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남북 발표 매우 긍정적”…북미 대화 성사 전망은?
입력 2018.03.07 (21:07)
수정 2018.03.07 (21: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상황이 급변하면서 이제는 특사단을 만날 미국의 입장이 어떨지 관심인데요,
북한의 비핵화 대화 의지 표명과 남북 간 정상회담 합의로 이제 공은 미국으로 넘어간 상황입니다.
워싱턴 전종철 특파원을 화상으로 연결합니다.
[리포트]
[앵커]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와 기자회견에서 남북 합의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과 대화에 진전이 이뤄지고 있다, 모든 관련당사자들이 진지하게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남북한의 발표가 매우 긍정적이고 북한도 긍정적으로 행동하는 것 같다"며 이번 남북 합의와 북한의 태도 변화를 높이 평가했습니다.
[트럼프/미국 대통령 : "북한과 대화는 북한에도 좋은 일이고 한반도에도 좋은 일입니다. 그렇지만 어떤 일이일어날 지 지켜볼 것입니다."]
[앵커]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과 대화는 좋은 일이라고 하면서도 "지켜보자"는 단서를 달았어요.
무슨 뜻인가요?
[기자]
북한의 의도와 진정성을 따져보자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 국면을 매우 불확실한 상황이라고 규정했고 헛된 희망일지도 모른다는 말도 했습니다.
이전에는 북한의 유화 제스처에 속지 않겠다고 여러차례 밝혀왔었고요.
따라서 현재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희망과 의심이 교차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미국 언론들은 이번 남북 합의를 어떻게 평가하고 있습니까?
[기자]
대체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한반도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는 중대한 반전이다, 문 대통령의 중요한 외교적 성과라고 평가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제재·압박이 통했다는 분석도 내놨습니다.
다만 미 언론은 북한의 과거 합의 파기를 상기시키면서, 회의적 시각도 적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댄 코츠/미 국가정보국장 : "과거의 모든 노력은 실패했습니다. 북한은 단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간을 벌었을 뿐입니다. 저는 이 모든 것에 대해 회의적입니다."]
[앵커]
그렇다면, 북미 대화의 가능성은 아주 높아졌다고 볼 수 있겠습니까?
[기자]
네, 한층 높아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 대화는 비핵화 대화여야 한다고 했고, 북한이 이에 화답하듯 비핵화 대화 의지를 밝혔기 때문입니다.
북한이 제재로 인해 느끼는 고통이 매우 클 수 있고, 미국 또한 무력행동에 따른 리스크가 너무 크기 때문에, 이래저래 대화 여건은 조성돼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도 북핵문제에서 전 정권들과는 차별화된 성과를 내려는 욕구도 있어 보입니다.
따라서 미국이 내일(8일) 대북 특사단으로부터 북한의 입장을 직접 전달받은 뒤, 향후 대응 방안의 가닥이 잡힐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상황이 급변하면서 이제는 특사단을 만날 미국의 입장이 어떨지 관심인데요,
북한의 비핵화 대화 의지 표명과 남북 간 정상회담 합의로 이제 공은 미국으로 넘어간 상황입니다.
워싱턴 전종철 특파원을 화상으로 연결합니다.
[리포트]
[앵커]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와 기자회견에서 남북 합의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과 대화에 진전이 이뤄지고 있다, 모든 관련당사자들이 진지하게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남북한의 발표가 매우 긍정적이고 북한도 긍정적으로 행동하는 것 같다"며 이번 남북 합의와 북한의 태도 변화를 높이 평가했습니다.
[트럼프/미국 대통령 : "북한과 대화는 북한에도 좋은 일이고 한반도에도 좋은 일입니다. 그렇지만 어떤 일이일어날 지 지켜볼 것입니다."]
[앵커]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과 대화는 좋은 일이라고 하면서도 "지켜보자"는 단서를 달았어요.
무슨 뜻인가요?
[기자]
북한의 의도와 진정성을 따져보자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 국면을 매우 불확실한 상황이라고 규정했고 헛된 희망일지도 모른다는 말도 했습니다.
이전에는 북한의 유화 제스처에 속지 않겠다고 여러차례 밝혀왔었고요.
따라서 현재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희망과 의심이 교차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미국 언론들은 이번 남북 합의를 어떻게 평가하고 있습니까?
[기자]
대체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한반도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는 중대한 반전이다, 문 대통령의 중요한 외교적 성과라고 평가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제재·압박이 통했다는 분석도 내놨습니다.
다만 미 언론은 북한의 과거 합의 파기를 상기시키면서, 회의적 시각도 적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댄 코츠/미 국가정보국장 : "과거의 모든 노력은 실패했습니다. 북한은 단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간을 벌었을 뿐입니다. 저는 이 모든 것에 대해 회의적입니다."]
[앵커]
그렇다면, 북미 대화의 가능성은 아주 높아졌다고 볼 수 있겠습니까?
[기자]
네, 한층 높아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 대화는 비핵화 대화여야 한다고 했고, 북한이 이에 화답하듯 비핵화 대화 의지를 밝혔기 때문입니다.
북한이 제재로 인해 느끼는 고통이 매우 클 수 있고, 미국 또한 무력행동에 따른 리스크가 너무 크기 때문에, 이래저래 대화 여건은 조성돼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도 북핵문제에서 전 정권들과는 차별화된 성과를 내려는 욕구도 있어 보입니다.
따라서 미국이 내일(8일) 대북 특사단으로부터 북한의 입장을 직접 전달받은 뒤, 향후 대응 방안의 가닥이 잡힐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 “남북 발표 매우 긍정적”…북미 대화 성사 전망은?
