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뉴스] 여성시대 ‘명과 암’ 육아부담 해법은?

입력 2011.03.09 (22:06) 수정 2011.03.11 (02: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어제가 세계 여성의 날이었는데요.



사회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엘리트 여성이 증가하면서, 이들을 부르는 ’알파걸’이라는 신조어까지 생겨났습니다.



우리나라도 지난해 외무고시 합격자의 60%가 여성이었고, 행정고시와 사법시험도 합격자의 절반 정도가 여성입니다.



오늘 이슈&뉴스에서는 이렇게 늘어나고 있는 여성의 사회진출, 그 이면을 들여다 봅니다.



먼저, 직장 여성들의 고민을 안다영 기자가 들어봤습니다.



<리포트>



레스토랑 홍보를 위해 거리로 나선 35살 성상희 씨.



<녹취> "금요일까지 계속 11시 50분에 드려요."



유명 레스토랑 브랜드 8곳의 마케팅을 총괄하고, 대학 전임강사로도 왕성하게 활동하는 이른바 ’알파걸’입니다.



직장 생활 11년차로 웬만큼 안정적인 위치에 올랐지만 일에 부담이 될까 봐 결혼을 미루고 있습니다.



<인터뷰>성상희(레스토랑 마케팅 팀장) : "지금처럼 편하게 제 맘대로 시간을 활용 해서 일에 집중할 수 있는 부분은 조금

상황이 달라질 거 아니에요."



4살 난 딸이 있는 10년 경력의 호텔리어 민경란 씨.



<녹취> "회사 그만두기 전에 기념으로 찍은 사진이에요."



한창 일할 때지만 둘째를 임신하면서 두 달 전, 일을 그만뒀습니다.



<인터뷰>민경란(전직 호텔리어) : "일단은 아기 키우는데 집중한 다음에 나중에 일자리를 찾아보게 되지 않을까 싶은데 그 땐 과연 내가 원하는 걸 할 수 있을까…"



영어 방송 진행자인 김네모 씨는 오전, 오후 2~3시간씩만 일하는 프리랜서입니다.



역시 4살 난 딸이 있는데 틈틈이 집으로 돌아가 아이를 볼 수 있어 그나마 일과 육아를 함께하고 있습니다.



<인터뷰>김네모(프리랜서 영어 방송인) : "직장에 속해 있는 친구들 보면 정말 여러 가지 어려움이 많더라고요. 그나마 저는 좀 더 자유로우니까."



일과 결혼, 어느 것 하나 포기하기 어렵지만 둘 다 지켜나가기는 더 힘든 게 직장 여성들의 현실입니다.



<질문> 사회 각 분야에서 ’여풍’이 불고 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장벽이 많은 것 같은데요? 윤지연 기자,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어떤가요?



<답변>



네, 우리나라 여성의 사회진출이 늘었다고는 하지만, 한창 일할 30~40대에 육아 문제로 ’경력’이 단절되면서 남성과의 경쟁에서 낙오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은 47%로 OECD 국가 평균인 62%를 크게 밑돌고 있습니다.



이 경제활동 참여율에 있어 남녀를 비교한 성불평등지수는 138개 나라 가운데 90위일 만큼 남녀 간의 격차가 큽니다.



직장과 육아를 병행하려면 남모르는 고민과 고통이 한두 가지가 아닌데요.



최근에는 아이에게 젖을 먹이고 싶은 마음에 ’젖동냥’을 하는 직장 여성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손은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출산을 하고 넉 달 전에 복직한 김문정 씨의 책상 위에는 집에 두고 온 아들의 사진이 놓여 있습니다.



소중한 한율이가 태어난 지 일곱 달째.



김씨는 생후 일 년 동안은 모유를 먹이겠다고 결심했지만, 일을 하면서 모유를 모으는 일이 하루하루 더 어렵게 느껴집니다.



<인터뷰>김문정(서초구 잠원동) : "점심 먹고 짜고, 여섯 시 넘어서 짜거든요. 괜히 좀…땡땡이는 아니지만 10분, 15분도 좀 눈치 보여서"



김씨처럼 아이를 낳은 뒤 직장에 복귀한 여성들은 모유 수유 때문에 날마다 전쟁을 치르고 있습니다.



인터넷 카페에는 직장에 복귀한 뒤 억지로 모유를 끊었는데 아이가 분유를 거부해 다른 사람의 모유를 구한다는 등 현대판 ’젖 동냥’ 사연이 넘쳐납니다.



남는 모유를 보관했다가 나눠주고 있는 지아임 씨는 요즘 곤란할 때가 한두 번이 아닙니다.



모유를 나눠달라는 신청이 너무 많아섭니다.



<인터뷰>지아임(서초구 양재동) : "언제까지 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나올 때까지는, 모유를 계속 하는 동안은 나눌 수 있는 만큼 나눠야겠다고 생각해서…"



아이에게 모유를 먹이고 싶다는 엄마의 마음에 직장 여성들이 현대판 젖동냥에 나서고 있습니다.



