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진단] 난방기 화재 잇따라…“소방설비 20% 미작동”
입력 2013.11.20 (21:05)
수정 2013.11.20 (22: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추위가 찾아오면서 화재도 늘고 있습니다.
지난해 화재가 4만 3천여 건에 이르는데요. 특히 날씨가 추운 11월부터 2월 사이에 난 화재가 37%에 이릅니다.
그런데 소방설비가 설치돼 있는데도 작동하지 않아 피해를 더 키운 화재가 해마다 20% 에 달합니다.
엉터리 소방설비 때문에 귀중한 생명과 재산을 잃고 있는 셈인데요.
정연욱 기자가 그 실태를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시뻘건 화염이 연기와 함께 치솟습니다.
건물 3층의 식당에서 시작된 불로 5층에 있던 20대 여성이 불을 피해 뛰어내렸다 숨졌습니다.
층마다 화재경보기가 설치돼 있었지만 작동하지 않아 제때 대피할 수 없었습니다.
<녹취> 소방방재청 관계자 : "(경보기가)차단이 돼 있어서 화재를 인지를 못하고 대피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죠."
소방설비가 작동하지 않은 화재로 지난 3년 동안 150명이 숨지고 천 5백여 명이 다쳤습니다.
재산피해액도 2천4백여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소방설비만 제대로 작동했어도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었습니다.
실제로 취재진이 서울의 한 상가건물의 소방설비를 점검해봤습니다.
불이 나지 않았는데도 화재 경보등이 켜져 있습니다.
비상벨을 눌러도 울리지 않습니다.
화재감지기에 불을 가까이 댔는데도 전혀 반응이 없습니다.
<녹취> "이 수신반이 화재발생을 감지해서 각 층이라든지 여기서 경보를 울려줘야 하는데 지금 현재 그 역할을 못하고 있는 거죠."
소방시설을 반드시 갖춰야 하는 전국의 건물 가운데 23%를 표본 조사했더니 40%는 소방설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소방시설이 작동하지 않는 사이 불은 소중한 목숨과 재산을 앗아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앵커 멘트>
핵심 소방설비는 소방방재청의 승인을 받은 제품만 반드시 설치해야 하고, 준공 검사 때는 확인 절차도 거칩니다.
생명과 재산을 지켜야 하는만큼 꼼꼼히 따지는 건데요, 그런데도 왜이렇게 불량설비가 많은걸까요.
계속해서 김성한 기자입니다.
<리포트>
아파트 주차장에 난 화재로 차량 56대가 불탔습니다.
<인터뷰> 이용관(소방령/의왕소방서) : "현장에 갔을 때 다량의 연기와 최성기 상태였고, 주변에 살려달라고 아우성이고"
새 아파트에 입주한 지 불과 6달, 하지만, 처음부터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아 아예 꺼 놓았던 겁니다.
어떻게 준공검사가 났는지, 주민들은 의문을 제기합니다.
시중에 유통되는 화재감지기입니다.
매우 조잡해 금세 불량이 날 수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소방방재청 관계자 : "저가 부품이나 저급 재료를 쓰기 때문에 장기간 갔을 때는 무리가 생긴다는 거죠. 내구성이 떨어질 수가 있다."
우리나라 소방검인증 제품의 성능은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 대비 70% 수준, 수출은 엄두도 내지 못합니다.
더구나 화재로 정전이 됐을 때 꼭 필요한 대피 유도판은 인증제품을 쓰지 않아도 돼 저가 유도판은 잘 보이지도 않습니다.
<녹취> 소방설비업자 : "장기적인 보장이 나는 제품이 아니라 한 1년 정도 법적인 자격만 겨우 넘기는 그런 제품을 저희가 쓰다 보니까"
<인터뷰> 이창우(숭실사이버대 교수) : "신뢰성이 떨어지는 시설물을 가지고 있다보니 화재가 나거나 그러면 신뢰도가 떨어지니까 결국은 소화성능을 제대로 발휘 못 하게 되는 거고, 그래서 피해가 커질 수밖에는 것이죠."
소방설비 성능 기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강화하고, 책임 있는 준공 검사 도입도 시급합니다.
