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북한군 포로 “한국에 가고 싶다”…정부, 귀순 관련 협의 나서나
입력 2025.02.19 (11:21)
수정 2025.02.19 (17: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크라이나군에 붙잡힌 북한군 포로가 한국에 가고 싶다는 의사를 밝힘에 따라, 실제 귀순이 이뤄질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지난달 우크라이나군에 생포된 북한군 리 모 씨는 오늘(19일) 공개된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우선 난민 신청을 해서 대한민국에 갈 생각”이라고 밝혔습니다.
북한군 포로가 한국에 가겠다는 의지를 밝힌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스스로를 ‘정찰총국 소속’으로 밝힌 리 씨는 파병 기간 “우크라이나군 무인기 조종사가 다 대한민국 군인”이라는 보위부(북한 정보기관) 요원 말에 속아 한국과 싸운다는 생각으로 전투에 임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리 씨는 지난해 10월 초 북한을 떠나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훈련하다가, 12월 중순 우크라이나군과 전투가 한창이었던 러시아 쿠르스크에 도착했고 지난달 5일부터 전장에 투입됐다고 밝혔습니다. 러시아에 오기 3개월 전부터 부모와도 연락할 수 없어, 가족들도 파병 사실을 모른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리 씨는 ‘무슨 얘기를 듣고 러시아에 왔냐’는 질문에는 “유학생으로 훈련한다고 (들었고), 전투에 참여할 줄은 몰랐다”면서 쿠르스크에 도착한 뒤에야 전투 참여 사실을 알게 됐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전투 참여 전 훈련 당시에는 무인기(드론)에 대해 배우긴 했지만, 무인기 출현 시 숨거나 하는 훈련만 진행했고 정작 무인기를 직접 격추하는 훈련을 하진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리 씨는 무인기와 포 사격으로 파병 온 부대 전우가 거의 다 희생됐고, 자신도 총에 맞아 턱과 팔을 심하게 다쳤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리 씨는 “포로가 된 게 우리나라(북한) 정부에 알려지면 아버지와 어머니가 평양에 있지 못할 것”이라며 ‘지금 북으로 돌아가도 고난이 있지 않겠냐’는 질문에는 “당연하다”고 답했습니다.
북한군 포로가 직접 한국으로의 귀순 의사를 밝히면서 정부가 우크라이나 측과 귀순 관련 협의에 착수할지 주목됩니다.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은 앞서 지난달 14일 정례브리핑에서, “북한군은 헌법상 우리 국민인 만큼 귀순 요청 시 우크라이나와 협의할 계획”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국가정보원도 지난달 13일 국회 정보위원회 보고에서 “북한군도 헌법 가치에 의해 우리 국민이기 때문에 포로가 된 북한군의 의사가 가장 중요하다는 관점”이라며 귀순 의사를 밝히면 우크라이나 측과 적극적으로 협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지난달 우크라이나군에 생포된 북한군 리 모 씨는 오늘(19일) 공개된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우선 난민 신청을 해서 대한민국에 갈 생각”이라고 밝혔습니다.
북한군 포로가 한국에 가겠다는 의지를 밝힌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스스로를 ‘정찰총국 소속’으로 밝힌 리 씨는 파병 기간 “우크라이나군 무인기 조종사가 다 대한민국 군인”이라는 보위부(북한 정보기관) 요원 말에 속아 한국과 싸운다는 생각으로 전투에 임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리 씨는 지난해 10월 초 북한을 떠나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훈련하다가, 12월 중순 우크라이나군과 전투가 한창이었던 러시아 쿠르스크에 도착했고 지난달 5일부터 전장에 투입됐다고 밝혔습니다. 러시아에 오기 3개월 전부터 부모와도 연락할 수 없어, 가족들도 파병 사실을 모른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리 씨는 ‘무슨 얘기를 듣고 러시아에 왔냐’는 질문에는 “유학생으로 훈련한다고 (들었고), 전투에 참여할 줄은 몰랐다”면서 쿠르스크에 도착한 뒤에야 전투 참여 사실을 알게 됐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전투 참여 전 훈련 당시에는 무인기(드론)에 대해 배우긴 했지만, 무인기 출현 시 숨거나 하는 훈련만 진행했고 정작 무인기를 직접 격추하는 훈련을 하진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리 씨는 무인기와 포 사격으로 파병 온 부대 전우가 거의 다 희생됐고, 자신도 총에 맞아 턱과 팔을 심하게 다쳤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리 씨는 “포로가 된 게 우리나라(북한) 정부에 알려지면 아버지와 어머니가 평양에 있지 못할 것”이라며 ‘지금 북으로 돌아가도 고난이 있지 않겠냐’는 질문에는 “당연하다”고 답했습니다.
북한군 포로가 직접 한국으로의 귀순 의사를 밝히면서 정부가 우크라이나 측과 귀순 관련 협의에 착수할지 주목됩니다.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은 앞서 지난달 14일 정례브리핑에서, “북한군은 헌법상 우리 국민인 만큼 귀순 요청 시 우크라이나와 협의할 계획”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국가정보원도 지난달 13일 국회 정보위원회 보고에서 “북한군도 헌법 가치에 의해 우리 국민이기 때문에 포로가 된 북한군의 의사가 가장 중요하다는 관점”이라며 귀순 의사를 밝히면 우크라이나 측과 적극적으로 협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우크라이나 북한군 포로 “한국에 가고 싶다”…정부, 귀순 관련 협의 나서나
-
- 입력 2025-02-19 11:21:12
- 수정2025-02-19 17:48:06

우크라이나군에 붙잡힌 북한군 포로가 한국에 가고 싶다는 의사를 밝힘에 따라, 실제 귀순이 이뤄질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지난달 우크라이나군에 생포된 북한군 리 모 씨는 오늘(19일) 공개된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우선 난민 신청을 해서 대한민국에 갈 생각”이라고 밝혔습니다.