<질문> 이렇게 육아가 힘들다 보니까 여성의 사회 진출이 어렵고, 또 출산율도 떨어지는 거겠죠?



<답변>



네, 육아에 힘을 쏟으려면 여성들이 직장을 그만두거나 쉬운 일자리로 옮길 수밖에 없는데요.



20대 여성의 임금은 남성의 92%에 달하지만, 40대가 되면 남성 임금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합니다.



거꾸로 사회생활을 열심히 하자면 출산을 기피하게 되는데요.



여성의 임금이 10% 오르면 둘째아이 출산율이 1%포인트 떨어진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이러다 보니 육아가 당사자를 넘어 한 세대 위인 할머니에게 전가되면서 또 다른 여성 문제를 낳고 있습니다.



김해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어린이집이 끝날 시간, 아이를 데려가는 보호자 3명 가운데 2명은 할머닙니다.



대부분 맞벌이하는 자식 대신 어쩔 수 없이 아이들을 돌보고 있습니다.



<인터뷰>이숙자(68살) : "못 아프지, 어디 갈 수도 없어. 애네들 때문에 남들은 다리 수술한다고 그러는데"



다섯 살짜리 외손자와 생활하는 이상림 할머니는 내심 직장에 다니는 딸이 둘째를 낳는다고 할까 봐 두렵습니다.



<인터뷰>이상림(68살) : "(직장에) 육아시설이 돼있으면 (딸이) 할 수 있을 텐데 힘들어도 (내가) 봐야지 어떻게 해요? 힘들어도!"



현재 보육시설 이용 대상인 만 6살 이하 아동들의 수는 323만 명,



하지만, 국내 보육시설 수용 인원은 117만 명에 불과하고, 그나마 선호하는 국공립 시설은 13만 명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다 보니 어쩔 수 없이 육아에 내몰린 노인들이 각종 질병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인터뷰>김경수(서울성모병원 가정의학) : "퇴행을 보이는 상황에서 아이를 돌봐야 한다는 심리적 부담감에 육체적으로 아프게 되고…"



맞벌이 부부가 급증하는데 육아정책은 이를 뒷받침하지 못해 자녀 양육을 마친 황혼기 여성들이 다시 아이들에게 매여있습니다.



KBS 뉴스 김해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뉴스] 여성시대 ‘명과 암’ 육아부담 해법은?
    • 입력 2011-03-09 22:06:57
    • 수정2011-03-11 02:04:20
    뉴스 9
<앵커 멘트>

어제가 세계 여성의 날이었는데요.

사회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엘리트 여성이 증가하면서, 이들을 부르는 ’알파걸’이라는 신조어까지 생겨났습니다.

우리나라도 지난해 외무고시 합격자의 60%가 여성이었고, 행정고시와 사법시험도 합격자의 절반 정도가 여성입니다.

오늘 이슈&뉴스에서는 이렇게 늘어나고 있는 여성의 사회진출, 그 이면을 들여다 봅니다.

먼저, 직장 여성들의 고민을 안다영 기자가 들어봤습니다.

<리포트>

레스토랑 홍보를 위해 거리로 나선 35살 성상희 씨.

<녹취> "금요일까지 계속 11시 50분에 드려요."

유명 레스토랑 브랜드 8곳의 마케팅을 총괄하고, 대학 전임강사로도 왕성하게 활동하는 이른바 ’알파걸’입니다.

직장 생활 11년차로 웬만큼 안정적인 위치에 올랐지만 일에 부담이 될까 봐 결혼을 미루고 있습니다.

<인터뷰>성상희(레스토랑 마케팅 팀장) : "지금처럼 편하게 제 맘대로 시간을 활용 해서 일에 집중할 수 있는 부분은 조금
상황이 달라질 거 아니에요."

4살 난 딸이 있는 10년 경력의 호텔리어 민경란 씨.

<녹취> "회사 그만두기 전에 기념으로 찍은 사진이에요."

한창 일할 때지만 둘째를 임신하면서 두 달 전, 일을 그만뒀습니다.

<인터뷰>민경란(전직 호텔리어) : "일단은 아기 키우는데 집중한 다음에 나중에 일자리를 찾아보게 되지 않을까 싶은데 그 땐 과연 내가 원하는 걸 할 수 있을까…"

영어 방송 진행자인 김네모 씨는 오전, 오후 2~3시간씩만 일하는 프리랜서입니다.

역시 4살 난 딸이 있는데 틈틈이 집으로 돌아가 아이를 볼 수 있어 그나마 일과 육아를 함께하고 있습니다.

<인터뷰>김네모(프리랜서 영어 방송인) : "직장에 속해 있는 친구들 보면 정말 여러 가지 어려움이 많더라고요. 그나마 저는 좀 더 자유로우니까."

