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국제유가가 불안한 요즘 영국에선 '녹색 바람'이 일고 있습니다.
5년 뒤엔 모든 신규주택이 탄소를 전혀 배출하지 않게 하겠다는 게 목표인데요.
먼저 용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영국 런던의 한 주택단지입니다.
집 위에 바람을 이용한 환풍시설이 달려 있습니다.
태양광 전기판이 지붕뿐만 아니라 유리창에도 설치됐습니다.
유리창은 3중창, 벽엔 30센티미터 이상의 단열재가 들어갔습니다.
온수와 난방은 주택단지에 있는 바이오 발전시설에서 제공합니다.
여기 주택단지의 이점은 독특한 시설에만 있는 게 아닙니다.
여기 주민들의 삶 자체가 친환경적으로 바뀌었다는 게 보다 중요한 변화입니다.
백 가구가 거주한 지 9년째, 전기사용량은 다른 마을에 비해 절반 수준이고 온수와 난방 사용량도 30%에 불과할 정도로 생활 방식이 달라졌습니다.
<인터뷰> 제니(베드제드 홍보담당) : :이웃이 재활용이나 카클럽에 참여하는 것으로 보고 주민들이 '그게 정상적이구나' 하면서 그걸 따라하는 거죠."
영국 정부는 이런 친환경 주택 보급을 국가 전략적 과제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주택마다 탄소배출량에 따라 1에서 6단계까지 등급을 정하고 신규 주택은 일정 등급을 지키도록 했습니다.
<인터뷰> 시몬 가이(영국건축기술연구소 홍보부장) : "점차로 등급을 높여가죠. 정부가 목표등급을 높일 것을 요구합니다."
주택이 배출하는 탄소량은 영국 전체의 1/4, 5년 뒤 2016년에는 모든 신규 주택을 탄소 제로로 만들겠다는 게 영국의 야심 찬 목표입니다.
런던에서 KBS 뉴스 용태영입니다.
<앵커 멘트>
우리나라 상황, 짚어볼까요?
온실가스 중에 4분의 1 정도가 '건물'에서 배출되는군요.
산업보다는 적은 편이지만 교통분야보다는 많죠?
그럼 우리 정부는 어떻게 온실가스 정책을 세웠는지 또 잘 지키고 있는지 정홍규 기자가 점검했습니다.
<리포트>
에너지 절감형으로 지어지고 있는 한 주택입니다.
단열재를 기준보다 4배나 두껍게 쓰는 등 에너지 효율을 크게 높혔습니다.
하지만 비싼 건축비 때문에 80% 이상 에너지 소비를 줄이려 했던 당초 목표는 수정해야 했습니다.
<인터뷰> 장석진(건축사) : "건축주 입장에서는 당장 투여되는 비용이 만만치 않았기 때문에 애초에 계획했던 여러가지 요소들을 감소를 시켰죠. "
태양열 등 신재생 에너지 시설 설치 비용은 정부 지원금이 나오지만 에너지 저소비 건물에 대해서는 지원금이 전혀 없다는 게 문제입니다.
정부는 당장 내년부터 건축물의 냉난방에너지 소비 기준을 현재의 절반 수준으로 줄인다는 계획입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제도조차 마련되지 않은 형편입니다.
<인터뷰> 황석호(연세대 선임연구원) : "정부 공인된 기준을 마련하고, 그 기준을 만족하는 주택을 지었을 경우에는 공사비를 일부 보존해 준다든지 아니면 다른 세제적인 혜택을..."
전문가들은 특히 에너지 절감형 건축물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공공 건물부터 우선적으로 관련 설계를 의무화 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정홍규입니다.
국제유가가 불안한 요즘 영국에선 '녹색 바람'이 일고 있습니다.
5년 뒤엔 모든 신규주택이 탄소를 전혀 배출하지 않게 하겠다는 게 목표인데요.
먼저 용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영국 런던의 한 주택단지입니다.
집 위에 바람을 이용한 환풍시설이 달려 있습니다.
태양광 전기판이 지붕뿐만 아니라 유리창에도 설치됐습니다.
유리창은 3중창, 벽엔 30센티미터 이상의 단열재가 들어갔습니다.
온수와 난방은 주택단지에 있는 바이오 발전시설에서 제공합니다.
여기 주택단지의 이점은 독특한 시설에만 있는 게 아닙니다.
여기 주민들의 삶 자체가 친환경적으로 바뀌었다는 게 보다 중요한 변화입니다.
백 가구가 거주한 지 9년째, 전기사용량은 다른 마을에 비해 절반 수준이고 온수와 난방 사용량도 30%에 불과할 정도로 생활 방식이 달라졌습니다.
<인터뷰> 제니(베드제드 홍보담당) : :이웃이 재활용이나 카클럽에 참여하는 것으로 보고 주민들이 '그게 정상적이구나' 하면서 그걸 따라하는 거죠."
영국 정부는 이런 친환경 주택 보급을 국가 전략적 과제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주택마다 탄소배출량에 따라 1에서 6단계까지 등급을 정하고 신규 주택은 일정 등급을 지키도록 했습니다.
<인터뷰> 시몬 가이(영국건축기술연구소 홍보부장) : "점차로 등급을 높여가죠. 정부가 목표등급을 높일 것을 요구합니다."
주택이 배출하는 탄소량은 영국 전체의 1/4, 5년 뒤 2016년에는 모든 신규 주택을 탄소 제로로 만들겠다는 게 영국의 야심 찬 목표입니다.
런던에서 KBS 뉴스 용태영입니다.