북한군 포로가 한국에 가겠다는 의지를 밝힌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스스로를 ‘정찰총국 소속’으로 밝힌 리 씨는 파병 기간 “우크라이나군 무인기 조종사가 다 대한민국 군인”이라는 보위부(북한 정보기관) 요원 말에 속아 한국과 싸운다는 생각으로 전투에 임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리 씨는 지난해 10월 초 북한을 떠나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훈련하다가, 12월 중순 우크라이나군과 전투가 한창이었던 러시아 쿠르스크에 도착했고 지난달 5일부터 전장에 투입됐다고 밝혔습니다. 러시아에 오기 3개월 전부터 부모와도 연락할 수 없어, 가족들도 파병 사실을 모른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리 씨는 ‘무슨 얘기를 듣고 러시아에 왔냐’는 질문에는 “유학생으로 훈련한다고 (들었고), 전투에 참여할 줄은 몰랐다”면서 쿠르스크에 도착한 뒤에야 전투 참여 사실을 알게 됐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전투 참여 전 훈련 당시에는 무인기(드론)에 대해 배우긴 했지만, 무인기 출현 시 숨거나 하는 훈련만 진행했고 정작 무인기를 직접 격추하는 훈련을 하진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리 씨는 무인기와 포 사격으로 파병 온 부대 전우가 거의 다 희생됐고, 자신도 총에 맞아 턱과 팔을 심하게 다쳤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리 씨는 “포로가 된 게 우리나라(북한) 정부에 알려지면 아버지와 어머니가 평양에 있지 못할 것”이라며 ‘지금 북으로 돌아가도 고난이 있지 않겠냐’는 질문에는 “당연하다”고 답했습니다.
북한군 포로가 직접 한국으로의 귀순 의사를 밝히면서 정부가 우크라이나 측과 귀순 관련 협의에 착수할지 주목됩니다.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은 앞서 지난달 14일 정례브리핑에서, “북한군은 헌법상 우리 국민인 만큼 귀순 요청 시 우크라이나와 협의할 계획”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국가정보원도 지난달 13일 국회 정보위원회 보고에서 “북한군도 헌법 가치에 의해 우리 국민이기 때문에 포로가 된 북한군의 의사가 가장 중요하다는 관점”이라며 귀순 의사를 밝히면 우크라이나 측과 적극적으로 협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지난달 우크라이나군에 생포된 북한군 리 모 씨는 오늘(19일) 공개된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우선 난민 신청을 해서 대한민국에 갈 생각”이라고 밝혔습니다.
북한군 포로가 한국에 가겠다는 의지를 밝힌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스스로를 ‘정찰총국 소속’으로 밝힌 리 씨는 파병 기간 “우크라이나군 무인기 조종사가 다 대한민국 군인”이라는 보위부(북한 정보기관) 요원 말에 속아 한국과 싸운다는 생각으로 전투에 임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리 씨는 지난해 10월 초 북한을 떠나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훈련하다가, 12월 중순 우크라이나군과 전투가 한창이었던 러시아 쿠르스크에 도착했고 지난달 5일부터 전장에 투입됐다고 밝혔습니다. 러시아에 오기 3개월 전부터 부모와도 연락할 수 없어, 가족들도 파병 사실을 모른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리 씨는 ‘무슨 얘기를 듣고 러시아에 왔냐’는 질문에는 “유학생으로 훈련한다고 (들었고), 전투에 참여할 줄은 몰랐다”면서 쿠르스크에 도착한 뒤에야 전투 참여 사실을 알게 됐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전투 참여 전 훈련 당시에는 무인기(드론)에 대해 배우긴 했지만, 무인기 출현 시 숨거나 하는 훈련만 진행했고 정작 무인기를 직접 격추하는 훈련을 하진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리 씨는 무인기와 포 사격으로 파병 온 부대 전우가 거의 다 희생됐고, 자신도 총에 맞아 턱과 팔을 심하게 다쳤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리 씨는 “포로가 된 게 우리나라(북한) 정부에 알려지면 아버지와 어머니가 평양에 있지 못할 것”이라며 ‘지금 북으로 돌아가도 고난이 있지 않겠냐’는 질문에는 “당연하다”고 답했습니다.
북한군 포로가 직접 한국으로의 귀순 의사를 밝히면서 정부가 우크라이나 측과 귀순 관련 협의에 착수할지 주목됩니다.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은 앞서 지난달 14일 정례브리핑에서, “북한군은 헌법상 우리 국민인 만큼 귀순 요청 시 우크라이나와 협의할 계획”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국가정보원도 지난달 13일 국회 정보위원회 보고에서 “북한군도 헌법 가치에 의해 우리 국민이기 때문에 포로가 된 북한군의 의사가 가장 중요하다는 관점”이라며 귀순 의사를 밝히면 우크라이나 측과 적극적으로 협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울지마 키이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