KBS 뉴스 김성한입니다.
추위가 찾아오면서 화재도 늘고 있습니다.
지난해 화재가 4만 3천여 건에 이르는데요. 특히 날씨가 추운 11월부터 2월 사이에 난 화재가 37%에 이릅니다.
그런데 소방설비가 설치돼 있는데도 작동하지 않아 피해를 더 키운 화재가 해마다 20% 에 달합니다.
엉터리 소방설비 때문에 귀중한 생명과 재산을 잃고 있는 셈인데요.
정연욱 기자가 그 실태를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시뻘건 화염이 연기와 함께 치솟습니다.
건물 3층의 식당에서 시작된 불로 5층에 있던 20대 여성이 불을 피해 뛰어내렸다 숨졌습니다.
층마다 화재경보기가 설치돼 있었지만 작동하지 않아 제때 대피할 수 없었습니다.
<녹취> 소방방재청 관계자 : "(경보기가)차단이 돼 있어서 화재를 인지를 못하고 대피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죠."
소방설비가 작동하지 않은 화재로 지난 3년 동안 150명이 숨지고 천 5백여 명이 다쳤습니다.
재산피해액도 2천4백여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소방설비만 제대로 작동했어도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었습니다.
실제로 취재진이 서울의 한 상가건물의 소방설비를 점검해봤습니다.
불이 나지 않았는데도 화재 경보등이 켜져 있습니다.
비상벨을 눌러도 울리지 않습니다.
화재감지기에 불을 가까이 댔는데도 전혀 반응이 없습니다.
<녹취> "이 수신반이 화재발생을 감지해서 각 층이라든지 여기서 경보를 울려줘야 하는데 지금 현재 그 역할을 못하고 있는 거죠."
소방시설을 반드시 갖춰야 하는 전국의 건물 가운데 23%를 표본 조사했더니 40%는 소방설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소방시설이 작동하지 않는 사이 불은 소중한 목숨과 재산을 앗아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앵커 멘트>
핵심 소방설비는 소방방재청의 승인을 받은 제품만 반드시 설치해야 하고, 준공 검사 때는 확인 절차도 거칩니다.
생명과 재산을 지켜야 하는만큼 꼼꼼히 따지는 건데요, 그런데도 왜이렇게 불량설비가 많은걸까요.
계속해서 김성한 기자입니다.
<리포트>
아파트 주차장에 난 화재로 차량 56대가 불탔습니다.
<인터뷰> 이용관(소방령/의왕소방서) : "현장에 갔을 때 다량의 연기와 최성기 상태였고, 주변에 살려달라고 아우성이고"
새 아파트에 입주한 지 불과 6달, 하지만, 처음부터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아 아예 꺼 놓았던 겁니다.
어떻게 준공검사가 났는지, 주민들은 의문을 제기합니다.
시중에 유통되는 화재감지기입니다.
매우 조잡해 금세 불량이 날 수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소방방재청 관계자 : "저가 부품이나 저급 재료를 쓰기 때문에 장기간 갔을 때는 무리가 생긴다는 거죠. 내구성이 떨어질 수가 있다."
우리나라 소방검인증 제품의 성능은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 대비 70% 수준, 수출은 엄두도 내지 못합니다.
더구나 화재로 정전이 됐을 때 꼭 필요한 대피 유도판은 인증제품을 쓰지 않아도 돼 저가 유도판은 잘 보이지도 않습니다.
<녹취> 소방설비업자 : "장기적인 보장이 나는 제품이 아니라 한 1년 정도 법적인 자격만 겨우 넘기는 그런 제품을 저희가 쓰다 보니까"
<인터뷰> 이창우(숭실사이버대 교수) : "신뢰성이 떨어지는 시설물을 가지고 있다보니 화재가 나거나 그러면 신뢰도가 떨어지니까 결국은 소화성능을 제대로 발휘 못 하게 되는 거고, 그래서 피해가 커질 수밖에는 것이죠."
소방설비 성능 기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강화하고, 책임 있는 준공 검사 도입도 시급합니다.
