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취재] 계속되는 촛불집회…“민심 수렴이 열쇠”

입력 2008.06.12 (22: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촛불집회가 한달 이상 계속되고 결국 정부가 추가협상에 나섰지만 국민과 정부는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고 있습니다.
도대체 누가, 어떻게 이 쇠고기 난국을 타계할 수 있을까요?

이재석 기자가 생각해봤습니다.


<리포트>

수십 만의 시민이 자발적으로 거리로 쏟아져 나온 지난 한달.

인터넷이 큰 영향을 끼치며 새로운 형태의 직접 민주주의가 자리 잡고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잇따랐습니다.

하지만 정부에 대한 불신과 사회 갈등은 날로 깊어졌고, 대의제는 실종돼 버렸습니다.

그만큼 우리 사회의 에너지가 엉뚱한 방향으로 소진된 측면도 있습니다.

그런데 상황의 심각성은 시민들이 이제 쇠고기만 문제삼는 게 아니라는 데 있습니다.

<인터뷰> 김호기(연세대 교수) : "집회가 진행되면서 대운하, 민영화, 교육 등 전반으로 확산된 것 같습니다."

정책 자체뿐 아니라 정부의 정책 추진 방식이 더 큰 문제를 불러왔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입니다.

충분한 설득이나 사전 여론 수렴 과정 없이 일단 정책을 결정한 뒤 따라오라는 일방 통행식 리더십에 국민들의 불만이 쌓여 신뢰도가 추락했다는 겁니다.

대통령의 지지층 조차도 이같은 통치 방식에 문제가 있다는데 별 이의를 달지 않습니다.

<인터뷰> 박효종(교수/바른사회시민회의) : "기업가형 리더십을 대통령이 되어서도 그대로 발휘한 게 문제인 것이죠."

결국 사태 해결은 대통령 스스로가 인정한 일방향의 소통방식을 바꾸는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청와대의 정무 기능과 홍보 기능을 강화하는 것도 한 방법이지만 더 중요한 것은 촛불을 든 시민들을 바라보는 시선부터 달라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남녀 노소 다양한 시민이 참석한 집회에 대해 배후 세력이 누구냐고 정부는 의심을 거두지 않았습니다.

이는 실용을 강조했던 정부가 여전히 이념의 틀에 갇혀 있다는 걸 보여줍니다.

<인터뷰> 한상진(서울대 사회학과) : "촛불집회는 좌파 우파의 문제가 아니라 건강권을 위한 생활 속 정치의 문제죠."

정부의 해법은 크게 쇠고기 추가협상과 인적 쇄신에 그칠 거란 우려가 벌써부터 나오고 있습니다.

어떤 식으로든 촛불의 민심을 수렴하는 절차가 없는 한 집회는 계속될 거라는 지적이 높습니다.

KBS 뉴스 이재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층취재] 계속되는 촛불집회…“민심 수렴이 열쇠”
    • 입력 2008-06-12 21:12:43
    뉴스 9
<앵커 멘트> 촛불집회가 한달 이상 계속되고 결국 정부가 추가협상에 나섰지만 국민과 정부는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고 있습니다. 도대체 누가, 어떻게 이 쇠고기 난국을 타계할 수 있을까요? 이재석 기자가 생각해봤습니다. <리포트> 수십 만의 시민이 자발적으로 거리로 쏟아져 나온 지난 한달. 인터넷이 큰 영향을 끼치며 새로운 형태의 직접 민주주의가 자리 잡고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잇따랐습니다. 하지만 정부에 대한 불신과 사회 갈등은 날로 깊어졌고, 대의제는 실종돼 버렸습니다. 그만큼 우리 사회의 에너지가 엉뚱한 방향으로 소진된 측면도 있습니다. 그런데 상황의 심각성은 시민들이 이제 쇠고기만 문제삼는 게 아니라는 데 있습니다. <인터뷰> 김호기(연세대 교수) : "집회가 진행되면서 대운하, 민영화, 교육 등 전반으로 확산된 것 같습니다." 정책 자체뿐 아니라 정부의 정책 추진 방식이 더 큰 문제를 불러왔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입니다. 충분한 설득이나 사전 여론 수렴 과정 없이 일단 정책을 결정한 뒤 따라오라는 일방 통행식 리더십에 국민들의 불만이 쌓여 신뢰도가 추락했다는 겁니다. 대통령의 지지층 조차도 이같은 통치 방식에 문제가 있다는데 별 이의를 달지 않습니다. <인터뷰> 박효종(교수/바른사회시민회의) : "기업가형 리더십을 대통령이 되어서도 그대로 발휘한 게 문제인 것이죠." 결국 사태 해결은 대통령 스스로가 인정한 일방향의 소통방식을 바꾸는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청와대의 정무 기능과 홍보 기능을 강화하는 것도 한 방법이지만 더 중요한 것은 촛불을 든 시민들을 바라보는 시선부터 달라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남녀 노소 다양한 시민이 참석한 집회에 대해 배후 세력이 누구냐고 정부는 의심을 거두지 않았습니다. 이는 실용을 강조했던 정부가 여전히 이념의 틀에 갇혀 있다는 걸 보여줍니다. <인터뷰> 한상진(서울대 사회학과) : "촛불집회는 좌파 우파의 문제가 아니라 건강권을 위한 생활 속 정치의 문제죠." 정부의 해법은 크게 쇠고기 추가협상과 인적 쇄신에 그칠 거란 우려가 벌써부터 나오고 있습니다. 어떤 식으로든 촛불의 민심을 수렴하는 절차가 없는 한 집회는 계속될 거라는 지적이 높습니다. KBS 뉴스 이재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