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유엔 안보리 회의가 열렸지만, 북한 제제엔 합의를 보지 못했습니다.
예상대로 나라마다 입장이 많이 달랐습니다.
뉴욕, 황상무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북한의 로켓발사 대응책을 논의하기 위한 유엔 안보리가 긴급 소집됐습니다.
1차로 15개 이사국이 모두 참여한 전체회의가 열렸고, 이어 상임 이사국과 회의요청국 일본이 참여한 2차 회의까지 진행됐습니다.
미국과 일본 등 서방국가들은 1차회의부터 북한의 로켓발사는 안보리 결의 위반임을 지적하며, 제재 필요성을 역설했습니다.
<녹취>다카스 유키오(유엔 일본대사)
반면, 중국과 러시아는 북한의 로켓이 인공위성인만큼 안보리 결의안을 위반했다고 볼 수 없다고 맞섰습니다.
<녹취>장 예수이 (주 유엔 중국대사)
2차 회의에서도 양측의 입장은 팽팽히 맞서 당분간 소그룹 회의가 계속됩니다.
북한 측은 회의장 밖에서 자신들의 주장을 펼쳤습니다.
<녹취>북한 유엔대표부 관계자
안보리회의는 첫날부터 이사국들간에 심각한 의견차이가 노출되면서 앞으로도 상당기간 진통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유엔본부에서 KBS 뉴스 황상무입니다.
유엔 안보리 회의가 열렸지만, 북한 제제엔 합의를 보지 못했습니다.
예상대로 나라마다 입장이 많이 달랐습니다.
뉴욕, 황상무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북한의 로켓발사 대응책을 논의하기 위한 유엔 안보리가 긴급 소집됐습니다.
1차로 15개 이사국이 모두 참여한 전체회의가 열렸고, 이어 상임 이사국과 회의요청국 일본이 참여한 2차 회의까지 진행됐습니다.
미국과 일본 등 서방국가들은 1차회의부터 북한의 로켓발사는 안보리 결의 위반임을 지적하며, 제재 필요성을 역설했습니다.
<녹취>다카스 유키오(유엔 일본대사)
반면, 중국과 러시아는 북한의 로켓이 인공위성인만큼 안보리 결의안을 위반했다고 볼 수 없다고 맞섰습니다.
<녹취>장 예수이 (주 유엔 중국대사)
2차 회의에서도 양측의 입장은 팽팽히 맞서 당분간 소그룹 회의가 계속됩니다.
북한 측은 회의장 밖에서 자신들의 주장을 펼쳤습니다.
<녹취>북한 유엔대표부 관계자
안보리회의는 첫날부터 이사국들간에 심각한 의견차이가 노출되면서 앞으로도 상당기간 진통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유엔본부에서 KBS 뉴스 황상무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유엔 안보리 합의 도출 실패…난항 예고
-
- 입력 2009-04-06 21:18:02

<앵커 멘트>
유엔 안보리 회의가 열렸지만, 북한 제제엔 합의를 보지 못했습니다.
예상대로 나라마다 입장이 많이 달랐습니다.
뉴욕, 황상무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북한의 로켓발사 대응책을 논의하기 위한 유엔 안보리가 긴급 소집됐습니다.
1차로 15개 이사국이 모두 참여한 전체회의가 열렸고, 이어 상임 이사국과 회의요청국 일본이 참여한 2차 회의까지 진행됐습니다.
미국과 일본 등 서방국가들은 1차회의부터 북한의 로켓발사는 안보리 결의 위반임을 지적하며, 제재 필요성을 역설했습니다.
<녹취>다카스 유키오(유엔 일본대사)
반면, 중국과 러시아는 북한의 로켓이 인공위성인만큼 안보리 결의안을 위반했다고 볼 수 없다고 맞섰습니다.
<녹취>장 예수이 (주 유엔 중국대사)
2차 회의에서도 양측의 입장은 팽팽히 맞서 당분간 소그룹 회의가 계속됩니다.
북한 측은 회의장 밖에서 자신들의 주장을 펼쳤습니다.
<녹취>북한 유엔대표부 관계자
안보리회의는 첫날부터 이사국들간에 심각한 의견차이가 노출되면서 앞으로도 상당기간 진통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유엔본부에서 KBS 뉴스 황상무입니다.
-
-
황상무 기자 sangmoo@kbs.co.kr
황상무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북 ‘광명성 2호’ 발사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