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산불에 지반도 약화…곳곳 산사태 위험

입력 2025.04.09 (19:18) 수정 2025.04.09 (20: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달 울산 울주군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지반도 많이 약해진 상태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비가 쏟아지면 산사태 위험도 커지는데요,

특히 주택가와 인접한 산림은 응급 복구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조희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화마가 휩쓸고 간 울주군 온양읍의 야산.

산 곳곳이 온통 시커멓게 그을렸습니다.

거센 불길에 뿌리부터 타거나, 이파리 하나 남지 않은 나무도 있습니다.

이곳은 산불의 여파로 까맣게 탔을 뿐 아니라 나무 뿌리도 약해져 지반 위로 드러났습니다.

빗물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해 산사태에 취약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진단합니다.

[최현수/산림청 산사태방지과장 : "잔뿌리 같은 경우가 또 주변 흙도 그물처럼 이렇게 잡아주고 있는데, 그 기능 역시 이제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서서히 좀 감소하게 돼요."]

산불 진화가 끝난 뒤 산림청이 울주군 온양읍 일대 산사태 위험 정도를 현장 조사했습니다.

나무 훼손 정도와 지반의 상태 등을 분석한 결과, 주택과 100m가량 떨어진 산림 등 20곳은 산사태 발생 가능성이 컸습니다.

특히 8곳은 응급 복구가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경사가 급한 산불 피해 지역의 경우 흙이 더 쉽게 쏟아질 수 있습니다.

산불이 마을로 번질까 노심초사했던 주민들은 이제 산사태를 걱정합니다.

[마을 주민 : "산불이 나다 보니까 이 대나무도 그렇고 산하고 이 집하고 이렇게 붙어 있으니까 얼마나 불안합니까? (비가 오면) 나무가 없다 보니 흙이 많이 씻겨서 내려오죠..."]

산림청은 오는 15일까지 합동조사반을 추가로 투입해 복구 작업을 해야 할 곳을 확정할 예정입니다.

울산시도 실태 조사가 끝나는 대로 비탈길을 다듬고 사방 시설을 설치하는 등 여름철 집중 호우에 대비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조희수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그래픽:박서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형 산불에 지반도 약화…곳곳 산사태 위험
    • 입력 2025-04-09 19:18:04
    • 수정2025-04-09 20:21:50
    뉴스7(부산)
[앵커]

지난달 울산 울주군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지반도 많이 약해진 상태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비가 쏟아지면 산사태 위험도 커지는데요,

특히 주택가와 인접한 산림은 응급 복구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조희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화마가 휩쓸고 간 울주군 온양읍의 야산.

산 곳곳이 온통 시커멓게 그을렸습니다.

거센 불길에 뿌리부터 타거나, 이파리 하나 남지 않은 나무도 있습니다.

이곳은 산불의 여파로 까맣게 탔을 뿐 아니라 나무 뿌리도 약해져 지반 위로 드러났습니다.

빗물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해 산사태에 취약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진단합니다.

[최현수/산림청 산사태방지과장 : "잔뿌리 같은 경우가 또 주변 흙도 그물처럼 이렇게 잡아주고 있는데, 그 기능 역시 이제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서서히 좀 감소하게 돼요."]

산불 진화가 끝난 뒤 산림청이 울주군 온양읍 일대 산사태 위험 정도를 현장 조사했습니다.

나무 훼손 정도와 지반의 상태 등을 분석한 결과, 주택과 100m가량 떨어진 산림 등 20곳은 산사태 발생 가능성이 컸습니다.

특히 8곳은 응급 복구가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경사가 급한 산불 피해 지역의 경우 흙이 더 쉽게 쏟아질 수 있습니다.

산불이 마을로 번질까 노심초사했던 주민들은 이제 산사태를 걱정합니다.

[마을 주민 : "산불이 나다 보니까 이 대나무도 그렇고 산하고 이 집하고 이렇게 붙어 있으니까 얼마나 불안합니까? (비가 오면) 나무가 없다 보니 흙이 많이 씻겨서 내려오죠..."]

산림청은 오는 15일까지 합동조사반을 추가로 투입해 복구 작업을 해야 할 곳을 확정할 예정입니다.

울산시도 실태 조사가 끝나는 대로 비탈길을 다듬고 사방 시설을 설치하는 등 여름철 집중 호우에 대비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조희수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그래픽:박서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