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취재] 출산 산모 사망 비율 OECD 2배…왜?

입력 2012.11.30 (22:02) 수정 2012.11.30 (22: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출산을 하다 숨지는 여성이 급격히 늘고 있습니다.

통계청 조사결과 출생아10만명당 숨지는 산모가 지난2008년 12.4명으로 가장 적었다가 3년새 17.2명으로 급증했습니다.

OECD평균의 두배 가까운 수친데요.

산모사망이 늘어난 이유는 무엇인지 박광식 의학전문기자가 심층보도합니다.


<리포트>

출산하던 30살 산모가 과다출혈로 쇼크에 빠져 대학병원으로 이송됐습니다.

조금만 지체했더라면 생명이 위험할 뻔했습니다.

<인터뷰> 과다출혈 산모 보호자(음성변조) : "이런 상황이 닥칠 것을 전혀 예상을 못 했고, 출산 후에 벌어진 상황이라서 정말 어떻게 너무 당황한 상황이었고요."

산모 사망의 70%가량은 분만 과정의 출혈과 색전증이 원인이고 나머지는 고령 임신으로 인한 고위험 산모의 증가 때문인데, 3년 새 6배나 증가했습니다.

<인터뷰> 오수영(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 교수) : "35세 이상인 경우 고령 산모로 분류가 되는데, 그런 산모들은 임신중에 혈압이라든지 당뇨 또는 전치태반, 이런 것들이 동반될 확률이 높아서 아기 낳고 나서 위험한 경우가 많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 분만 중 예상치 못한 응급상황이 생길 경우 이에 대처할 의료환경이 급속히 나빠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윤정한(35세/산모) : "일단 아기를 보살펴줄 수 있는 시설이 있는 곳과 그 다음에 응급으로 엄마 상황이 됐을 때 수혈할 수 있는 병원이 없어요. 주변에..."

실제로 산부인과 전문의가 지난 2001년 270명에서 올해 단 90명만 배출됐습니다.

또 의료소송 위험과 응급 진료를 기피하는 풍조로 기존 산부인과 시설조차 문을 닫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터뷰> 김소윤(연세대 의료법윤리학과 교수) : "실질적으로 이건 공공의 투자가 필요한 영역으로 볼 수가 있거든요. 어떻게 보면 응급의료기관처럼 응급의료에 대해 공공이 투자를 하듯이 이런 산과시설이나 산과에 관련된 인력에 대한 비용들이 정부에서 재원을 조달해서..."

산모사망률의 증가는 우리나라 출산 인프라의 붕괴를 의미하는 만큼 정부차원에서 대책마련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박광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층취재] 출산 산모 사망 비율 OECD 2배…왜?
    • 입력 2012-11-30 22:02:34
    • 수정2012-11-30 22:10:13
    뉴스 9
<앵커 멘트> 출산을 하다 숨지는 여성이 급격히 늘고 있습니다. 통계청 조사결과 출생아10만명당 숨지는 산모가 지난2008년 12.4명으로 가장 적었다가 3년새 17.2명으로 급증했습니다. OECD평균의 두배 가까운 수친데요. 산모사망이 늘어난 이유는 무엇인지 박광식 의학전문기자가 심층보도합니다. <리포트> 출산하던 30살 산모가 과다출혈로 쇼크에 빠져 대학병원으로 이송됐습니다. 조금만 지체했더라면 생명이 위험할 뻔했습니다. <인터뷰> 과다출혈 산모 보호자(음성변조) : "이런 상황이 닥칠 것을 전혀 예상을 못 했고, 출산 후에 벌어진 상황이라서 정말 어떻게 너무 당황한 상황이었고요." 산모 사망의 70%가량은 분만 과정의 출혈과 색전증이 원인이고 나머지는 고령 임신으로 인한 고위험 산모의 증가 때문인데, 3년 새 6배나 증가했습니다. <인터뷰> 오수영(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 교수) : "35세 이상인 경우 고령 산모로 분류가 되는데, 그런 산모들은 임신중에 혈압이라든지 당뇨 또는 전치태반, 이런 것들이 동반될 확률이 높아서 아기 낳고 나서 위험한 경우가 많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 분만 중 예상치 못한 응급상황이 생길 경우 이에 대처할 의료환경이 급속히 나빠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윤정한(35세/산모) : "일단 아기를 보살펴줄 수 있는 시설이 있는 곳과 그 다음에 응급으로 엄마 상황이 됐을 때 수혈할 수 있는 병원이 없어요. 주변에..." 실제로 산부인과 전문의가 지난 2001년 270명에서 올해 단 90명만 배출됐습니다. 또 의료소송 위험과 응급 진료를 기피하는 풍조로 기존 산부인과 시설조차 문을 닫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터뷰> 김소윤(연세대 의료법윤리학과 교수) : "실질적으로 이건 공공의 투자가 필요한 영역으로 볼 수가 있거든요. 어떻게 보면 응급의료기관처럼 응급의료에 대해 공공이 투자를 하듯이 이런 산과시설이나 산과에 관련된 인력에 대한 비용들이 정부에서 재원을 조달해서..." 산모사망률의 증가는 우리나라 출산 인프라의 붕괴를 의미하는 만큼 정부차원에서 대책마련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박광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