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엑스포 개최 의미, 인정 엑스포와 차이는?
입력 2023.11.28 (07:03)
수정 2023.11.28 (08: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 유치에 성공하면 우리나라는 아시아에서 '등록' 엑스포를 여는 네 번째 나라가 됩니다.
앞서 대전과 여수에서 열린 엑스포는 모두 '인정' 엑스포였는데요.
등록엑스포와 인정엑스포.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이도윤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국제박람회기구는 엑스포를 여러 단계로 구분합니다.
국제박람회기구가 인정하면 공인, 인정하지 않으면 비공인 엑스포입니다.
공인 엑스포는 다시 '등록 엑스포'와 '인정 엑스포'로 구분됩니다.
등록 엑스포는, 말 그대로 이름이 유엔에 등록된 엑스포입니다.
[류성원/한국경제인협회 산업혁신팀장 : "국제박람회기구가 등록박람회 영어 명칭(World's Fair)을 표준 상표권으로 등록을 해 둬서, 다른 전시회에선 이 표현을 쓸 수가 없습니다."]
두 엑스포 모두 5년 주기로 열리지만 가장 큰 차이는 규모입니다.
인정 엑스포는 짧게 3주, 길어도 3개월까지만 개최할 수 있는 반면, 등록엑스포는 6주에서 최대 6개월까지 열 수 있습니다.
부지를 운영하는 방식도 다릅니다.
등록 엑스포 개최국은 부지만 제공하고, 참가하는 나라들이 자비로 전시관을 만듭니다.
개최국이 투자받을 수 있는 돈이 그만큼 많아집니다.
반면, 인정 엑스포는 개최국이 전시관을 만들어준 뒤, 참가국에게 공간을 임대해줍니다.
규모도 25만 제곱미터 이하로 제한됩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1993년 대전과 2012년 여수에서 엑스포를 열었는데, 두 번 모두 인정 엑스포였습니다.
엑스포의 주제를 잡는데도 차이가 있습니다.
각각 '도약', '바다'가 주제였던 대전과 여수 엑스포처럼 인정 엑스포는 특정 주제로만 열 수 있지만, 등록 엑스포는 인간과 관련된 모든 것을 광범위한 주제로 다룰 수 있어 볼거리가 그만큼 더 풍부합니다.
등록 엑스포는 개최 절차도 까다로운데, 유치 계획서를 제출하고 현장 실사와 보고 등을 거친 뒤 총회에서 회원국 투표를 거쳐야 합니다.
KBS 뉴스 이도윤입니다.
영상편집:한효정/그래픽:고석훈
이번 유치에 성공하면 우리나라는 아시아에서 '등록' 엑스포를 여는 네 번째 나라가 됩니다.
앞서 대전과 여수에서 열린 엑스포는 모두 '인정' 엑스포였는데요.
등록엑스포와 인정엑스포.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이도윤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국제박람회기구는 엑스포를 여러 단계로 구분합니다.
국제박람회기구가 인정하면 공인, 인정하지 않으면 비공인 엑스포입니다.
공인 엑스포는 다시 '등록 엑스포'와 '인정 엑스포'로 구분됩니다.
등록 엑스포는, 말 그대로 이름이 유엔에 등록된 엑스포입니다.
[류성원/한국경제인협회 산업혁신팀장 : "국제박람회기구가 등록박람회 영어 명칭(World's Fair)을 표준 상표권으로 등록을 해 둬서, 다른 전시회에선 이 표현을 쓸 수가 없습니다."]
두 엑스포 모두 5년 주기로 열리지만 가장 큰 차이는 규모입니다.
인정 엑스포는 짧게 3주, 길어도 3개월까지만 개최할 수 있는 반면, 등록엑스포는 6주에서 최대 6개월까지 열 수 있습니다.
부지를 운영하는 방식도 다릅니다.
등록 엑스포 개최국은 부지만 제공하고, 참가하는 나라들이 자비로 전시관을 만듭니다.
개최국이 투자받을 수 있는 돈이 그만큼 많아집니다.
반면, 인정 엑스포는 개최국이 전시관을 만들어준 뒤, 참가국에게 공간을 임대해줍니다.
규모도 25만 제곱미터 이하로 제한됩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1993년 대전과 2012년 여수에서 엑스포를 열었는데, 두 번 모두 인정 엑스포였습니다.
엑스포의 주제를 잡는데도 차이가 있습니다.
각각 '도약', '바다'가 주제였던 대전과 여수 엑스포처럼 인정 엑스포는 특정 주제로만 열 수 있지만, 등록 엑스포는 인간과 관련된 모든 것을 광범위한 주제로 다룰 수 있어 볼거리가 그만큼 더 풍부합니다.
등록 엑스포는 개최 절차도 까다로운데, 유치 계획서를 제출하고 현장 실사와 보고 등을 거친 뒤 총회에서 회원국 투표를 거쳐야 합니다.
KBS 뉴스 이도윤입니다.
영상편집:한효정/그래픽:고석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등록 엑스포 개최 의미, 인정 엑스포와 차이는?