<앵커 멘트>
우리나라 상황, 짚어볼까요?
온실가스 중에 4분의 1 정도가 '건물'에서 배출되는군요.
산업보다는 적은 편이지만 교통분야보다는 많죠?
그럼 우리 정부는 어떻게 온실가스 정책을 세웠는지 또 잘 지키고 있는지 정홍규 기자가 점검했습니다.
<리포트>
에너지 절감형으로 지어지고 있는 한 주택입니다.
단열재를 기준보다 4배나 두껍게 쓰는 등 에너지 효율을 크게 높혔습니다.
하지만 비싼 건축비 때문에 80% 이상 에너지 소비를 줄이려 했던 당초 목표는 수정해야 했습니다.
<인터뷰> 장석진(건축사) : "건축주 입장에서는 당장 투여되는 비용이 만만치 않았기 때문에 애초에 계획했던 여러가지 요소들을 감소를 시켰죠. "
태양열 등 신재생 에너지 시설 설치 비용은 정부 지원금이 나오지만 에너지 저소비 건물에 대해서는 지원금이 전혀 없다는 게 문제입니다.
정부는 당장 내년부터 건축물의 냉난방에너지 소비 기준을 현재의 절반 수준으로 줄인다는 계획입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제도조차 마련되지 않은 형편입니다.
<인터뷰> 황석호(연세대 선임연구원) : "정부 공인된 기준을 마련하고, 그 기준을 만족하는 주택을 지었을 경우에는 공사비를 일부 보존해 준다든지 아니면 다른 세제적인 혜택을..."
전문가들은 특히 에너지 절감형 건축물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공공 건물부터 우선적으로 관련 설계를 의무화 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정홍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에너지 고갈 시대’ 주택부터 녹색 혁명
-
- 입력 2011-03-29 22:10:02
<앵커 멘트>
국제유가가 불안한 요즘 영국에선 '녹색 바람'이 일고 있습니다.
5년 뒤엔 모든 신규주택이 탄소를 전혀 배출하지 않게 하겠다는 게 목표인데요.
먼저 용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영국 런던의 한 주택단지입니다.
집 위에 바람을 이용한 환풍시설이 달려 있습니다.
태양광 전기판이 지붕뿐만 아니라 유리창에도 설치됐습니다.
유리창은 3중창, 벽엔 30센티미터 이상의 단열재가 들어갔습니다.
온수와 난방은 주택단지에 있는 바이오 발전시설에서 제공합니다.
여기 주택단지의 이점은 독특한 시설에만 있는 게 아닙니다.
여기 주민들의 삶 자체가 친환경적으로 바뀌었다는 게 보다 중요한 변화입니다.
백 가구가 거주한 지 9년째, 전기사용량은 다른 마을에 비해 절반 수준이고 온수와 난방 사용량도 30%에 불과할 정도로 생활 방식이 달라졌습니다.
<인터뷰> 제니(베드제드 홍보담당) : :이웃이 재활용이나 카클럽에 참여하는 것으로 보고 주민들이 '그게 정상적이구나' 하면서 그걸 따라하는 거죠."
영국 정부는 이런 친환경 주택 보급을 국가 전략적 과제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주택마다 탄소배출량에 따라 1에서 6단계까지 등급을 정하고 신규 주택은 일정 등급을 지키도록 했습니다.
<인터뷰> 시몬 가이(영국건축기술연구소 홍보부장) : "점차로 등급을 높여가죠. 정부가 목표등급을 높일 것을 요구합니다."
주택이 배출하는 탄소량은 영국 전체의 1/4, 5년 뒤 2016년에는 모든 신규 주택을 탄소 제로로 만들겠다는 게 영국의 야심 찬 목표입니다.
런던에서 KBS 뉴스 용태영입니다.
<앵커 멘트>
우리나라 상황, 짚어볼까요?
온실가스 중에 4분의 1 정도가 '건물'에서 배출되는군요.
산업보다는 적은 편이지만 교통분야보다는 많죠?
그럼 우리 정부는 어떻게 온실가스 정책을 세웠는지 또 잘 지키고 있는지 정홍규 기자가 점검했습니다.
<리포트>
에너지 절감형으로 지어지고 있는 한 주택입니다.
단열재를 기준보다 4배나 두껍게 쓰는 등 에너지 효율을 크게 높혔습니다.
하지만 비싼 건축비 때문에 80% 이상 에너지 소비를 줄이려 했던 당초 목표는 수정해야 했습니다.
<인터뷰> 장석진(건축사) : "건축주 입장에서는 당장 투여되는 비용이 만만치 않았기 때문에 애초에 계획했던 여러가지 요소들을 감소를 시켰죠. "
태양열 등 신재생 에너지 시설 설치 비용은 정부 지원금이 나오지만 에너지 저소비 건물에 대해서는 지원금이 전혀 없다는 게 문제입니다.
정부는 당장 내년부터 건축물의 냉난방에너지 소비 기준을 현재의 절반 수준으로 줄인다는 계획입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제도조차 마련되지 않은 형편입니다.
<인터뷰> 황석호(연세대 선임연구원) : "정부 공인된 기준을 마련하고, 그 기준을 만족하는 주택을 지었을 경우에는 공사비를 일부 보존해 준다든지 아니면 다른 세제적인 혜택을..."
전문가들은 특히 에너지 절감형 건축물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공공 건물부터 우선적으로 관련 설계를 의무화 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정홍규입니다.
-
-
용태영 기자 yongty@kbs.co.kr
용태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