KBS 뉴스 김성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진단] 난방기 화재 잇따라…“소방설비 20% 미작동”
-
- 입력 2013-11-20 21:09:36
- 수정2013-11-20 22:38:36
<앵커 멘트>
추위가 찾아오면서 화재도 늘고 있습니다.
지난해 화재가 4만 3천여 건에 이르는데요. 특히 날씨가 추운 11월부터 2월 사이에 난 화재가 37%에 이릅니다.
그런데 소방설비가 설치돼 있는데도 작동하지 않아 피해를 더 키운 화재가 해마다 20% 에 달합니다.
엉터리 소방설비 때문에 귀중한 생명과 재산을 잃고 있는 셈인데요.
정연욱 기자가 그 실태를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시뻘건 화염이 연기와 함께 치솟습니다.
건물 3층의 식당에서 시작된 불로 5층에 있던 20대 여성이 불을 피해 뛰어내렸다 숨졌습니다.
층마다 화재경보기가 설치돼 있었지만 작동하지 않아 제때 대피할 수 없었습니다.
<녹취> 소방방재청 관계자 : "(경보기가)차단이 돼 있어서 화재를 인지를 못하고 대피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죠."
소방설비가 작동하지 않은 화재로 지난 3년 동안 150명이 숨지고 천 5백여 명이 다쳤습니다.
재산피해액도 2천4백여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소방설비만 제대로 작동했어도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었습니다.
실제로 취재진이 서울의 한 상가건물의 소방설비를 점검해봤습니다.
불이 나지 않았는데도 화재 경보등이 켜져 있습니다.
비상벨을 눌러도 울리지 않습니다.
화재감지기에 불을 가까이 댔는데도 전혀 반응이 없습니다.
<녹취> "이 수신반이 화재발생을 감지해서 각 층이라든지 여기서 경보를 울려줘야 하는데 지금 현재 그 역할을 못하고 있는 거죠."
소방시설을 반드시 갖춰야 하는 전국의 건물 가운데 23%를 표본 조사했더니 40%는 소방설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소방시설이 작동하지 않는 사이 불은 소중한 목숨과 재산을 앗아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앵커 멘트>
핵심 소방설비는 소방방재청의 승인을 받은 제품만 반드시 설치해야 하고, 준공 검사 때는 확인 절차도 거칩니다.
생명과 재산을 지켜야 하는만큼 꼼꼼히 따지는 건데요, 그런데도 왜이렇게 불량설비가 많은걸까요.
계속해서 김성한 기자입니다.
<리포트>
아파트 주차장에 난 화재로 차량 56대가 불탔습니다.
<인터뷰> 이용관(소방령/의왕소방서) : "현장에 갔을 때 다량의 연기와 최성기 상태였고, 주변에 살려달라고 아우성이고"
새 아파트에 입주한 지 불과 6달, 하지만, 처음부터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아 아예 꺼 놓았던 겁니다.
어떻게 준공검사가 났는지, 주민들은 의문을 제기합니다.
시중에 유통되는 화재감지기입니다.
매우 조잡해 금세 불량이 날 수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소방방재청 관계자 : "저가 부품이나 저급 재료를 쓰기 때문에 장기간 갔을 때는 무리가 생긴다는 거죠. 내구성이 떨어질 수가 있다."
우리나라 소방검인증 제품의 성능은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 대비 70% 수준, 수출은 엄두도 내지 못합니다.
더구나 화재로 정전이 됐을 때 꼭 필요한 대피 유도판은 인증제품을 쓰지 않아도 돼 저가 유도판은 잘 보이지도 않습니다.
<녹취> 소방설비업자 : "장기적인 보장이 나는 제품이 아니라 한 1년 정도 법적인 자격만 겨우 넘기는 그런 제품을 저희가 쓰다 보니까"
<인터뷰> 이창우(숭실사이버대 교수) : "신뢰성이 떨어지는 시설물을 가지고 있다보니 화재가 나거나 그러면 신뢰도가 떨어지니까 결국은 소화성능을 제대로 발휘 못 하게 되는 거고, 그래서 피해가 커질 수밖에는 것이죠."
소방설비 성능 기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강화하고, 책임 있는 준공 검사 도입도 시급합니다.
KBS 뉴스 김성한입니다.
추위가 찾아오면서 화재도 늘고 있습니다.