-
- 입력 2023-11-28 07:03:19
- 수정2023-11-28 08:05:23

[앵커]
이번 유치에 성공하면 우리나라는 아시아에서 '등록' 엑스포를 여는 네 번째 나라가 됩니다.
앞서 대전과 여수에서 열린 엑스포는 모두 '인정' 엑스포였는데요.
등록엑스포와 인정엑스포.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이도윤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국제박람회기구는 엑스포를 여러 단계로 구분합니다.
국제박람회기구가 인정하면 공인, 인정하지 않으면 비공인 엑스포입니다.
공인 엑스포는 다시 '등록 엑스포'와 '인정 엑스포'로 구분됩니다.
등록 엑스포는, 말 그대로 이름이 유엔에 등록된 엑스포입니다.
[류성원/한국경제인협회 산업혁신팀장 : "국제박람회기구가 등록박람회 영어 명칭(World's Fair)을 표준 상표권으로 등록을 해 둬서, 다른 전시회에선 이 표현을 쓸 수가 없습니다."]
두 엑스포 모두 5년 주기로 열리지만 가장 큰 차이는 규모입니다.
인정 엑스포는 짧게 3주, 길어도 3개월까지만 개최할 수 있는 반면, 등록엑스포는 6주에서 최대 6개월까지 열 수 있습니다.
부지를 운영하는 방식도 다릅니다.
등록 엑스포 개최국은 부지만 제공하고, 참가하는 나라들이 자비로 전시관을 만듭니다.
개최국이 투자받을 수 있는 돈이 그만큼 많아집니다.
반면, 인정 엑스포는 개최국이 전시관을 만들어준 뒤, 참가국에게 공간을 임대해줍니다.
규모도 25만 제곱미터 이하로 제한됩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1993년 대전과 2012년 여수에서 엑스포를 열었는데, 두 번 모두 인정 엑스포였습니다.
엑스포의 주제를 잡는데도 차이가 있습니다.
각각 '도약', '바다'가 주제였던 대전과 여수 엑스포처럼 인정 엑스포는 특정 주제로만 열 수 있지만, 등록 엑스포는 인간과 관련된 모든 것을 광범위한 주제로 다룰 수 있어 볼거리가 그만큼 더 풍부합니다.
등록 엑스포는 개최 절차도 까다로운데, 유치 계획서를 제출하고 현장 실사와 보고 등을 거친 뒤 총회에서 회원국 투표를 거쳐야 합니다.
KBS 뉴스 이도윤입니다.
영상편집:한효정/그래픽:고석훈
이번 유치에 성공하면 우리나라는 아시아에서 '등록' 엑스포를 여는 네 번째 나라가 됩니다.
앞서 대전과 여수에서 열린 엑스포는 모두 '인정' 엑스포였는데요.
등록엑스포와 인정엑스포.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이도윤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국제박람회기구는 엑스포를 여러 단계로 구분합니다.
국제박람회기구가 인정하면 공인, 인정하지 않으면 비공인 엑스포입니다.
공인 엑스포는 다시 '등록 엑스포'와 '인정 엑스포'로 구분됩니다.
등록 엑스포는, 말 그대로 이름이 유엔에 등록된 엑스포입니다.
[류성원/한국경제인협회 산업혁신팀장 : "국제박람회기구가 등록박람회 영어 명칭(World's Fair)을 표준 상표권으로 등록을 해 둬서, 다른 전시회에선 이 표현을 쓸 수가 없습니다."]
두 엑스포 모두 5년 주기로 열리지만 가장 큰 차이는 규모입니다.
인정 엑스포는 짧게 3주, 길어도 3개월까지만 개최할 수 있는 반면, 등록엑스포는 6주에서 최대 6개월까지 열 수 있습니다.
부지를 운영하는 방식도 다릅니다.
등록 엑스포 개최국은 부지만 제공하고, 참가하는 나라들이 자비로 전시관을 만듭니다.
개최국이 투자받을 수 있는 돈이 그만큼 많아집니다.
반면, 인정 엑스포는 개최국이 전시관을 만들어준 뒤, 참가국에게 공간을 임대해줍니다.
규모도 25만 제곱미터 이하로 제한됩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1993년 대전과 2012년 여수에서 엑스포를 열었는데, 두 번 모두 인정 엑스포였습니다.
엑스포의 주제를 잡는데도 차이가 있습니다.
각각 '도약', '바다'가 주제였던 대전과 여수 엑스포처럼 인정 엑스포는 특정 주제로만 열 수 있지만, 등록 엑스포는 인간과 관련된 모든 것을 광범위한 주제로 다룰 수 있어 볼거리가 그만큼 더 풍부합니다.
등록 엑스포는 개최 절차도 까다로운데, 유치 계획서를 제출하고 현장 실사와 보고 등을 거친 뒤 총회에서 회원국 투표를 거쳐야 합니다.
KBS 뉴스 이도윤입니다.
영상편집:한효정/그래픽:고석훈
-
-
이도윤 기자 dobby@kbs.co.kr
이도윤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엑스포 부산 석패…‘원 팀 코리아’로 뛰었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