일과 결혼, 어느 것 하나 포기하기 어렵지만 둘 다 지켜나가기는 더 힘든 게 직장 여성들의 현실입니다.

<질문> 사회 각 분야에서 ’여풍’이 불고 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장벽이 많은 것 같은데요? 윤지연 기자,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어떤가요?

<답변>

네, 우리나라 여성의 사회진출이 늘었다고는 하지만, 한창 일할 30~40대에 육아 문제로 ’경력’이 단절되면서 남성과의 경쟁에서 낙오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은 47%로 OECD 국가 평균인 62%를 크게 밑돌고 있습니다.

이 경제활동 참여율에 있어 남녀를 비교한 성불평등지수는 138개 나라 가운데 90위일 만큼 남녀 간의 격차가 큽니다.

직장과 육아를 병행하려면 남모르는 고민과 고통이 한두 가지가 아닌데요.

최근에는 아이에게 젖을 먹이고 싶은 마음에 ’젖동냥’을 하는 직장 여성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손은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출산을 하고 넉 달 전에 복직한 김문정 씨의 책상 위에는 집에 두고 온 아들의 사진이 놓여 있습니다.

소중한 한율이가 태어난 지 일곱 달째.

김씨는 생후 일 년 동안은 모유를 먹이겠다고 결심했지만, 일을 하면서 모유를 모으는 일이 하루하루 더 어렵게 느껴집니다.

<인터뷰>김문정(서초구 잠원동) : "점심 먹고 짜고, 여섯 시 넘어서 짜거든요. 괜히 좀…땡땡이는 아니지만 10분, 15분도 좀 눈치 보여서"

김씨처럼 아이를 낳은 뒤 직장에 복귀한 여성들은 모유 수유 때문에 날마다 전쟁을 치르고 있습니다.

인터넷 카페에는 직장에 복귀한 뒤 억지로 모유를 끊었는데 아이가 분유를 거부해 다른 사람의 모유를 구한다는 등 현대판 ’젖 동냥’ 사연이 넘쳐납니다.

남는 모유를 보관했다가 나눠주고 있는 지아임 씨는 요즘 곤란할 때가 한두 번이 아닙니다.

모유를 나눠달라는 신청이 너무 많아섭니다.

<인터뷰>지아임(서초구 양재동) : "언제까지 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나올 때까지는, 모유를 계속 하는 동안은 나눌 수 있는 만큼 나눠야겠다고 생각해서…"

아이에게 모유를 먹이고 싶다는 엄마의 마음에 직장 여성들이 현대판 젖동냥에 나서고 있습니다.

<질문> 이렇게 육아가 힘들다 보니까 여성의 사회 진출이 어렵고, 또 출산율도 떨어지는 거겠죠?

<답변>

네, 육아에 힘을 쏟으려면 여성들이 직장을 그만두거나 쉬운 일자리로 옮길 수밖에 없는데요.

20대 여성의 임금은 남성의 92%에 달하지만, 40대가 되면 남성 임금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합니다.

거꾸로 사회생활을 열심히 하자면 출산을 기피하게 되는데요.

여성의 임금이 10% 오르면 둘째아이 출산율이 1%포인트 떨어진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이러다 보니 육아가 당사자를 넘어 한 세대 위인 할머니에게 전가되면서 또 다른 여성 문제를 낳고 있습니다.

김해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어린이집이 끝날 시간, 아이를 데려가는 보호자 3명 가운데 2명은 할머닙니다.

대부분 맞벌이하는 자식 대신 어쩔 수 없이 아이들을 돌보고 있습니다.

<인터뷰>이숙자(68살) : "못 아프지, 어디 갈 수도 없어. 애네들 때문에 남들은 다리 수술한다고 그러는데"

다섯 살짜리 외손자와 생활하는 이상림 할머니는 내심 직장에 다니는 딸이 둘째를 낳는다고 할까 봐 두렵습니다.

<인터뷰>이상림(68살) : "(직장에) 육아시설이 돼있으면 (딸이) 할 수 있을 텐데 힘들어도 (내가) 봐야지 어떻게 해요? 힘들어도!"

현재 보육시설 이용 대상인 만 6살 이하 아동들의 수는 323만 명,

하지만, 국내 보육시설 수용 인원은 117만 명에 불과하고, 그나마 선호하는 국공립 시설은 13만 명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다 보니 어쩔 수 없이 육아에 내몰린 노인들이 각종 질병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인터뷰>김경수(서울성모병원 가정의학) : "퇴행을 보이는 상황에서 아이를 돌봐야 한다는 심리적 부담감에 육체적으로 아프게 되고…"

맞벌이 부부가 급증하는데 육아정책은 이를 뒷받침하지 못해 자녀 양육을 마친 황혼기 여성들이 다시 아이들에게 매여있습니다.

KBS 뉴스 김해정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