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와 사람] 천년의 빛, ‘나전칠기’ 부활을 꿈꾸다
입력 2009.05.16 (21:51)
수정 2009.05.16 (22: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찾는 사람이 줄어 명맥이 끓어질 위기에 놓여있는 나전칠기가 장인들의 노력으로 부활하고 있습니다.
문화와 사람, 조지현 기자가 통영의 나전칠기 장인들을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동양의 나폴리로까지 불리는 남해의 미항 통영.
통영은 무지개 빛 영롱한 전복껍데기를 쓰는 나전칠기의 본고장으로도 이름을 떨쳤습니다.
<녹취> "남해안 일대에서 나는 전복껍질이 특히나 색깔이 좋다고..."
50년이 넘는 세월을 나전칠기에 바쳐온 나전장 송방웅 씨. 그의 손 끝에서 화려하면서도 단아한 자개의 빛이 살아납니다.
<인터뷰>송방웅(나전장, 중요무형문화재): "날렵하고 아름다운 맛이 덜합니다. 그래도 우리 조상의 얼이 담긴 모습은 정말 아름답다고 생각이 듭니다."
바탕 옻칠만 7번 이상.
자개를 잘라 하나하나 손으로 붙이는 과정에는 장인의 혼이 그대로 실립니다.
그 위에 또 옻칠을 10번이상 하고, 자개 윗 부분의 옻칠을 일일이 긁어냅니다.
몇 달동안 서른번 이상의 반복 공정끝에 나전칠기 명품으로 살아납니다.
조선시대 통제영에 군수물자를 대던 12공방에서부터 이어져 온 통영의 나전칠기.
자개장이 부의 상징으로 통하며 인기를 끌던 6,70년대의 통영은 한집건너 나전칠기 공방이었을 정도지만 이제는 채 10명도 안되는 장인만이 통영을 지키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 나전칠기가 부활의 날개짓을 활짝 펴고 있습니다.
자개를 가루로 만들어 뿌리고 그 위에 다양한 색으로 옻칠을 하는 새로운 기법도 선보입니다.
<인터뷰>김종량(나전칠기 장인): "새로운 디자인이 찾지 못한 디자인이 무궁무진 하다고 보여지거든요. 희망을 갖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디자이너와 손잡고 현대적 감각의 나전칠기도 시도하고 있습니다.
<인터뷰>송방웅(나전장, 중요무형문화재): "전통만 가지고 고집해서는 안된다고 봅니다. 그러나 기법이 아니고 디자인면에서 현대와 전통이 어우러지는 이런 작품들이 나와야 살아날 수 있지 않겠나..."
전통을 되살리고 현대미를 더하는 다양한 시도 속에 나전칠기가 다시 우리곁으로 돌아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지현입니다.
찾는 사람이 줄어 명맥이 끓어질 위기에 놓여있는 나전칠기가 장인들의 노력으로 부활하고 있습니다.
문화와 사람, 조지현 기자가 통영의 나전칠기 장인들을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동양의 나폴리로까지 불리는 남해의 미항 통영.
통영은 무지개 빛 영롱한 전복껍데기를 쓰는 나전칠기의 본고장으로도 이름을 떨쳤습니다.
<녹취> "남해안 일대에서 나는 전복껍질이 특히나 색깔이 좋다고..."
50년이 넘는 세월을 나전칠기에 바쳐온 나전장 송방웅 씨. 그의 손 끝에서 화려하면서도 단아한 자개의 빛이 살아납니다.
<인터뷰>송방웅(나전장, 중요무형문화재): "날렵하고 아름다운 맛이 덜합니다. 그래도 우리 조상의 얼이 담긴 모습은 정말 아름답다고 생각이 듭니다."
바탕 옻칠만 7번 이상.
자개를 잘라 하나하나 손으로 붙이는 과정에는 장인의 혼이 그대로 실립니다.
그 위에 또 옻칠을 10번이상 하고, 자개 윗 부분의 옻칠을 일일이 긁어냅니다.
몇 달동안 서른번 이상의 반복 공정끝에 나전칠기 명품으로 살아납니다.
