도 속속 폐사하고 있습니다.
더 큰 걱정은 기름 성분이 갯벌 깊숙히 스며들면서 갯벌이 더 이상 생명이 살 수 없는 사막으로 변할 수도 있다는 점입니다.
<인터뷰> 이충경(어촌계장 태안군 소원면): "서해안은 갯벌이 생명인데 바다가 죽으면 어민들도 같이 죽습니다."
갯벌의 황폐화는 곧 이곳을 삶의 터전으로 하는 철새 등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갯벌을 중심으로 한 먹이사슬의 연쇄 피해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황정환입니다.
이렇게 기름 오염 지역이 늘면서 이번 피해가 도대체 어느 정도에 이를지 가늠하기조차 쉽지 않습니다.
물이 빠진 갯벌 곳곳에서는 이미 조개류의 집단폐사가 목격되고 있습니다.
황정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물이 빠져나간 신두리 해변, 기름으로 뒤덥힌 갯벌에는 조개들이 죽은 채 널려 있습니다.
기름 찌꺼기가 있는 곳이면 어김없이 죽은 조개들의 무리가 발견됩니다.
어른 손바닥만한 키조개도 끈적한 기름을 뒤집어쓴 채 폐사했고, 고둥은 간신히 숨이 붙어 있지만 더 이상 움직일 힘이 남아 있지 않습니다.
신두리 해변을 비롯한 충남 태안 일대 갯벌 곳곳에서 이 같은 조개류의 집단 폐사가 목격되고 있습니다.
환경전문가들은 기름띠가 계속 해안에 유입되면서 갯벌 서식 생물들의 폐사가 더욱 가속화될 걸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장동용(국장 환경운동연합): "오늘부터 생물들이 죽어 떠밀려오기 시작했고, 오늘부터 집단폐사가 시작된 걸로 확인..."
주민들의 삶의 터전에도 죽음의 그림자가 드리우기 시작했습니다.
검은 기름띠로 뒤덥힌 굴과 바지락 양식장에는 수확이 중단되면서 어민들의 발길이 끊겨 황량한 모습입니다.
수확을 앞둔 해삼과 전복도 속속 폐사하고 있습니다.
더 큰 걱정은 기름 성분이 갯벌 깊숙히 스며들면서 갯벌이 더 이상 생명이 살 수 없는 사막으로 변할 수도 있다는 점입니다.
<인터뷰> 이충경(어촌계장 태안군 소원면): "서해안은 갯벌이 생명인데 바다가 죽으면 어민들도 같이 죽습니다."
갯벌의 황폐화는 곧 이곳을 삶의 터전으로 하는 철새 등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갯벌을 중심으로 한 먹이사슬의 연쇄 피해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황정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갯벌이 죽어간다…‘집단폐사’ 현실로
-
- 입력 2007-12-10 20:40:45
<앵커 멘트>
이렇게 기름 오염 지역이 늘면서 이번 피해가 도대체 어느 정도에 이를지 가늠하기조차 쉽지 않습니다.
물이 빠진 갯벌 곳곳에서는 이미 조개류의 집단폐사가 목격되고 있습니다.
황정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물이 빠져나간 신두리 해변, 기름으로 뒤덥힌 갯벌에는 조개들이 죽은 채 널려 있습니다.
기름 찌꺼기가 있는 곳이면 어김없이 죽은 조개들의 무리가 발견됩니다.
어른 손바닥만한 키조개도 끈적한 기름을 뒤집어쓴 채 폐사했고, 고둥은 간신히 숨이 붙어 있지만 더 이상 움직일 힘이 남아 있지 않습니다.
신두리 해변을 비롯한 충남 태안 일대 갯벌 곳곳에서 이 같은 조개류의 집단 폐사가 목격되고 있습니다.
환경전문가들은 기름띠가 계속 해안에 유입되면서 갯벌 서식 생물들의 폐사가 더욱 가속화될 걸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장동용(국장 환경운동연합): "오늘부터 생물들이 죽어 떠밀려오기 시작했고, 오늘부터 집단폐사가 시작된 걸로 확인..."
주민들의 삶의 터전에도 죽음의 그림자가 드리우기 시작했습니다.
검은 기름띠로 뒤덥힌 굴과 바지락 양식장에는 수확이 중단되면서 어민들의 발길이 끊겨 황량한 모습입니다.
수확을 앞둔 해삼과 전복도 속속 폐사하고 있습니다.
더 큰 걱정은 기름 성분이 갯벌 깊숙히 스며들면서 갯벌이 더 이상 생명이 살 수 없는 사막으로 변할 수도 있다는 점입니다.
<인터뷰> 이충경(어촌계장 태안군 소원면): "서해안은 갯벌이 생명인데 바다가 죽으면 어민들도 같이 죽습니다."
갯벌의 황폐화는 곧 이곳을 삶의 터전으로 하는 철새 등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갯벌을 중심으로 한 먹이사슬의 연쇄 피해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황정환입니다.
-
-
황정환 기자 baram@kbs.co.kr
황정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태안 원유 유출 사고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