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대선…지역 정치인 누가 뛰나?

입력 2025.04.08 (19:06) 수정 2025.04.08 (20: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조기 대선일이 6월 3일로 확정됐고, 자천·타천으로 대권 후보들의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습니다.

출마를 선언했거나 출마를 고심 중인 지역 정치인들을, 장성길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부산 출신 정치인,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이 네 번째 대권 도전을 공식 선언했습니다.

안 의원은 "국가 혼란을 극복하고 '국민통합'과 '시대교체'를 통해 미래로 나아가자"고 밝혔습니다.

특히 중도 확장성 면에서 자신이 가장 경쟁력이 있는 후보임을 내세웠습니다.

[안철수/국민의힘 의원 : "깨끗한 후보, 흠 없이 대결할 수 있는 후보를 선출해 주십시오. 밤을 새워 일하고, 세계를 향해 뛰겠습니다."]

온건한 보수 이미지에 높은 인지도를 가진, 현직 박형준 부산시장의 이름도 오르내립니다.

박 시장은 저서와 강연으로 국가 운영과 재건 방안, 자신의 정치 철학을 알리고 있는 상황.

박 시장 측은 "당장은 시정에 집중하겠다"면서도 "대선 때 주어진 역할을 다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부산에서 유일한 더불어민주당 현역 3선인 전재수 의원도 대선 출마를 고심 중입니다.

전 의원은 "주변의 조언을 들으며 고민하는 중이며, 이번 주 안에 결정을 내리겠다"고 밝혔습니다.

경남도지사와 양산 국회의원 출신인 김두관 전 의원.

국회 출마 선언에 이어 부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지역 발전 정책을 설명합니다.

하지만 50여 일 남은 짧은 기간 탓에, 지역 기반 정치인들이 경쟁력을 갖추기가 쉽지 않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민희/부산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이번 대선은) 통합의 리더십이나, 개헌과 같은 전국적 성격의 이슈가 좀 더 부각될 거 같아요. 그런 이슈들이 선거 국면을 좌지우지할 것이라고 판단됩니다."]

이제, 조기 대선의 시간입니다.

놓칠 수 없는 부산, 유력 대권 주자들의 부산 방문이 잇따를 전망입니다.

KBS 뉴스 장성길입니다.

영상편집:김종수/그래픽:조양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6·3 대선…지역 정치인 누가 뛰나?
    • 입력 2025-04-08 19:06:05
    • 수정2025-04-08 20:32:40
    뉴스7(부산)
[앵커]

조기 대선일이 6월 3일로 확정됐고, 자천·타천으로 대권 후보들의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습니다.

출마를 선언했거나 출마를 고심 중인 지역 정치인들을, 장성길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부산 출신 정치인,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이 네 번째 대권 도전을 공식 선언했습니다.

안 의원은 "국가 혼란을 극복하고 '국민통합'과 '시대교체'를 통해 미래로 나아가자"고 밝혔습니다.

특히 중도 확장성 면에서 자신이 가장 경쟁력이 있는 후보임을 내세웠습니다.

[안철수/국민의힘 의원 : "깨끗한 후보, 흠 없이 대결할 수 있는 후보를 선출해 주십시오. 밤을 새워 일하고, 세계를 향해 뛰겠습니다."]

온건한 보수 이미지에 높은 인지도를 가진, 현직 박형준 부산시장의 이름도 오르내립니다.

박 시장은 저서와 강연으로 국가 운영과 재건 방안, 자신의 정치 철학을 알리고 있는 상황.

박 시장 측은 "당장은 시정에 집중하겠다"면서도 "대선 때 주어진 역할을 다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부산에서 유일한 더불어민주당 현역 3선인 전재수 의원도 대선 출마를 고심 중입니다.

전 의원은 "주변의 조언을 들으며 고민하는 중이며, 이번 주 안에 결정을 내리겠다"고 밝혔습니다.

경남도지사와 양산 국회의원 출신인 김두관 전 의원.

국회 출마 선언에 이어 부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지역 발전 정책을 설명합니다.

하지만 50여 일 남은 짧은 기간 탓에, 지역 기반 정치인들이 경쟁력을 갖추기가 쉽지 않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민희/부산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이번 대선은) 통합의 리더십이나, 개헌과 같은 전국적 성격의 이슈가 좀 더 부각될 거 같아요. 그런 이슈들이 선거 국면을 좌지우지할 것이라고 판단됩니다."]

이제, 조기 대선의 시간입니다.

놓칠 수 없는 부산, 유력 대권 주자들의 부산 방문이 잇따를 전망입니다.

KBS 뉴스 장성길입니다.

영상편집:김종수/그래픽:조양성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