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이례적 폭설…광주·전남 기상 상황은?
입력 2024.11.27 (19:14)
수정 2024.11.27 (20: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어서 전국적으로 폭설이 내린 이유와 함께 앞으로 광주 전남의 기상 상황은 어떻게 될지 KBS 재난방송 전문위원이신 광주과학기술원 지구환경공학부의 윤진호 교수와 함께 이야기 좀 더 나눠보겠습니다.
교수님, 오늘 서울을 비롯해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눈이 내렸고 또 호남에서도 전북과 전남 구례 등에는 대설특보가 내려졌잖아요.
오늘 폭설 상황 좀 정리해 주실 수 있을까요?
[답변]
아마 광주에서 오전 중에 눈이 내리는 걸 보셨던 분들이 많으실 것 같아요.
그런데 실제 광주 도심 자체는 눈이 내리자마자 녹아버렸고 주로 눈은 서울 경기지방과 그다음에 전남북 지역에서는 주로 산악지역, 구례 같은 지역에서 눈이 쌓여 있고 무등산도 눈이 쌓여 있는 걸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앵커]
다른 지역 수도권이나 중부지방은 많이 눈이 왔고 광주전남 지역은 눈은 많이 안 온 대신 곳곳에 강한 바람이 불었고 또 우박도 내렸잖아요.
이게 지형적 특성에 따라서 폭설 상황이 다르게 나타난 거라고 봐야 될까요?
[답변]
그렇게 보시는 게 맞을 것 같고요.
이번 폭설 같은 경우는 북서풍이 강하게 불어왔고 그 북서풍 전에 저기압이 있었고 저기압이 빠져나가면서 그 저기압 뒤쪽에 강하게 북서풍을 만들어서 그 바람 때문에 눈이 왔고요.
또 그 차가운 공기가 서해상에 이렇게 따뜻한 바다를 지나면서 굉장히 강한 눈구름이 발달했고 그 눈이 서울 경기 지역에 내린 것 같고요.
광주, 전남 지역 같은 경우는 주로 산악지역에 많이 내린 그런 형태입니다.
또 그게 지난 저녁부터 굉장히 많은 단시간에 많은 눈을 만들어냈죠.
그게 가장 큰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앵커]
이제 시민들이 궁금해하는 건 올 겨울에 눈이 어느 정도 내릴 거냐 이런 예측일 것 같은데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답변]
지난주에 기상청에서 12월, 1월, 2월 겨울철 전망을 발표했고요.
거기에 따르면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조금 적겠다 이렇게 전망을 하고 있습니다.
[앵커]
광주 같은 경우는 사실 눈이 적게 내리는 지역이 아니란 말입니다.
광주도 장기 예측을 따라가는 거죠?
[답변]
일단은 장기 예측을 따라가고, 갈 거라고 보는 게 맞는데 기상청에서 그런 표현을 했어요.
평년보다 조금 비슷하거나 따뜻하겠지만 변동폭이 크겠다.
이제 그 말은 한반도를 따뜻하게 만드는 요인 차갑게 만드는 요인들이 있는데 이게 굉장히 팽팽하게 지금 대립하고 있는 상태고 조금만 뭔가 강해져도 조금 더 더웠다가 조금 더 추웠다가 이렇게 왔다 갔다 하는 그런 날씨일 것 같습니다.
[앵커]
그래서 변동폭이 큰 날씨가 예상되고 어떻게 보면 뚜껑을 열어봐야 알 수 있는 상황이라고도 볼 수 있을 테고요.
말씀하신 내용 중에 눈은 꽤 오지만 기온은 오히려 조금 더 따뜻할 것이다.
이런 전망도 있던데 이것은 어떤 이유 때문일까요?
[답변]
올 겨울이 시작되기 전부터 올 겨울은 라니냐가 발달한다는 전망들이 많이 나왔었는데 그 라니냐가 생각보다 강하지 않습니다.
또 그런 원인 그다음에 지금 티베트 지역을 포함해서 아시아 지역 전체 땅덩어리가 굉장히 평년보다 따뜻합니다.
