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찜통 실내’ 바깥만큼 위험…맞춤형 대책 필요
입력 2018.07.25 (06:30)
수정 2018.07.25 (06: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폭염을 피해 실내에 머무른다고 해도 안심할 수는 없습니다.
특히 냉방 시설을 갖추지 못하는 저소득 노인과 장애인 같은 폭염 취약 계층의 경우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손서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비좁은 계단을 따라 올라가자 칸칸이 방들이 나옵니다.
한낮 찌는 듯한 더위에도 바람 한 자락 들어올 곳이 없습니다.
더위를 피해 종일 방 안에 머물러도 힘들긴 마찬가지입니다.
[쪽방촌 주민 : "창문이 없으니까 다른 데보다 더 덥죠."]
무더위 쉼터가 근처에 있어도 상당수 쪽방촌 주민들은 이용할 엄두를 내지 못합니다.
몸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들이 많아 이동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쪽방촌 주민 : "전부 불편한 사람들만 살고 있어요. 있다고 하는데 어딨는지도 모르겠고..."]
지난 5년 동안 온열질환자의 20%는 실내에서 발생했고,
특히 이 가운데 절반은 65세 이상 고령층이었습니다.
냉방 시설을 갖추지 못하는 폭염 취약 계층에 대한 맞춤형 대책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채여라/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후대기연구부 선임연구위원 : "폭염으로 인한 피해가 온도에 비례해서 나타나는 게 아니라 특정 지자체,특정 연령층, 특정 직업군에 집중돼 있거든요. 그분들, 그 지역을 향한 집중적 대책이 필요할 것 같고요."]
간단한 대책만으로도 취약층의 폭염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쪽방촌에 물을 뿌리고 온도를 쟀더니 10여 분 만에 5도가량 낮아졌습니다.
[김상균/소방경/서울 종로소방서 119안전센터 : "좁고 밀폐된 공간이 많습니다 주민들이 안에 계시면 열사병에 걸릴 위험이 많아서 골목길에 물을 많이 뿌려 온도를 낮추는 작업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1995년 폭염으로 한 달 만에 7백 명이 숨진 이후 취약계층을 직접 무더위 쉼터로 이송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폭염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었습니다.
KBS 뉴스 손서영입니다.
폭염을 피해 실내에 머무른다고 해도 안심할 수는 없습니다.
특히 냉방 시설을 갖추지 못하는 저소득 노인과 장애인 같은 폭염 취약 계층의 경우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손서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비좁은 계단을 따라 올라가자 칸칸이 방들이 나옵니다.
한낮 찌는 듯한 더위에도 바람 한 자락 들어올 곳이 없습니다.
더위를 피해 종일 방 안에 머물러도 힘들긴 마찬가지입니다.
[쪽방촌 주민 : "창문이 없으니까 다른 데보다 더 덥죠."]
무더위 쉼터가 근처에 있어도 상당수 쪽방촌 주민들은 이용할 엄두를 내지 못합니다.
몸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들이 많아 이동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쪽방촌 주민 : "전부 불편한 사람들만 살고 있어요. 있다고 하는데 어딨는지도 모르겠고..."]
지난 5년 동안 온열질환자의 20%는 실내에서 발생했고,
특히 이 가운데 절반은 65세 이상 고령층이었습니다.
냉방 시설을 갖추지 못하는 폭염 취약 계층에 대한 맞춤형 대책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채여라/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후대기연구부 선임연구위원 : "폭염으로 인한 피해가 온도에 비례해서 나타나는 게 아니라 특정 지자체,특정 연령층, 특정 직업군에 집중돼 있거든요. 그분들, 그 지역을 향한 집중적 대책이 필요할 것 같고요."]
간단한 대책만으로도 취약층의 폭염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쪽방촌에 물을 뿌리고 온도를 쟀더니 10여 분 만에 5도가량 낮아졌습니다.
[김상균/소방경/서울 종로소방서 119안전센터 : "좁고 밀폐된 공간이 많습니다 주민들이 안에 계시면 열사병에 걸릴 위험이 많아서 골목길에 물을 많이 뿌려 온도를 낮추는 작업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1995년 폭염으로 한 달 만에 7백 명이 숨진 이후 취약계층을 직접 무더위 쉼터로 이송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폭염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었습니다.
