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취재] 말 뿐인 교통 광역화 시민들만 골탕
입력 2005.08.24 (22:01)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서울과 수도권 도시를 버스로 잇는 교통광역화정책이 헛돌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수도권 주민들만 큰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자치단체의 지역이기주의와 버스업체의 상술 때문에 아직도 버스노선 연장이나 신설이 안 되고 있습니다.
김진희 기자가 심층취재했습니다.
⊙기자: 인천 부평동에서 4km 거리인 부천 중동까지 출퇴근하는 이정재 씨는 불편이 이만저만 아닙니다.
가까운 거리인데도 버스와 지하철을 갈아타다 보면 50분이나 걸립니다.
승용차로는 단 20분 거리입니다.
⊙이정재(인천시 부평동): 되게 짧은 거리인데 단거리를 돌아가지고 오고 또 불필요하게 버스라든가 지하철이 환승하는 데 많아서 출근하는 데 되게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기자: 인천시와 부천시가 각자 자기 지역의 상권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노선신설을 미룬 결과입니다.
약 3만명이 입주해 있는 파주시 금촌신시가지.
서울역 방면으로 가는 버스가 한 대도 없어 주민들의 민원이 끊이지 않습니다.
서울시가 서울역 주변의 교통난을 우려해 노선 연장을 허가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안용성(파주시 교통전문위원): 약 100여 건의 서울시 광역버스와 관련해서 교통민원이 접수가 됐고요.
그 사항을 해결하기 위해서 서울시와 지속적으로 협의하겠습니다.
⊙기자: 이처럼 지자체간 협의가 꽉 막히면서 건설교통부가 나서서 조정해달라는 요청만 올 들어 32건에 이릅니다.
자치단체들은 버스노선을 조정하거나 신설할 때 상권변화를 먼저 고려하고 버스업체는 수익의 변화를 먼저 따지는 것입니다.
⊙유정복(교통개발연구원 교통기술사): 각 지자체의 버스에서는 본인들의 시장을 보호하기 위해서 타 노선의 신설에 대해서 주로 반대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기자: 문제는 이 같은 이해관계를 조정하기 위해 지난 2월 서울과 경기도, 인천시가 함께 설립한 수도권교통조합조차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데 있습니다.
⊙한배수(수도권교통조합 과장): 조정위원회를 설치, 운영하려고 하는데 (지자체들이) 자기네 입장을 대변하는 위원들을 참여시켜야겠다...
⊙기자: 지역이기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지자체와 눈앞의 이익 지키기에만 급급한 버스업체들의 장삿속에 정작 수도권 시민들의 편의는 뒷전으로 밀리고 있습니다.
KBS뉴스 김진희입니다.
자치단체의 지역이기주의와 버스업체의 상술 때문에 아직도 버스노선 연장이나 신설이 안 되고 있습니다.
김진희 기자가 심층취재했습니다.
⊙기자: 인천 부평동에서 4km 거리인 부천 중동까지 출퇴근하는 이정재 씨는 불편이 이만저만 아닙니다.
가까운 거리인데도 버스와 지하철을 갈아타다 보면 50분이나 걸립니다.
승용차로는 단 20분 거리입니다.
⊙이정재(인천시 부평동): 되게 짧은 거리인데 단거리를 돌아가지고 오고 또 불필요하게 버스라든가 지하철이 환승하는 데 많아서 출근하는 데 되게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기자: 인천시와 부천시가 각자 자기 지역의 상권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노선신설을 미룬 결과입니다.
약 3만명이 입주해 있는 파주시 금촌신시가지.
서울역 방면으로 가는 버스가 한 대도 없어 주민들의 민원이 끊이지 않습니다.
서울시가 서울역 주변의 교통난을 우려해 노선 연장을 허가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안용성(파주시 교통전문위원): 약 100여 건의 서울시 광역버스와 관련해서 교통민원이 접수가 됐고요.