조선시대 통제영에 군수물자를 대던 12공방에서부터 이어져 온 통영의 나전칠기.
자개장이 부의 상징으로 통하며 인기를 끌던 6,70년대의 통영은 한집건너 나전칠기 공방이었을 정도지만 이제는 채 10명도 안되는 장인만이 통영을 지키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 나전칠기가 부활의 날개짓을 활짝 펴고 있습니다.
자개를 가루로 만들어 뿌리고 그 위에 다양한 색으로 옻칠을 하는 새로운 기법도 선보입니다.
<인터뷰>김종량(나전칠기 장인): "새로운 디자인이 찾지 못한 디자인이 무궁무진 하다고 보여지거든요. 희망을 갖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디자이너와 손잡고 현대적 감각의 나전칠기도 시도하고 있습니다.
<인터뷰>송방웅(나전장, 중요무형문화재): "전통만 가지고 고집해서는 안된다고 봅니다. 그러나 기법이 아니고 디자인면에서 현대와 전통이 어우러지는 이런 작품들이 나와야 살아날 수 있지 않겠나..."
전통을 되살리고 현대미를 더하는 다양한 시도 속에 나전칠기가 다시 우리곁으로 돌아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지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문화와 사람] 천년의 빛, ‘나전칠기’ 부활을 꿈꾸다
-
- 입력 2009-05-16 21:29:19
- 수정2009-05-16 22:12:06
<앵커 멘트>
찾는 사람이 줄어 명맥이 끓어질 위기에 놓여있는 나전칠기가 장인들의 노력으로 부활하고 있습니다.
문화와 사람, 조지현 기자가 통영의 나전칠기 장인들을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동양의 나폴리로까지 불리는 남해의 미항 통영.
통영은 무지개 빛 영롱한 전복껍데기를 쓰는 나전칠기의 본고장으로도 이름을 떨쳤습니다.
<녹취> "남해안 일대에서 나는 전복껍질이 특히나 색깔이 좋다고..."
50년이 넘는 세월을 나전칠기에 바쳐온 나전장 송방웅 씨. 그의 손 끝에서 화려하면서도 단아한 자개의 빛이 살아납니다.
<인터뷰>송방웅(나전장, 중요무형문화재): "날렵하고 아름다운 맛이 덜합니다. 그래도 우리 조상의 얼이 담긴 모습은 정말 아름답다고 생각이 듭니다."
바탕 옻칠만 7번 이상.
자개를 잘라 하나하나 손으로 붙이는 과정에는 장인의 혼이 그대로 실립니다.
그 위에 또 옻칠을 10번이상 하고, 자개 윗 부분의 옻칠을 일일이 긁어냅니다.
몇 달동안 서른번 이상의 반복 공정끝에 나전칠기 명품으로 살아납니다.
조선시대 통제영에 군수물자를 대던 12공방에서부터 이어져 온 통영의 나전칠기.
자개장이 부의 상징으로 통하며 인기를 끌던 6,70년대의 통영은 한집건너 나전칠기 공방이었을 정도지만 이제는 채 10명도 안되는 장인만이 통영을 지키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 나전칠기가 부활의 날개짓을 활짝 펴고 있습니다.
자개를 가루로 만들어 뿌리고 그 위에 다양한 색으로 옻칠을 하는 새로운 기법도 선보입니다.
<인터뷰>김종량(나전칠기 장인): "새로운 디자인이 찾지 못한 디자인이 무궁무진 하다고 보여지거든요. 희망을 갖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디자이너와 손잡고 현대적 감각의 나전칠기도 시도하고 있습니다.
<인터뷰>송방웅(나전장, 중요무형문화재): "전통만 가지고 고집해서는 안된다고 봅니다. 그러나 기법이 아니고 디자인면에서 현대와 전통이 어우러지는 이런 작품들이 나와야 살아날 수 있지 않겠나..."
전통을 되살리고 현대미를 더하는 다양한 시도 속에 나전칠기가 다시 우리곁으로 돌아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지현입니다.
-
-
조지현 기자 cho2008@kbs.co.kr
조지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