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장 “DJ 때 일부는 불법”
입력 2005.08.25 (22:05)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국정원이 당초 발표와는 달리 2001년까지 휴대전화 도청을 해 왔고 김대중 정부 때도 일부 감청은 불법이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국정원은 또 자신들의 도청 실태 조사가 부실했음을 시인했습니다.
박장범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국회 정보위원회에 출석한 김승규 국정원장은 휴대전화 감청장비가 당초 발표보다 6개월 더 사용됐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5일 대국민 발표 때는 2000년 9월까지 사용했다고 했지만 추가 조사 결과 2001년 4월의 사용기록을 찾아냈다고 보고했습니다.
김 원장은 휴대전화 도청장비를 2002년 3월 완전 분쇄했고 4월 초 인천에 있는 한 제철회사 용광로에서 용해시켰다고 말했습니다.
불법도청의 대상은 주로 마약수사나 대공 용의자들이었지만 목적과 다른 도청도 있었다고 시인했습니다.
⊙임종인(열린우리당 의원): 동장비를 사용한 직원들도 장비가 대공수사나 안보목적과는 관계없이 일부 임의로 불법 감청을 한 사실이 있다...
⊙기자: 국정원은 당시 자료가 파기된 데다 관련자들의 비협조로 누가 도청을 지시했고 그 결과물을 어떻게 사용했는지는 확인할 수 없었다고 보고했습니다.
국정원은 김대중 정부 시절 일부 불법도청은 있었지만 과거와는 달리 무차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점에서 차별성은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지난 2002년 10월에 신 건 당시 국정원장이 국회 정보위에 미림팀의 존재를 보고했던 것으로 속기록을 통해 확인되면서 국회차원의 대처가 미온적이었음이 드러났습니다.
KBS뉴스 박장범입니다.
국정원은 또 자신들의 도청 실태 조사가 부실했음을 시인했습니다.
박장범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국회 정보위원회에 출석한 김승규 국정원장은 휴대전화 감청장비가 당초 발표보다 6개월 더 사용됐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5일 대국민 발표 때는 2000년 9월까지 사용했다고 했지만 추가 조사 결과 2001년 4월의 사용기록을 찾아냈다고 보고했습니다.
김 원장은 휴대전화 도청장비를 2002년 3월 완전 분쇄했고 4월 초 인천에 있는 한 제철회사 용광로에서 용해시켰다고 말했습니다.
불법도청의 대상은 주로 마약수사나 대공 용의자들이었지만 목적과 다른 도청도 있었다고 시인했습니다.
⊙임종인(열린우리당 의원): 동장비를 사용한 직원들도 장비가 대공수사나 안보목적과는 관계없이 일부 임의로 불법 감청을 한 사실이 있다...
⊙기자: 국정원은 당시 자료가 파기된 데다 관련자들의 비협조로 누가 도청을 지시했고 그 결과물을 어떻게 사용했는지는 확인할 수 없었다고 보고했습니다.
국정원은 김대중 정부 시절 일부 불법도청은 있었지만 과거와는 달리 무차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점에서 차별성은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지난 2002년 10월에 신 건 당시 국정원장이 국회 정보위에 미림팀의 존재를 보고했던 것으로 속기록을 통해 확인되면서 국회차원의 대처가 미온적이었음이 드러났습니다.
KBS뉴스 박장범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정원장 “DJ 때 일부는 불법”
-
- 입력 2005-08-25 21:03:19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국정원이 당초 발표와는 달리 2001년까지 휴대전화 도청을 해 왔고 김대중 정부 때도 일부 감청은 불법이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국정원은 또 자신들의 도청 실태 조사가 부실했음을 시인했습니다.
박장범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국회 정보위원회에 출석한 김승규 국정원장은 휴대전화 감청장비가 당초 발표보다 6개월 더 사용됐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5일 대국민 발표 때는 2000년 9월까지 사용했다고 했지만 추가 조사 결과 2001년 4월의 사용기록을 찾아냈다고 보고했습니다.
김 원장은 휴대전화 도청장비를 2002년 3월 완전 분쇄했고 4월 초 인천에 있는 한 제철회사 용광로에서 용해시켰다고 말했습니다.
불법도청의 대상은 주로 마약수사나 대공 용의자들이었지만 목적과 다른 도청도 있었다고 시인했습니다.
⊙임종인(열린우리당 의원): 동장비를 사용한 직원들도 장비가 대공수사나 안보목적과는 관계없이 일부 임의로 불법 감청을 한 사실이 있다...
⊙기자: 국정원은 당시 자료가 파기된 데다 관련자들의 비협조로 누가 도청을 지시했고 그 결과물을 어떻게 사용했는지는 확인할 수 없었다고 보고했습니다.
국정원은 김대중 정부 시절 일부 불법도청은 있었지만 과거와는 달리 무차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점에서 차별성은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지난 2002년 10월에 신 건 당시 국정원장이 국회 정보위에 미림팀의 존재를 보고했던 것으로 속기록을 통해 확인되면서 국회차원의 대처가 미온적이었음이 드러났습니다.
KBS뉴스 박장범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