지난해 화재가 4만 3천여 건에 이르는데요. 특히 날씨가 추운 11월부터 2월 사이에 난 화재가 37%에 이릅니다.
그런데 소방설비가 설치돼 있는데도 작동하지 않아 피해를 더 키운 화재가 해마다 20% 에 달합니다.
엉터리 소방설비 때문에 귀중한 생명과 재산을 잃고 있는 셈인데요.
정연욱 기자가 그 실태를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시뻘건 화염이 연기와 함께 치솟습니다.
건물 3층의 식당에서 시작된 불로 5층에 있던 20대 여성이 불을 피해 뛰어내렸다 숨졌습니다.
층마다 화재경보기가 설치돼 있었지만 작동하지 않아 제때 대피할 수 없었습니다.
<녹취> 소방방재청 관계자 : "(경보기가)차단이 돼 있어서 화재를 인지를 못하고 대피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죠."
소방설비가 작동하지 않은 화재로 지난 3년 동안 150명이 숨지고 천 5백여 명이 다쳤습니다.
재산피해액도 2천4백여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소방설비만 제대로 작동했어도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었습니다.
실제로 취재진이 서울의 한 상가건물의 소방설비를 점검해봤습니다.
불이 나지 않았는데도 화재 경보등이 켜져 있습니다.
비상벨을 눌러도 울리지 않습니다.
화재감지기에 불을 가까이 댔는데도 전혀 반응이 없습니다.
<녹취> "이 수신반이 화재발생을 감지해서 각 층이라든지 여기서 경보를 울려줘야 하는데 지금 현재 그 역할을 못하고 있는 거죠."
소방시설을 반드시 갖춰야 하는 전국의 건물 가운데 23%를 표본 조사했더니 40%는 소방설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소방시설이 작동하지 않는 사이 불은 소중한 목숨과 재산을 앗아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앵커 멘트>
핵심 소방설비는 소방방재청의 승인을 받은 제품만 반드시 설치해야 하고, 준공 검사 때는 확인 절차도 거칩니다.
생명과 재산을 지켜야 하는만큼 꼼꼼히 따지는 건데요, 그런데도 왜이렇게 불량설비가 많은걸까요.
계속해서 김성한 기자입니다.
<리포트>
아파트 주차장에 난 화재로 차량 56대가 불탔습니다.
<인터뷰> 이용관(소방령/의왕소방서) : "현장에 갔을 때 다량의 연기와 최성기 상태였고, 주변에 살려달라고 아우성이고"
새 아파트에 입주한 지 불과 6달, 하지만, 처음부터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아 아예 꺼 놓았던 겁니다.
어떻게 준공검사가 났는지, 주민들은 의문을 제기합니다.
시중에 유통되는 화재감지기입니다.
매우 조잡해 금세 불량이 날 수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소방방재청 관계자 : "저가 부품이나 저급 재료를 쓰기 때문에 장기간 갔을 때는 무리가 생긴다는 거죠. 내구성이 떨어질 수가 있다."
우리나라 소방검인증 제품의 성능은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 대비 70% 수준, 수출은 엄두도 내지 못합니다.
더구나 화재로 정전이 됐을 때 꼭 필요한 대피 유도판은 인증제품을 쓰지 않아도 돼 저가 유도판은 잘 보이지도 않습니다.
<녹취> 소방설비업자 : "장기적인 보장이 나는 제품이 아니라 한 1년 정도 법적인 자격만 겨우 넘기는 그런 제품을 저희가 쓰다 보니까"
<인터뷰> 이창우(숭실사이버대 교수) : "신뢰성이 떨어지는 시설물을 가지고 있다보니 화재가 나거나 그러면 신뢰도가 떨어지니까 결국은 소화성능을 제대로 발휘 못 하게 되는 거고, 그래서 피해가 커질 수밖에는 것이죠."
소방설비 성능 기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강화하고, 책임 있는 준공 검사 도입도 시급합니다.
KBS 뉴스 김성한입니다.
-
-
정연욱 기자 donkey@kbs.co.kr
정연욱 기자의 기사 모음 -
김성한 기자 albatross@kbs.co.kr
김성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