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양 산불 원인도 용접 불씨…잇단 실화 왜?
입력 2025.04.08 (22:55)
수정 2025.04.08 (23: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달 울주군 온양읍에 이어 언양읍에서 난 산불의 원인도 용접 작업 중 튄 불씨로 확인됐습니다.
야산 주변 CCTV를 분석한 경찰이 50대 남성을 붙잡았는데, 불이 나자 용접기를 숨긴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보도에 조희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마을과 인접한 야산 곳곳이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29시간 만에 꺼진 울주군 언양읍 화장산 산불로 임야 63ha와 주택 일부가 탔습니다.
발화 원인을 수사 중인 경찰은 야산 주변 CCTV에서 산불 발생 20분 전 50대 남성이 용접기로 추정되는 장비를 들고 이동하는 모습을 포착했습니다.
탐문 수사로 남성의 인적 사항을 파악한 경찰은 "산에서 울타리 용접을 하던 중 불씨가 튀었다"는 진술도 확보했습니다.
진화를 시도하다 실패하자 현장을 벗어난 남성은 약 3km 떨어진 텃밭에 용접기를 숨긴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박영호/울주경찰서 형사과장 : "산불 번지는 속도가 좀 빨랐던 걸로 추정이 되고, 그러다 보니까 자기 스스로도 진화가 할 수 없는 그런 상황이다 보니까 그대로 아마도 현장을 벗어난 걸로 확인이 됩니다."]
경찰은 해당 남성을 산림보호법 위반 혐의로 입건하고 정확한 경위를 파악할 예정입니다.
경찰은 피의자가 왜 용접을 하게 됐는지, 누군가의 부탁을 받았는지 등 경위를 조사할 방침입니다.
엿새 동안 산림 930여 ha를 태운 울주군 온양읍 대운산 산불도 농막에서 용접 중 튄 불티가 인근 임야로 번지며 발생했습니다.
산림보호법에 따라 지자체장은 산불 예방을 위해 용접기 등 화기를 들고 입산하는 걸 금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산림 전체를 돌며 감시하기가 쉽지 않고, 화기를 소지한 입산자를 적발하더라도 처분은 과태료 30만 원에 그칩니다.
산불 위기 경보가 심각 단계를 유지하는 가운데, 경찰과 산림 당국은 용접 등 화기 사용 행위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조희수입니다.
촬영기자:김용삼
지난달 울주군 온양읍에 이어 언양읍에서 난 산불의 원인도 용접 작업 중 튄 불씨로 확인됐습니다.
야산 주변 CCTV를 분석한 경찰이 50대 남성을 붙잡았는데, 불이 나자 용접기를 숨긴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보도에 조희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마을과 인접한 야산 곳곳이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29시간 만에 꺼진 울주군 언양읍 화장산 산불로 임야 63ha와 주택 일부가 탔습니다.
발화 원인을 수사 중인 경찰은 야산 주변 CCTV에서 산불 발생 20분 전 50대 남성이 용접기로 추정되는 장비를 들고 이동하는 모습을 포착했습니다.
탐문 수사로 남성의 인적 사항을 파악한 경찰은 "산에서 울타리 용접을 하던 중 불씨가 튀었다"는 진술도 확보했습니다.
진화를 시도하다 실패하자 현장을 벗어난 남성은 약 3km 떨어진 텃밭에 용접기를 숨긴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박영호/울주경찰서 형사과장 : "산불 번지는 속도가 좀 빨랐던 걸로 추정이 되고, 그러다 보니까 자기 스스로도 진화가 할 수 없는 그런 상황이다 보니까 그대로 아마도 현장을 벗어난 걸로 확인이 됩니다."]
경찰은 해당 남성을 산림보호법 위반 혐의로 입건하고 정확한 경위를 파악할 예정입니다.
경찰은 피의자가 왜 용접을 하게 됐는지, 누군가의 부탁을 받았는지 등 경위를 조사할 방침입니다.
엿새 동안 산림 930여 ha를 태운 울주군 온양읍 대운산 산불도 농막에서 용접 중 튄 불티가 인근 임야로 번지며 발생했습니다.
산림보호법에 따라 지자체장은 산불 예방을 위해 용접기 등 화기를 들고 입산하는 걸 금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산림 전체를 돌며 감시하기가 쉽지 않고, 화기를 소지한 입산자를 적발하더라도 처분은 과태료 30만 원에 그칩니다.
산불 위기 경보가 심각 단계를 유지하는 가운데, 경찰과 산림 당국은 용접 등 화기 사용 행위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조희수입니다.
촬영기자:김용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언양 산불 원인도 용접 불씨…잇단 실화 왜?