KBS 뉴스 손서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찜통 실내’ 바깥만큼 위험…맞춤형 대책 필요
-
- 입력 2018-07-25 06:32:50
- 수정2018-07-25 06:52:03

[앵커]
폭염을 피해 실내에 머무른다고 해도 안심할 수는 없습니다.
특히 냉방 시설을 갖추지 못하는 저소득 노인과 장애인 같은 폭염 취약 계층의 경우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손서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비좁은 계단을 따라 올라가자 칸칸이 방들이 나옵니다.
한낮 찌는 듯한 더위에도 바람 한 자락 들어올 곳이 없습니다.
더위를 피해 종일 방 안에 머물러도 힘들긴 마찬가지입니다.
[쪽방촌 주민 : "창문이 없으니까 다른 데보다 더 덥죠."]
무더위 쉼터가 근처에 있어도 상당수 쪽방촌 주민들은 이용할 엄두를 내지 못합니다.
몸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들이 많아 이동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쪽방촌 주민 : "전부 불편한 사람들만 살고 있어요. 있다고 하는데 어딨는지도 모르겠고..."]
지난 5년 동안 온열질환자의 20%는 실내에서 발생했고,
특히 이 가운데 절반은 65세 이상 고령층이었습니다.
냉방 시설을 갖추지 못하는 폭염 취약 계층에 대한 맞춤형 대책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채여라/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후대기연구부 선임연구위원 : "폭염으로 인한 피해가 온도에 비례해서 나타나는 게 아니라 특정 지자체,특정 연령층, 특정 직업군에 집중돼 있거든요. 그분들, 그 지역을 향한 집중적 대책이 필요할 것 같고요."]
간단한 대책만으로도 취약층의 폭염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쪽방촌에 물을 뿌리고 온도를 쟀더니 10여 분 만에 5도가량 낮아졌습니다.
[김상균/소방경/서울 종로소방서 119안전센터 : "좁고 밀폐된 공간이 많습니다 주민들이 안에 계시면 열사병에 걸릴 위험이 많아서 골목길에 물을 많이 뿌려 온도를 낮추는 작업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1995년 폭염으로 한 달 만에 7백 명이 숨진 이후 취약계층을 직접 무더위 쉼터로 이송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폭염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었습니다.
KBS 뉴스 손서영입니다.
폭염을 피해 실내에 머무른다고 해도 안심할 수는 없습니다.
특히 냉방 시설을 갖추지 못하는 저소득 노인과 장애인 같은 폭염 취약 계층의 경우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손서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비좁은 계단을 따라 올라가자 칸칸이 방들이 나옵니다.
한낮 찌는 듯한 더위에도 바람 한 자락 들어올 곳이 없습니다.
더위를 피해 종일 방 안에 머물러도 힘들긴 마찬가지입니다.
[쪽방촌 주민 : "창문이 없으니까 다른 데보다 더 덥죠."]
무더위 쉼터가 근처에 있어도 상당수 쪽방촌 주민들은 이용할 엄두를 내지 못합니다.
몸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들이 많아 이동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쪽방촌 주민 : "전부 불편한 사람들만 살고 있어요. 있다고 하는데 어딨는지도 모르겠고..."]
지난 5년 동안 온열질환자의 20%는 실내에서 발생했고,
특히 이 가운데 절반은 65세 이상 고령층이었습니다.
냉방 시설을 갖추지 못하는 폭염 취약 계층에 대한 맞춤형 대책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채여라/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후대기연구부 선임연구위원 : "폭염으로 인한 피해가 온도에 비례해서 나타나는 게 아니라 특정 지자체,특정 연령층, 특정 직업군에 집중돼 있거든요. 그분들, 그 지역을 향한 집중적 대책이 필요할 것 같고요."]
간단한 대책만으로도 취약층의 폭염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쪽방촌에 물을 뿌리고 온도를 쟀더니 10여 분 만에 5도가량 낮아졌습니다.
[김상균/소방경/서울 종로소방서 119안전센터 : "좁고 밀폐된 공간이 많습니다 주민들이 안에 계시면 열사병에 걸릴 위험이 많아서 골목길에 물을 많이 뿌려 온도를 낮추는 작업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1995년 폭염으로 한 달 만에 7백 명이 숨진 이후 취약계층을 직접 무더위 쉼터로 이송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폭염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었습니다.
KBS 뉴스 손서영입니다.
-
-
손서영 기자 bellesy@kbs.co.kr
손서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뜨거운 한반도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