-
- 입력 2018-03-07 21:08:11
- 수정2018-03-07 21:59:14

[앵커]
상황이 급변하면서 이제는 특사단을 만날 미국의 입장이 어떨지 관심인데요,
북한의 비핵화 대화 의지 표명과 남북 간 정상회담 합의로 이제 공은 미국으로 넘어간 상황입니다.
워싱턴 전종철 특파원을 화상으로 연결합니다.
[리포트]
[앵커]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와 기자회견에서 남북 합의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과 대화에 진전이 이뤄지고 있다, 모든 관련당사자들이 진지하게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남북한의 발표가 매우 긍정적이고 북한도 긍정적으로 행동하는 것 같다"며 이번 남북 합의와 북한의 태도 변화를 높이 평가했습니다.
[트럼프/미국 대통령 : "북한과 대화는 북한에도 좋은 일이고 한반도에도 좋은 일입니다. 그렇지만 어떤 일이일어날 지 지켜볼 것입니다."]
[앵커]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과 대화는 좋은 일이라고 하면서도 "지켜보자"는 단서를 달았어요.
무슨 뜻인가요?
[기자]
북한의 의도와 진정성을 따져보자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 국면을 매우 불확실한 상황이라고 규정했고 헛된 희망일지도 모른다는 말도 했습니다.
이전에는 북한의 유화 제스처에 속지 않겠다고 여러차례 밝혀왔었고요.
따라서 현재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희망과 의심이 교차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미국 언론들은 이번 남북 합의를 어떻게 평가하고 있습니까?
[기자]
대체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한반도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는 중대한 반전이다, 문 대통령의 중요한 외교적 성과라고 평가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제재·압박이 통했다는 분석도 내놨습니다.
다만 미 언론은 북한의 과거 합의 파기를 상기시키면서, 회의적 시각도 적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댄 코츠/미 국가정보국장 : "과거의 모든 노력은 실패했습니다. 북한은 단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간을 벌었을 뿐입니다. 저는 이 모든 것에 대해 회의적입니다."]
[앵커]
그렇다면, 북미 대화의 가능성은 아주 높아졌다고 볼 수 있겠습니까?
[기자]
네, 한층 높아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 대화는 비핵화 대화여야 한다고 했고, 북한이 이에 화답하듯 비핵화 대화 의지를 밝혔기 때문입니다.
북한이 제재로 인해 느끼는 고통이 매우 클 수 있고, 미국 또한 무력행동에 따른 리스크가 너무 크기 때문에, 이래저래 대화 여건은 조성돼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도 북핵문제에서 전 정권들과는 차별화된 성과를 내려는 욕구도 있어 보입니다.
따라서 미국이 내일(8일) 대북 특사단으로부터 북한의 입장을 직접 전달받은 뒤, 향후 대응 방안의 가닥이 잡힐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상황이 급변하면서 이제는 특사단을 만날 미국의 입장이 어떨지 관심인데요,
북한의 비핵화 대화 의지 표명과 남북 간 정상회담 합의로 이제 공은 미국으로 넘어간 상황입니다.
워싱턴 전종철 특파원을 화상으로 연결합니다.
[리포트]
[앵커]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와 기자회견에서 남북 합의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과 대화에 진전이 이뤄지고 있다, 모든 관련당사자들이 진지하게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남북한의 발표가 매우 긍정적이고 북한도 긍정적으로 행동하는 것 같다"며 이번 남북 합의와 북한의 태도 변화를 높이 평가했습니다.
[트럼프/미국 대통령 : "북한과 대화는 북한에도 좋은 일이고 한반도에도 좋은 일입니다. 그렇지만 어떤 일이일어날 지 지켜볼 것입니다."]
[앵커]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과 대화는 좋은 일이라고 하면서도 "지켜보자"는 단서를 달았어요.
무슨 뜻인가요?
[기자]
북한의 의도와 진정성을 따져보자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 국면을 매우 불확실한 상황이라고 규정했고 헛된 희망일지도 모른다는 말도 했습니다.
이전에는 북한의 유화 제스처에 속지 않겠다고 여러차례 밝혀왔었고요.
따라서 현재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희망과 의심이 교차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미국 언론들은 이번 남북 합의를 어떻게 평가하고 있습니까?
[기자]
대체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한반도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는 중대한 반전이다, 문 대통령의 중요한 외교적 성과라고 평가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제재·압박이 통했다는 분석도 내놨습니다.
다만 미 언론은 북한의 과거 합의 파기를 상기시키면서, 회의적 시각도 적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댄 코츠/미 국가정보국장 : "과거의 모든 노력은 실패했습니다. 북한은 단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간을 벌었을 뿐입니다. 저는 이 모든 것에 대해 회의적입니다."]
[앵커]
그렇다면, 북미 대화의 가능성은 아주 높아졌다고 볼 수 있겠습니까?
[기자]
네, 한층 높아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 대화는 비핵화 대화여야 한다고 했고, 북한이 이에 화답하듯 비핵화 대화 의지를 밝혔기 때문입니다.
북한이 제재로 인해 느끼는 고통이 매우 클 수 있고, 미국 또한 무력행동에 따른 리스크가 너무 크기 때문에, 이래저래 대화 여건은 조성돼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도 북핵문제에서 전 정권들과는 차별화된 성과를 내려는 욕구도 있어 보입니다.
따라서 미국이 내일(8일) 대북 특사단으로부터 북한의 입장을 직접 전달받은 뒤, 향후 대응 방안의 가닥이 잡힐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
전종철 기자 jcj@kbs.co.kr
전종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남북·북미 관계 급물살…한반도 어디로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