-
- 입력 2025-04-08 22:55:31
- 수정2025-04-08 23:37:53

[앵커]
지난달 울주군 온양읍에 이어 언양읍에서 난 산불의 원인도 용접 작업 중 튄 불씨로 확인됐습니다.
야산 주변 CCTV를 분석한 경찰이 50대 남성을 붙잡았는데, 불이 나자 용접기를 숨긴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보도에 조희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마을과 인접한 야산 곳곳이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29시간 만에 꺼진 울주군 언양읍 화장산 산불로 임야 63ha와 주택 일부가 탔습니다.
발화 원인을 수사 중인 경찰은 야산 주변 CCTV에서 산불 발생 20분 전 50대 남성이 용접기로 추정되는 장비를 들고 이동하는 모습을 포착했습니다.
탐문 수사로 남성의 인적 사항을 파악한 경찰은 "산에서 울타리 용접을 하던 중 불씨가 튀었다"는 진술도 확보했습니다.
진화를 시도하다 실패하자 현장을 벗어난 남성은 약 3km 떨어진 텃밭에 용접기를 숨긴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박영호/울주경찰서 형사과장 : "산불 번지는 속도가 좀 빨랐던 걸로 추정이 되고, 그러다 보니까 자기 스스로도 진화가 할 수 없는 그런 상황이다 보니까 그대로 아마도 현장을 벗어난 걸로 확인이 됩니다."]
경찰은 해당 남성을 산림보호법 위반 혐의로 입건하고 정확한 경위를 파악할 예정입니다.
경찰은 피의자가 왜 용접을 하게 됐는지, 누군가의 부탁을 받았는지 등 경위를 조사할 방침입니다.
엿새 동안 산림 930여 ha를 태운 울주군 온양읍 대운산 산불도 농막에서 용접 중 튄 불티가 인근 임야로 번지며 발생했습니다.
산림보호법에 따라 지자체장은 산불 예방을 위해 용접기 등 화기를 들고 입산하는 걸 금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산림 전체를 돌며 감시하기가 쉽지 않고, 화기를 소지한 입산자를 적발하더라도 처분은 과태료 30만 원에 그칩니다.
산불 위기 경보가 심각 단계를 유지하는 가운데, 경찰과 산림 당국은 용접 등 화기 사용 행위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조희수입니다.
촬영기자:김용삼
지난달 울주군 온양읍에 이어 언양읍에서 난 산불의 원인도 용접 작업 중 튄 불씨로 확인됐습니다.
야산 주변 CCTV를 분석한 경찰이 50대 남성을 붙잡았는데, 불이 나자 용접기를 숨긴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보도에 조희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마을과 인접한 야산 곳곳이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29시간 만에 꺼진 울주군 언양읍 화장산 산불로 임야 63ha와 주택 일부가 탔습니다.
발화 원인을 수사 중인 경찰은 야산 주변 CCTV에서 산불 발생 20분 전 50대 남성이 용접기로 추정되는 장비를 들고 이동하는 모습을 포착했습니다.
탐문 수사로 남성의 인적 사항을 파악한 경찰은 "산에서 울타리 용접을 하던 중 불씨가 튀었다"는 진술도 확보했습니다.
진화를 시도하다 실패하자 현장을 벗어난 남성은 약 3km 떨어진 텃밭에 용접기를 숨긴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박영호/울주경찰서 형사과장 : "산불 번지는 속도가 좀 빨랐던 걸로 추정이 되고, 그러다 보니까 자기 스스로도 진화가 할 수 없는 그런 상황이다 보니까 그대로 아마도 현장을 벗어난 걸로 확인이 됩니다."]
경찰은 해당 남성을 산림보호법 위반 혐의로 입건하고 정확한 경위를 파악할 예정입니다.
경찰은 피의자가 왜 용접을 하게 됐는지, 누군가의 부탁을 받았는지 등 경위를 조사할 방침입니다.
엿새 동안 산림 930여 ha를 태운 울주군 온양읍 대운산 산불도 농막에서 용접 중 튄 불티가 인근 임야로 번지며 발생했습니다.
산림보호법에 따라 지자체장은 산불 예방을 위해 용접기 등 화기를 들고 입산하는 걸 금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산림 전체를 돌며 감시하기가 쉽지 않고, 화기를 소지한 입산자를 적발하더라도 처분은 과태료 30만 원에 그칩니다.
산불 위기 경보가 심각 단계를 유지하는 가운데, 경찰과 산림 당국은 용접 등 화기 사용 행위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조희수입니다.
촬영기자:김용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영남권 최악의 산불…피해 복구 총력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