이제 그런 것 때문에 평년과 비슷하거나 혹은 오히려 평년보다 조금 더 따뜻할 수도 있겠다 이렇게 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앵커]
그런 요인들 때문에 기상청 입장에서도 사실 어느 정도로 강하게 예측할 수 있는지 알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보면 되겠죠?
[답변]
그렇게 보시면 맞을 것 같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이런 최근 이례적인 기상 상황들이 계속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것도 기후변화에 영향이 있다고 봐야 할까요?
[답변]
네 처음에 말씀드렸던 따뜻한 서해.
이렇게 차가운 공기가 따뜻한 바다 위를 지나면서 굉장히 강한 눈구름이 발달했고요.
또 굉장히 따뜻한 티베트 지역 같은 경우가 전반적으로 겨울철 전망을 평년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따뜻하게 보는 요인으로 작동을 하고 있거든요.
그런 것들은 기후변화의 어떤 발자국이 있는 걸로 보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어쨌든 눈이 예보된 만큼 눈 상황 계속 지켜보면서 관련 지역의 주민분들도 조심할 필요가 있겠네요.
오늘 말씀 교수님 감사합니다.
이어서 전국적으로 폭설이 내린 이유와 함께 앞으로 광주 전남의 기상 상황은 어떻게 될지 KBS 재난방송 전문위원이신 광주과학기술원 지구환경공학부의 윤진호 교수와 함께 이야기 좀 더 나눠보겠습니다.
교수님, 오늘 서울을 비롯해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눈이 내렸고 또 호남에서도 전북과 전남 구례 등에는 대설특보가 내려졌잖아요.
오늘 폭설 상황 좀 정리해 주실 수 있을까요?
[답변]
아마 광주에서 오전 중에 눈이 내리는 걸 보셨던 분들이 많으실 것 같아요.
그런데 실제 광주 도심 자체는 눈이 내리자마자 녹아버렸고 주로 눈은 서울 경기지방과 그다음에 전남북 지역에서는 주로 산악지역, 구례 같은 지역에서 눈이 쌓여 있고 무등산도 눈이 쌓여 있는 걸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앵커]
다른 지역 수도권이나 중부지방은 많이 눈이 왔고 광주전남 지역은 눈은 많이 안 온 대신 곳곳에 강한 바람이 불었고 또 우박도 내렸잖아요.
이게 지형적 특성에 따라서 폭설 상황이 다르게 나타난 거라고 봐야 될까요?
[답변]
그렇게 보시는 게 맞을 것 같고요.
이번 폭설 같은 경우는 북서풍이 강하게 불어왔고 그 북서풍 전에 저기압이 있었고 저기압이 빠져나가면서 그 저기압 뒤쪽에 강하게 북서풍을 만들어서 그 바람 때문에 눈이 왔고요.
또 그 차가운 공기가 서해상에 이렇게 따뜻한 바다를 지나면서 굉장히 강한 눈구름이 발달했고 그 눈이 서울 경기 지역에 내린 것 같고요.
광주, 전남 지역 같은 경우는 주로 산악지역에 많이 내린 그런 형태입니다.
또 그게 지난 저녁부터 굉장히 많은 단시간에 많은 눈을 만들어냈죠.
그게 가장 큰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앵커]
이제 시민들이 궁금해하는 건 올 겨울에 눈이 어느 정도 내릴 거냐 이런 예측일 것 같은데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답변]
지난주에 기상청에서 12월, 1월, 2월 겨울철 전망을 발표했고요.
거기에 따르면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조금 적겠다 이렇게 전망을 하고 있습니다.
[앵커]
광주 같은 경우는 사실 눈이 적게 내리는 지역이 아니란 말입니다.
광주도 장기 예측을 따라가는 거죠?
[답변]
일단은 장기 예측을 따라가고, 갈 거라고 보는 게 맞는데 기상청에서 그런 표현을 했어요.
평년보다 조금 비슷하거나 따뜻하겠지만 변동폭이 크겠다.
이제 그 말은 한반도를 따뜻하게 만드는 요인 차갑게 만드는 요인들이 있는데 이게 굉장히 팽팽하게 지금 대립하고 있는 상태고 조금만 뭔가 강해져도 조금 더 더웠다가 조금 더 추웠다가 이렇게 왔다 갔다 하는 그런 날씨일 것 같습니다.