그 사항을 해결하기 위해서 서울시와 지속적으로 협의하겠습니다.
⊙기자: 이처럼 지자체간 협의가 꽉 막히면서 건설교통부가 나서서 조정해달라는 요청만 올 들어 32건에 이릅니다.
자치단체들은 버스노선을 조정하거나 신설할 때 상권변화를 먼저 고려하고 버스업체는 수익의 변화를 먼저 따지는 것입니다.
⊙유정복(교통개발연구원 교통기술사): 각 지자체의 버스에서는 본인들의 시장을 보호하기 위해서 타 노선의 신설에 대해서 주로 반대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기자: 문제는 이 같은 이해관계를 조정하기 위해 지난 2월 서울과 경기도, 인천시가 함께 설립한 수도권교통조합조차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데 있습니다.
⊙한배수(수도권교통조합 과장): 조정위원회를 설치, 운영하려고 하는데 (지자체들이) 자기네 입장을 대변하는 위원들을 참여시켜야겠다...
⊙기자: 지역이기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지자체와 눈앞의 이익 지키기에만 급급한 버스업체들의 장삿속에 정작 수도권 시민들의 편의는 뒷전으로 밀리고 있습니다.
KBS뉴스 김진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층취재] 말 뿐인 교통 광역화 시민들만 골탕
-
- 입력 2005-08-24 21:33:01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서울과 수도권 도시를 버스로 잇는 교통광역화정책이 헛돌면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수도권 주민들만 큰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자치단체의 지역이기주의와 버스업체의 상술 때문에 아직도 버스노선 연장이나 신설이 안 되고 있습니다.
김진희 기자가 심층취재했습니다.
⊙기자: 인천 부평동에서 4km 거리인 부천 중동까지 출퇴근하는 이정재 씨는 불편이 이만저만 아닙니다.
가까운 거리인데도 버스와 지하철을 갈아타다 보면 50분이나 걸립니다.
승용차로는 단 20분 거리입니다.
⊙이정재(인천시 부평동): 되게 짧은 거리인데 단거리를 돌아가지고 오고 또 불필요하게 버스라든가 지하철이 환승하는 데 많아서 출근하는 데 되게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기자: 인천시와 부천시가 각자 자기 지역의 상권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노선신설을 미룬 결과입니다.
약 3만명이 입주해 있는 파주시 금촌신시가지.
서울역 방면으로 가는 버스가 한 대도 없어 주민들의 민원이 끊이지 않습니다.
서울시가 서울역 주변의 교통난을 우려해 노선 연장을 허가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안용성(파주시 교통전문위원): 약 100여 건의 서울시 광역버스와 관련해서 교통민원이 접수가 됐고요.
그 사항을 해결하기 위해서 서울시와 지속적으로 협의하겠습니다.
⊙기자: 이처럼 지자체간 협의가 꽉 막히면서 건설교통부가 나서서 조정해달라는 요청만 올 들어 32건에 이릅니다.
자치단체들은 버스노선을 조정하거나 신설할 때 상권변화를 먼저 고려하고 버스업체는 수익의 변화를 먼저 따지는 것입니다.
⊙유정복(교통개발연구원 교통기술사): 각 지자체의 버스에서는 본인들의 시장을 보호하기 위해서 타 노선의 신설에 대해서 주로 반대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기자: 문제는 이 같은 이해관계를 조정하기 위해 지난 2월 서울과 경기도, 인천시가 함께 설립한 수도권교통조합조차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데 있습니다.
⊙한배수(수도권교통조합 과장): 조정위원회를 설치, 운영하려고 하는데 (지자체들이) 자기네 입장을 대변하는 위원들을 참여시켜야겠다...
⊙기자: 지역이기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지자체와 눈앞의 이익 지키기에만 급급한 버스업체들의 장삿속에 정작 수도권 시민들의 편의는 뒷전으로 밀리고 있습니다.
KBS뉴스 김진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