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규모 공사장 ‘안전관리 사각지대’
입력 2015.11.28 (21:22)
수정 2015.11.28 (22: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공사장 안전 관리는 어디서나 철저하게 이뤄져야 하지만, 대규모 건설 현장에 비해 중소규모 공사장은 관리가 느슨하다고 합니다.
재해가 끊이질 않는 이유 가운데 하납니다.
박민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주택가 골목에 소규모 건축물을 짓는 공사가 한창입니다.
그런데, 공사 현장의 근로자들이 아무런 보호 장비도 없이 아슬아슬하게 철근을 나르고 있습니다.
<녹취> 공사장 근로자(음성변조) : "주택 조그만한 거 짓는데 안전 관리를 누가 하겠어요? 모자도 벗어놓고 할 수도 있는 거지.."
인근에 있는 오피스텔 건설 현장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공사 자재가 여기저기 어지럽게 흩어져 있습니다.
안전모를 쓴 근로자를 찾아보기 힘들고, 안전망이나 안전 펜스를 제대로 설치하지 않은 곳도 있습니다.
<녹취> 공사장 근로자(음성변조) : "(안전 감독하는 감독관은 따로 없나요?) "우리는 그게 없어요, 소규모라서."
공사비 총액이 120억 원 미만인 중·소규모 공사장의 경우 안전 점검을 전담하는 관리자를 둘 의무가 없어 안전 관리가 상대적으로 허술한 겁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건설현장 근로 재해의 90%가 중·소규모 공사장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전국 30만 개의 중·소규모 공사장을 담당하는 고용노동부의 근로 감독관이 350여 명에 불과해 근로 감독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녹취> 고용노동부 관계자(음성변조) : "모든 사업장에 대해서 점검 감독을 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그걸 100% 다 할 여력이 안 되기 때문에.."
사업주들의 안전 의식이 부족한 것도 문제입니다.
<인터뷰> 이필혁(안전보건공단 서울지역본부 팀장) : "안전보건 시스템을 구축하고, 반드시 근로자의 생명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상생 안전 경영'을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최근 5년 동안 중·소규모 공사장에서 10만 명이 넘는 근로자가 다쳤고, 이 가운데 천 8백여 명이 숨졌습니다.
KBS 뉴스 박민철입니다.
공사장 안전 관리는 어디서나 철저하게 이뤄져야 하지만, 대규모 건설 현장에 비해 중소규모 공사장은 관리가 느슨하다고 합니다.
재해가 끊이질 않는 이유 가운데 하납니다.
박민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주택가 골목에 소규모 건축물을 짓는 공사가 한창입니다.
그런데, 공사 현장의 근로자들이 아무런 보호 장비도 없이 아슬아슬하게 철근을 나르고 있습니다.
<녹취> 공사장 근로자(음성변조) : "주택 조그만한 거 짓는데 안전 관리를 누가 하겠어요? 모자도 벗어놓고 할 수도 있는 거지.."
인근에 있는 오피스텔 건설 현장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공사 자재가 여기저기 어지럽게 흩어져 있습니다.
안전모를 쓴 근로자를 찾아보기 힘들고, 안전망이나 안전 펜스를 제대로 설치하지 않은 곳도 있습니다.
<녹취> 공사장 근로자(음성변조) : "(안전 감독하는 감독관은 따로 없나요?) "우리는 그게 없어요, 소규모라서."
공사비 총액이 120억 원 미만인 중·소규모 공사장의 경우 안전 점검을 전담하는 관리자를 둘 의무가 없어 안전 관리가 상대적으로 허술한 겁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건설현장 근로 재해의 90%가 중·소규모 공사장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전국 30만 개의 중·소규모 공사장을 담당하는 고용노동부의 근로 감독관이 350여 명에 불과해 근로 감독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녹취> 고용노동부 관계자(음성변조) : "모든 사업장에 대해서 점검 감독을 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그걸 100% 다 할 여력이 안 되기 때문에.."
사업주들의 안전 의식이 부족한 것도 문제입니다.
<인터뷰> 이필혁(안전보건공단 서울지역본부 팀장) : "안전보건 시스템을 구축하고, 반드시 근로자의 생명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상생 안전 경영'을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최근 5년 동안 중·소규모 공사장에서 10만 명이 넘는 근로자가 다쳤고, 이 가운데 천 8백여 명이 숨졌습니다.