[앵커]
그래서 변동폭이 큰 날씨가 예상되고 어떻게 보면 뚜껑을 열어봐야 알 수 있는 상황이라고도 볼 수 있을 테고요.
말씀하신 내용 중에 눈은 꽤 오지만 기온은 오히려 조금 더 따뜻할 것이다.
이런 전망도 있던데 이것은 어떤 이유 때문일까요?
[답변]
올 겨울이 시작되기 전부터 올 겨울은 라니냐가 발달한다는 전망들이 많이 나왔었는데 그 라니냐가 생각보다 강하지 않습니다.
또 그런 원인 그다음에 지금 티베트 지역을 포함해서 아시아 지역 전체 땅덩어리가 굉장히 평년보다 따뜻합니다.
이제 그런 것 때문에 평년과 비슷하거나 혹은 오히려 평년보다 조금 더 따뜻할 수도 있겠다 이렇게 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앵커]
그런 요인들 때문에 기상청 입장에서도 사실 어느 정도로 강하게 예측할 수 있는지 알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보면 되겠죠?
[답변]
그렇게 보시면 맞을 것 같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이런 최근 이례적인 기상 상황들이 계속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것도 기후변화에 영향이 있다고 봐야 할까요?
[답변]
네 처음에 말씀드렸던 따뜻한 서해.
이렇게 차가운 공기가 따뜻한 바다 위를 지나면서 굉장히 강한 눈구름이 발달했고요.
또 굉장히 따뜻한 티베트 지역 같은 경우가 전반적으로 겨울철 전망을 평년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따뜻하게 보는 요인으로 작동을 하고 있거든요.
그런 것들은 기후변화의 어떤 발자국이 있는 걸로 보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어쨌든 눈이 예보된 만큼 눈 상황 계속 지켜보면서 관련 지역의 주민분들도 조심할 필요가 있겠네요.
오늘 말씀 교수님 감사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11월 이례적 폭설…광주·전남 기상 상황은?
-
- 입력 2024-11-27 19:14:54
- 수정2024-11-27 20:25:23
[앵커]
이어서 전국적으로 폭설이 내린 이유와 함께 앞으로 광주 전남의 기상 상황은 어떻게 될지 KBS 재난방송 전문위원이신 광주과학기술원 지구환경공학부의 윤진호 교수와 함께 이야기 좀 더 나눠보겠습니다.
교수님, 오늘 서울을 비롯해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눈이 내렸고 또 호남에서도 전북과 전남 구례 등에는 대설특보가 내려졌잖아요.
오늘 폭설 상황 좀 정리해 주실 수 있을까요?
[답변]
아마 광주에서 오전 중에 눈이 내리는 걸 보셨던 분들이 많으실 것 같아요.
그런데 실제 광주 도심 자체는 눈이 내리자마자 녹아버렸고 주로 눈은 서울 경기지방과 그다음에 전남북 지역에서는 주로 산악지역, 구례 같은 지역에서 눈이 쌓여 있고 무등산도 눈이 쌓여 있는 걸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앵커]
다른 지역 수도권이나 중부지방은 많이 눈이 왔고 광주전남 지역은 눈은 많이 안 온 대신 곳곳에 강한 바람이 불었고 또 우박도 내렸잖아요.
이게 지형적 특성에 따라서 폭설 상황이 다르게 나타난 거라고 봐야 될까요?
[답변]
그렇게 보시는 게 맞을 것 같고요.
이번 폭설 같은 경우는 북서풍이 강하게 불어왔고 그 북서풍 전에 저기압이 있었고 저기압이 빠져나가면서 그 저기압 뒤쪽에 강하게 북서풍을 만들어서 그 바람 때문에 눈이 왔고요.
또 그 차가운 공기가 서해상에 이렇게 따뜻한 바다를 지나면서 굉장히 강한 눈구름이 발달했고 그 눈이 서울 경기 지역에 내린 것 같고요.
광주, 전남 지역 같은 경우는 주로 산악지역에 많이 내린 그런 형태입니다.
