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미사일 탑재’ 핵탄두 소형화 성공”
입력 2009.03.31 (22: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북한이 로켓을 발사해도 유엔 안보리 차원의 대응 수위는 온도차가 클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이 핵탄두를 소형화하는데 성공했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임세흠 기자입니다.
<리포트>
북한이 장거리 로켓을 발사할 경우 이를 유엔 안보리에 상정하는데는, 중국과 러시아 역시 반대하지 않는다고 위성락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밝혔습니다.
다만 안보리 조치의 내용과 수위에는 모든 가능성이 열려있다는 게 한미일 3국 협의를 마친 위성락 본부장의 진단입니다.
<녹취> 위성락 : "제재부터 의장 성명까지 다양한 폭, 형식별로 내용의 강약, 제재 포함 여부 등 다양한 변용이 가능하다."
유엔 차원의 제재 말고도 수출입 제한조치 등 나라마다 북한에게 취할 수 있는 추가 조치들도 검토 대상입니다.
위성인지 미사일인지 여부보다 북한이 핵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상황에서 장거리 발사 능력까지 갖추게 되는 것이 문제의 핵심이라는 것이 한미일의 공통된 시각입니다.
북한은 이미 미사일에 장착할 수 있는 소형 핵탄두를 보유하고 있다는 정보도 흘러나오고 있습니다.
민간기구인 국제위기감시기구의 핑크스턴 박사는 북한이 사거리 1,000km에 이르는 노동 미사일에 탑재 가능한 소형 핵탄두를 보유하고 있다는 정보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임세흠입니다.
북한이 로켓을 발사해도 유엔 안보리 차원의 대응 수위는 온도차가 클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이 핵탄두를 소형화하는데 성공했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임세흠 기자입니다.
<리포트>
북한이 장거리 로켓을 발사할 경우 이를 유엔 안보리에 상정하는데는, 중국과 러시아 역시 반대하지 않는다고 위성락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밝혔습니다.
다만 안보리 조치의 내용과 수위에는 모든 가능성이 열려있다는 게 한미일 3국 협의를 마친 위성락 본부장의 진단입니다.
<녹취> 위성락 : "제재부터 의장 성명까지 다양한 폭, 형식별로 내용의 강약, 제재 포함 여부 등 다양한 변용이 가능하다."
유엔 차원의 제재 말고도 수출입 제한조치 등 나라마다 북한에게 취할 수 있는 추가 조치들도 검토 대상입니다.
위성인지 미사일인지 여부보다 북한이 핵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상황에서 장거리 발사 능력까지 갖추게 되는 것이 문제의 핵심이라는 것이 한미일의 공통된 시각입니다.
북한은 이미 미사일에 장착할 수 있는 소형 핵탄두를 보유하고 있다는 정보도 흘러나오고 있습니다.
민간기구인 국제위기감시기구의 핑크스턴 박사는 북한이 사거리 1,000km에 이르는 노동 미사일에 탑재 가능한 소형 핵탄두를 보유하고 있다는 정보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임세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한, ‘미사일 탑재’ 핵탄두 소형화 성공”
-
- 입력 2009-03-31 21:20:09

<앵커 멘트>
북한이 로켓을 발사해도 유엔 안보리 차원의 대응 수위는 온도차가 클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이 핵탄두를 소형화하는데 성공했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임세흠 기자입니다.
<리포트>
북한이 장거리 로켓을 발사할 경우 이를 유엔 안보리에 상정하는데는, 중국과 러시아 역시 반대하지 않는다고 위성락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밝혔습니다.
다만 안보리 조치의 내용과 수위에는 모든 가능성이 열려있다는 게 한미일 3국 협의를 마친 위성락 본부장의 진단입니다.
<녹취> 위성락 : "제재부터 의장 성명까지 다양한 폭, 형식별로 내용의 강약, 제재 포함 여부 등 다양한 변용이 가능하다."
유엔 차원의 제재 말고도 수출입 제한조치 등 나라마다 북한에게 취할 수 있는 추가 조치들도 검토 대상입니다.
위성인지 미사일인지 여부보다 북한이 핵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상황에서 장거리 발사 능력까지 갖추게 되는 것이 문제의 핵심이라는 것이 한미일의 공통된 시각입니다.
북한은 이미 미사일에 장착할 수 있는 소형 핵탄두를 보유하고 있다는 정보도 흘러나오고 있습니다.
민간기구인 국제위기감시기구의 핑크스턴 박사는 북한이 사거리 1,000km에 이르는 노동 미사일에 탑재 가능한 소형 핵탄두를 보유하고 있다는 정보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임세흠입니다.
-
-
임세흠 기자 hm21@kbs.co.kr
임세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북 ‘광명성 2호’ 발사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