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화호 물 유입” 형도 저류지 민물고기 떼죽음
입력 2012.06.27 (22:03)
수정 2012.06.28 (07: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시화호와 둑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는 저류지에서 민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했습니다.
극심한 가뭄으로 저류지의 물이 마르면서 염분이 섞인 시화호 물이 흘러든 것으로 보입니다.
김가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기도 화성시에 있는 형도 저류지.
물이 남아 있는 웅덩이로 다가가자, 물고기들이 허연 배를 드러낸 채 죽어 떠 있습니다.
손으로 줍고 뜰채로 걷어내고 어제와 오늘 이틀 동안 수거한 양은 무려 3톤.
모두 붕어와 가물치 같은 민물고기입니다.
<인터뷰> 박영춘(화성시 송산면) : "지금 존재하고 있는 것은 바닷물에도 적응 할 수 있는 고기가 생존해 있고, 그렇지 못한 고기들은 떼죽음 한 거에요."
시화호와 둑 하나를 사이에 둔 저류지가 가뭄으로 수위가 낮아지면서 압력차이가 발생하자, 염분이 있는 시화호의 물이 스며든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저류지의 면적은 백만 제곱미터 정도 됩니다.
하지만, 극심한 가뭄에 물이 남은 곳은 1/10도 채 되지 않습니다.
저류지의 염도를 측정해 봤습니다.
염도는 14.6퍼밀, 보통 민물의 염도보다 다섯 배 정도 높습니다.
시화호와 근접한 저류지의 염도는 무려 28.76퍼밀로 거의 바닷물 수준입니다.
<인터뷰> 신창수(수자원공사) : "물의 양으로 본다면 지금이 과거에 비해서 20~30% 정도밖에 없습니다. 염분도 자체가 자꾸 높아지기 때문에.."
10여 년 전, 빗물이 고이면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귀중한 생태계.
민물과 바닷고기가 공존했던 그곳도 최악의 가뭄 앞에 죽어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가림입니다.
시화호와 둑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는 저류지에서 민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했습니다.
극심한 가뭄으로 저류지의 물이 마르면서 염분이 섞인 시화호 물이 흘러든 것으로 보입니다.
김가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기도 화성시에 있는 형도 저류지.
물이 남아 있는 웅덩이로 다가가자, 물고기들이 허연 배를 드러낸 채 죽어 떠 있습니다.
손으로 줍고 뜰채로 걷어내고 어제와 오늘 이틀 동안 수거한 양은 무려 3톤.
모두 붕어와 가물치 같은 민물고기입니다.
<인터뷰> 박영춘(화성시 송산면) : "지금 존재하고 있는 것은 바닷물에도 적응 할 수 있는 고기가 생존해 있고, 그렇지 못한 고기들은 떼죽음 한 거에요."
시화호와 둑 하나를 사이에 둔 저류지가 가뭄으로 수위가 낮아지면서 압력차이가 발생하자, 염분이 있는 시화호의 물이 스며든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저류지의 면적은 백만 제곱미터 정도 됩니다.
하지만, 극심한 가뭄에 물이 남은 곳은 1/10도 채 되지 않습니다.
저류지의 염도를 측정해 봤습니다.
염도는 14.6퍼밀, 보통 민물의 염도보다 다섯 배 정도 높습니다.
시화호와 근접한 저류지의 염도는 무려 28.76퍼밀로 거의 바닷물 수준입니다.
<인터뷰> 신창수(수자원공사) : "물의 양으로 본다면 지금이 과거에 비해서 20~30% 정도밖에 없습니다. 염분도 자체가 자꾸 높아지기 때문에.."
10여 년 전, 빗물이 고이면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귀중한 생태계.
민물과 바닷고기가 공존했던 그곳도 최악의 가뭄 앞에 죽어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가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시화호 물 유입” 형도 저류지 민물고기 떼죽음
-
- 입력 2012-06-27 22:03:00
- 수정2012-06-28 07:28:14
<앵커 멘트>
시화호와 둑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는 저류지에서 민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했습니다.
극심한 가뭄으로 저류지의 물이 마르면서 염분이 섞인 시화호 물이 흘러든 것으로 보입니다.
김가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기도 화성시에 있는 형도 저류지.
물이 남아 있는 웅덩이로 다가가자, 물고기들이 허연 배를 드러낸 채 죽어 떠 있습니다.
손으로 줍고 뜰채로 걷어내고 어제와 오늘 이틀 동안 수거한 양은 무려 3톤.
모두 붕어와 가물치 같은 민물고기입니다.
<인터뷰> 박영춘(화성시 송산면) : "지금 존재하고 있는 것은 바닷물에도 적응 할 수 있는 고기가 생존해 있고, 그렇지 못한 고기들은 떼죽음 한 거에요."
시화호와 둑 하나를 사이에 둔 저류지가 가뭄으로 수위가 낮아지면서 압력차이가 발생하자, 염분이 있는 시화호의 물이 스며든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저류지의 면적은 백만 제곱미터 정도 됩니다.
하지만, 극심한 가뭄에 물이 남은 곳은 1/10도 채 되지 않습니다.
저류지의 염도를 측정해 봤습니다.
염도는 14.6퍼밀, 보통 민물의 염도보다 다섯 배 정도 높습니다.
시화호와 근접한 저류지의 염도는 무려 28.76퍼밀로 거의 바닷물 수준입니다.
<인터뷰> 신창수(수자원공사) : "물의 양으로 본다면 지금이 과거에 비해서 20~30% 정도밖에 없습니다. 염분도 자체가 자꾸 높아지기 때문에.."
10여 년 전, 빗물이 고이면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귀중한 생태계.
민물과 바닷고기가 공존했던 그곳도 최악의 가뭄 앞에 죽어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가림입니다.
-
-
김가림 기자 garima@kbs.co.kr
김가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