또 그게 지난 저녁부터 굉장히 많은 단시간에 많은 눈을 만들어냈죠.
그게 가장 큰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앵커]
이제 시민들이 궁금해하는 건 올 겨울에 눈이 어느 정도 내릴 거냐 이런 예측일 것 같은데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답변]
지난주에 기상청에서 12월, 1월, 2월 겨울철 전망을 발표했고요.
거기에 따르면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조금 적겠다 이렇게 전망을 하고 있습니다.
[앵커]
광주 같은 경우는 사실 눈이 적게 내리는 지역이 아니란 말입니다.
광주도 장기 예측을 따라가는 거죠?
[답변]
일단은 장기 예측을 따라가고, 갈 거라고 보는 게 맞는데 기상청에서 그런 표현을 했어요.
평년보다 조금 비슷하거나 따뜻하겠지만 변동폭이 크겠다.
이제 그 말은 한반도를 따뜻하게 만드는 요인 차갑게 만드는 요인들이 있는데 이게 굉장히 팽팽하게 지금 대립하고 있는 상태고 조금만 뭔가 강해져도 조금 더 더웠다가 조금 더 추웠다가 이렇게 왔다 갔다 하는 그런 날씨일 것 같습니다.
[앵커]
그래서 변동폭이 큰 날씨가 예상되고 어떻게 보면 뚜껑을 열어봐야 알 수 있는 상황이라고도 볼 수 있을 테고요.
말씀하신 내용 중에 눈은 꽤 오지만 기온은 오히려 조금 더 따뜻할 것이다.
이런 전망도 있던데 이것은 어떤 이유 때문일까요?
[답변]
올 겨울이 시작되기 전부터 올 겨울은 라니냐가 발달한다는 전망들이 많이 나왔었는데 그 라니냐가 생각보다 강하지 않습니다.
또 그런 원인 그다음에 지금 티베트 지역을 포함해서 아시아 지역 전체 땅덩어리가 굉장히 평년보다 따뜻합니다.
이제 그런 것 때문에 평년과 비슷하거나 혹은 오히려 평년보다 조금 더 따뜻할 수도 있겠다 이렇게 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앵커]
그런 요인들 때문에 기상청 입장에서도 사실 어느 정도로 강하게 예측할 수 있는지 알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보면 되겠죠?
[답변]
그렇게 보시면 맞을 것 같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이런 최근 이례적인 기상 상황들이 계속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것도 기후변화에 영향이 있다고 봐야 할까요?
[답변]
네 처음에 말씀드렸던 따뜻한 서해.
이렇게 차가운 공기가 따뜻한 바다 위를 지나면서 굉장히 강한 눈구름이 발달했고요.
또 굉장히 따뜻한 티베트 지역 같은 경우가 전반적으로 겨울철 전망을 평년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따뜻하게 보는 요인으로 작동을 하고 있거든요.
그런 것들은 기후변화의 어떤 발자국이 있는 걸로 보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어쨌든 눈이 예보된 만큼 눈 상황 계속 지켜보면서 관련 지역의 주민분들도 조심할 필요가 있겠네요.
오늘 말씀 교수님 감사합니다.
이어서 전국적으로 폭설이 내린 이유와 함께 앞으로 광주 전남의 기상 상황은 어떻게 될지 KBS 재난방송 전문위원이신 광주과학기술원 지구환경공학부의 윤진호 교수와 함께 이야기 좀 더 나눠보겠습니다.
교수님, 오늘 서울을 비롯해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눈이 내렸고 또 호남에서도 전북과 전남 구례 등에는 대설특보가 내려졌잖아요.
오늘 폭설 상황 좀 정리해 주실 수 있을까요?
[답변]
아마 광주에서 오전 중에 눈이 내리는 걸 보셨던 분들이 많으실 것 같아요.
그런데 실제 광주 도심 자체는 눈이 내리자마자 녹아버렸고 주로 눈은 서울 경기지방과 그다음에 전남북 지역에서는 주로 산악지역, 구례 같은 지역에서 눈이 쌓여 있고 무등산도 눈이 쌓여 있는 걸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앵커]
다른 지역 수도권이나 중부지방은 많이 눈이 왔고 광주전남 지역은 눈은 많이 안 온 대신 곳곳에 강한 바람이 불었고 또 우박도 내렸잖아요.