KBS 뉴스 박민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소규모 공사장 ‘안전관리 사각지대’
-
- 입력 2015-11-28 21:27:11
- 수정2015-11-28 22:24:03
<앵커 멘트>
공사장 안전 관리는 어디서나 철저하게 이뤄져야 하지만, 대규모 건설 현장에 비해 중소규모 공사장은 관리가 느슨하다고 합니다.
재해가 끊이질 않는 이유 가운데 하납니다.
박민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주택가 골목에 소규모 건축물을 짓는 공사가 한창입니다.
그런데, 공사 현장의 근로자들이 아무런 보호 장비도 없이 아슬아슬하게 철근을 나르고 있습니다.
<녹취> 공사장 근로자(음성변조) : "주택 조그만한 거 짓는데 안전 관리를 누가 하겠어요? 모자도 벗어놓고 할 수도 있는 거지.."
인근에 있는 오피스텔 건설 현장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공사 자재가 여기저기 어지럽게 흩어져 있습니다.
안전모를 쓴 근로자를 찾아보기 힘들고, 안전망이나 안전 펜스를 제대로 설치하지 않은 곳도 있습니다.
<녹취> 공사장 근로자(음성변조) : "(안전 감독하는 감독관은 따로 없나요?) "우리는 그게 없어요, 소규모라서."
공사비 총액이 120억 원 미만인 중·소규모 공사장의 경우 안전 점검을 전담하는 관리자를 둘 의무가 없어 안전 관리가 상대적으로 허술한 겁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건설현장 근로 재해의 90%가 중·소규모 공사장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전국 30만 개의 중·소규모 공사장을 담당하는 고용노동부의 근로 감독관이 350여 명에 불과해 근로 감독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녹취> 고용노동부 관계자(음성변조) : "모든 사업장에 대해서 점검 감독을 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그걸 100% 다 할 여력이 안 되기 때문에.."
사업주들의 안전 의식이 부족한 것도 문제입니다.
<인터뷰> 이필혁(안전보건공단 서울지역본부 팀장) : "안전보건 시스템을 구축하고, 반드시 근로자의 생명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상생 안전 경영'을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최근 5년 동안 중·소규모 공사장에서 10만 명이 넘는 근로자가 다쳤고, 이 가운데 천 8백여 명이 숨졌습니다.
KBS 뉴스 박민철입니다.
공사장 안전 관리는 어디서나 철저하게 이뤄져야 하지만, 대규모 건설 현장에 비해 중소규모 공사장은 관리가 느슨하다고 합니다.
재해가 끊이질 않는 이유 가운데 하납니다.
박민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주택가 골목에 소규모 건축물을 짓는 공사가 한창입니다.
그런데, 공사 현장의 근로자들이 아무런 보호 장비도 없이 아슬아슬하게 철근을 나르고 있습니다.
<녹취> 공사장 근로자(음성변조) : "주택 조그만한 거 짓는데 안전 관리를 누가 하겠어요? 모자도 벗어놓고 할 수도 있는 거지.."
인근에 있는 오피스텔 건설 현장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공사 자재가 여기저기 어지럽게 흩어져 있습니다.
안전모를 쓴 근로자를 찾아보기 힘들고, 안전망이나 안전 펜스를 제대로 설치하지 않은 곳도 있습니다.
<녹취> 공사장 근로자(음성변조) : "(안전 감독하는 감독관은 따로 없나요?) "우리는 그게 없어요, 소규모라서."
공사비 총액이 120억 원 미만인 중·소규모 공사장의 경우 안전 점검을 전담하는 관리자를 둘 의무가 없어 안전 관리가 상대적으로 허술한 겁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건설현장 근로 재해의 90%가 중·소규모 공사장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전국 30만 개의 중·소규모 공사장을 담당하는 고용노동부의 근로 감독관이 350여 명에 불과해 근로 감독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녹취> 고용노동부 관계자(음성변조) : "모든 사업장에 대해서 점검 감독을 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그걸 100% 다 할 여력이 안 되기 때문에.."
사업주들의 안전 의식이 부족한 것도 문제입니다.
<인터뷰> 이필혁(안전보건공단 서울지역본부 팀장) : "안전보건 시스템을 구축하고, 반드시 근로자의 생명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상생 안전 경영'을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최근 5년 동안 중·소규모 공사장에서 10만 명이 넘는 근로자가 다쳤고, 이 가운데 천 8백여 명이 숨졌습니다.
KBS 뉴스 박민철입니다.
-
-
박민철 기자 mcpark@kbs.co.kr
박민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