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슬기 잡다가 또 ‘참변’…반복되는 안전불감증
입력 2019.06.26 (07:36)
수정 2019.06.26 (09:3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하천에서 다슬기를 잡다 목숨을 잃는 일이 올해도 여전히 반복되고 있습니다.
얕아 보이는 물이라고 안전장비도 없이 물에 들어갔다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유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금강 상류의 한 하천.
며칠 전 다슬기를 잡던 70대가 급류에 휩쓸렸던 곳입니다.
여전히 주민들은 아무 안전 장비도 없이 다슬기를 잡고 있습니다.
[주민 : "뉴스 나왔잖아. (아, 그 아저씨가 여기서 그랬어?)"]
물속 사정은 위험천만합니다.
하천 바닥에는 이끼가 잔뜩 껴있어 미끄러울 뿐만 아니라 육안으로는 물속 깊이를 식별하기조차 쉽지 않습니다.
사고가 난 지점은 유속이 빠르고, 한 발자국만 내딛어도 갑자기 수심이 깊어져 제대로 서 있기조차 힘듭니다.
인근의 또 다른 하천.
허리춤까지 차오른 물속에서 고개를 묻고 다슬기 잡기에 한창입니다.
며칠 전 다슬기를 잡다 물에 빠져 숨진 장소와 불과 5분 거리지만 대수롭게 여기지 않습니다.
[마을 주민 : "위험할 거 없다고. 위험하면 누가 들어오나, 안 들어오지."]
[마을 주민 : "(다슬기 잡다가 사고 자주 난다는데요?) 예, 예, 맞아요. 위험해요. 진짜. (안전 장비는 착용 안 하시는지요?) 답답해서 장비를 끼지도 못해요."]
다슬기를 잡다 물에 빠지는 수난 사고는 해마다 평균 35건 정도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데 '나는 괜찮을 것'이란 안전 불감증 속에 사고가 되풀이되고 있는 것입니다.
[백인환/충북 영동소방서 구조대장 : "(다슬기 채취는) 간단한 장비만으로 들어가서 채취가 가능해서 보통은 가볍게 준비하시고 들어가시게 되는데요. 강바닥 지형이라던가 물살 같은 경우가 워낙 다변하기 때문에 (안전장비를 착용해야 합니다)."]
6월 한 달 동안에만 전국에서 다슬기를 잡다 5건의 사고가 났고 이 가운데 3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하천에서 다슬기를 잡다 목숨을 잃는 일이 올해도 여전히 반복되고 있습니다.
얕아 보이는 물이라고 안전장비도 없이 물에 들어갔다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유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금강 상류의 한 하천.
며칠 전 다슬기를 잡던 70대가 급류에 휩쓸렸던 곳입니다.
여전히 주민들은 아무 안전 장비도 없이 다슬기를 잡고 있습니다.
[주민 : "뉴스 나왔잖아. (아, 그 아저씨가 여기서 그랬어?)"]
물속 사정은 위험천만합니다.
하천 바닥에는 이끼가 잔뜩 껴있어 미끄러울 뿐만 아니라 육안으로는 물속 깊이를 식별하기조차 쉽지 않습니다.
사고가 난 지점은 유속이 빠르고, 한 발자국만 내딛어도 갑자기 수심이 깊어져 제대로 서 있기조차 힘듭니다.
인근의 또 다른 하천.
허리춤까지 차오른 물속에서 고개를 묻고 다슬기 잡기에 한창입니다.
며칠 전 다슬기를 잡다 물에 빠져 숨진 장소와 불과 5분 거리지만 대수롭게 여기지 않습니다.
[마을 주민 : "위험할 거 없다고. 위험하면 누가 들어오나, 안 들어오지."]
[마을 주민 : "(다슬기 잡다가 사고 자주 난다는데요?) 예, 예, 맞아요. 위험해요. 진짜. (안전 장비는 착용 안 하시는지요?) 답답해서 장비를 끼지도 못해요."]
다슬기를 잡다 물에 빠지는 수난 사고는 해마다 평균 35건 정도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데 '나는 괜찮을 것'이란 안전 불감증 속에 사고가 되풀이되고 있는 것입니다.
[백인환/충북 영동소방서 구조대장 : "(다슬기 채취는) 간단한 장비만으로 들어가서 채취가 가능해서 보통은 가볍게 준비하시고 들어가시게 되는데요. 강바닥 지형이라던가 물살 같은 경우가 워낙 다변하기 때문에 (안전장비를 착용해야 합니다)."]
6월 한 달 동안에만 전국에서 다슬기를 잡다 5건의 사고가 났고 이 가운데 3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다슬기 잡다가 또 ‘참변’…반복되는 안전불감증
-
- 입력 2019-06-26 07:55:12
- 수정2019-06-26 09:31:20

[앵커]
하천에서 다슬기를 잡다 목숨을 잃는 일이 올해도 여전히 반복되고 있습니다.
얕아 보이는 물이라고 안전장비도 없이 물에 들어갔다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유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금강 상류의 한 하천.
며칠 전 다슬기를 잡던 70대가 급류에 휩쓸렸던 곳입니다.
여전히 주민들은 아무 안전 장비도 없이 다슬기를 잡고 있습니다.
[주민 : "뉴스 나왔잖아. (아, 그 아저씨가 여기서 그랬어?)"]
물속 사정은 위험천만합니다.
하천 바닥에는 이끼가 잔뜩 껴있어 미끄러울 뿐만 아니라 육안으로는 물속 깊이를 식별하기조차 쉽지 않습니다.
사고가 난 지점은 유속이 빠르고, 한 발자국만 내딛어도 갑자기 수심이 깊어져 제대로 서 있기조차 힘듭니다.
인근의 또 다른 하천.
허리춤까지 차오른 물속에서 고개를 묻고 다슬기 잡기에 한창입니다.
며칠 전 다슬기를 잡다 물에 빠져 숨진 장소와 불과 5분 거리지만 대수롭게 여기지 않습니다.
[마을 주민 : "위험할 거 없다고. 위험하면 누가 들어오나, 안 들어오지."]
[마을 주민 : "(다슬기 잡다가 사고 자주 난다는데요?) 예, 예, 맞아요. 위험해요. 진짜. (안전 장비는 착용 안 하시는지요?) 답답해서 장비를 끼지도 못해요."]
다슬기를 잡다 물에 빠지는 수난 사고는 해마다 평균 35건 정도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데 '나는 괜찮을 것'이란 안전 불감증 속에 사고가 되풀이되고 있는 것입니다.
[백인환/충북 영동소방서 구조대장 : "(다슬기 채취는) 간단한 장비만으로 들어가서 채취가 가능해서 보통은 가볍게 준비하시고 들어가시게 되는데요. 강바닥 지형이라던가 물살 같은 경우가 워낙 다변하기 때문에 (안전장비를 착용해야 합니다)."]
6월 한 달 동안에만 전국에서 다슬기를 잡다 5건의 사고가 났고 이 가운데 3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