이게 지형적 특성에 따라서 폭설 상황이 다르게 나타난 거라고 봐야 될까요?
[답변]
그렇게 보시는 게 맞을 것 같고요.
이번 폭설 같은 경우는 북서풍이 강하게 불어왔고 그 북서풍 전에 저기압이 있었고 저기압이 빠져나가면서 그 저기압 뒤쪽에 강하게 북서풍을 만들어서 그 바람 때문에 눈이 왔고요.
또 그 차가운 공기가 서해상에 이렇게 따뜻한 바다를 지나면서 굉장히 강한 눈구름이 발달했고 그 눈이 서울 경기 지역에 내린 것 같고요.
광주, 전남 지역 같은 경우는 주로 산악지역에 많이 내린 그런 형태입니다.
또 그게 지난 저녁부터 굉장히 많은 단시간에 많은 눈을 만들어냈죠.
그게 가장 큰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앵커]
이제 시민들이 궁금해하는 건 올 겨울에 눈이 어느 정도 내릴 거냐 이런 예측일 것 같은데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답변]
지난주에 기상청에서 12월, 1월, 2월 겨울철 전망을 발표했고요.
거기에 따르면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조금 적겠다 이렇게 전망을 하고 있습니다.
[앵커]
광주 같은 경우는 사실 눈이 적게 내리는 지역이 아니란 말입니다.
광주도 장기 예측을 따라가는 거죠?
[답변]
일단은 장기 예측을 따라가고, 갈 거라고 보는 게 맞는데 기상청에서 그런 표현을 했어요.
평년보다 조금 비슷하거나 따뜻하겠지만 변동폭이 크겠다.
이제 그 말은 한반도를 따뜻하게 만드는 요인 차갑게 만드는 요인들이 있는데 이게 굉장히 팽팽하게 지금 대립하고 있는 상태고 조금만 뭔가 강해져도 조금 더 더웠다가 조금 더 추웠다가 이렇게 왔다 갔다 하는 그런 날씨일 것 같습니다.
[앵커]
그래서 변동폭이 큰 날씨가 예상되고 어떻게 보면 뚜껑을 열어봐야 알 수 있는 상황이라고도 볼 수 있을 테고요.
말씀하신 내용 중에 눈은 꽤 오지만 기온은 오히려 조금 더 따뜻할 것이다.
이런 전망도 있던데 이것은 어떤 이유 때문일까요?
[답변]
올 겨울이 시작되기 전부터 올 겨울은 라니냐가 발달한다는 전망들이 많이 나왔었는데 그 라니냐가 생각보다 강하지 않습니다.
또 그런 원인 그다음에 지금 티베트 지역을 포함해서 아시아 지역 전체 땅덩어리가 굉장히 평년보다 따뜻합니다.
이제 그런 것 때문에 평년과 비슷하거나 혹은 오히려 평년보다 조금 더 따뜻할 수도 있겠다 이렇게 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앵커]
그런 요인들 때문에 기상청 입장에서도 사실 어느 정도로 강하게 예측할 수 있는지 알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보면 되겠죠?
[답변]
그렇게 보시면 맞을 것 같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이런 최근 이례적인 기상 상황들이 계속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것도 기후변화에 영향이 있다고 봐야 할까요?
[답변]
네 처음에 말씀드렸던 따뜻한 서해.
이렇게 차가운 공기가 따뜻한 바다 위를 지나면서 굉장히 강한 눈구름이 발달했고요.
또 굉장히 따뜻한 티베트 지역 같은 경우가 전반적으로 겨울철 전망을 평년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따뜻하게 보는 요인으로 작동을 하고 있거든요.
그런 것들은 기후변화의 어떤 발자국이 있는 걸로 보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어쨌든 눈이 예보된 만큼 눈 상황 계속 지켜보면서 관련 지역의 주민분들도 조심할 필요가 있겠네요.
오늘 말씀 교수님 감사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전국 곳곳 폭설…사고 피해 잇따라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