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수’로 시작된 산불…처벌은 솜방망이
입력 2025.04.09 (19:17)
수정 2025.04.09 (20: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전국적으로 잇따른 대형 산불의 공통점은 작은 불씨, 실화로 시작됐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실수로 인한 화재, 대부분 솜방망이 처벌에 그치고 있습니다.
보완이 시급합니다.
김영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성묘객 실화로 시작된 경북 의성 산불.
잡초를 제거하던 예초기 불티로 인한 경남 산청 산불.
농막에서 용접 작업 중 불이 난 울산 울주 산불.
약 열흘 동안 산림 480㎢를 태운 사상 최악의 산불 모두 '실수'로 인한 화재로 드러났습니다.
부산도 마찬가지, 불이 났던 산에 다시 찾아가 봤습니다.
실화 위험은 여전합니다.
담뱃불로 산불이 났던 부산 기장군의 한 야산 입구입니다.
당시 5천㎡의 임야가 불에 탔는데, 아직도 담뱃갑과 꽁초가 발견됩니다.
그렇다고 입산객들을 하나하나, 관리하기조차 쉽지 않습니다.
[산불감시원/음성변조 : "(이곳에) 사람들이 많이 오기 때문에. 혹시나 싶어서 대기…."]
실제로 지난 6년간 발생한 부산 산불 88건의 원인을 보면, 실수로 인한 화재가 58건, 전체의 66%에 달했습니다.
실수로 산불을 내더라도 최대 3천만 원, 3년 이하의 징역에 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처벌은 솜방망이입니다.
검거된 산불 가해자에게 20~30만 원 정도 과태료가 부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의로 불을 지른 게 아니라면 기소되더라도 대부분 집행유예 처분에 그칩니다.
[공하성/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 "고의성이 입증되지 않으면 벌칙이 아주 매우 낮아지는 경향이…. 최대 기준보다는 최소 기준을 정해서 경각심을 높이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봅니다."]
사상 최악의 산불 이후 실수로 인한 산불 역시 최대 징역 5년까지 선고하도록 하는, 관련 법 개정 논의가 이어질 전망입니다.
KBS 뉴스 김영록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영상편집:전은별/그래픽:조양성
최근 전국적으로 잇따른 대형 산불의 공통점은 작은 불씨, 실화로 시작됐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실수로 인한 화재, 대부분 솜방망이 처벌에 그치고 있습니다.
보완이 시급합니다.
김영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성묘객 실화로 시작된 경북 의성 산불.
잡초를 제거하던 예초기 불티로 인한 경남 산청 산불.
농막에서 용접 작업 중 불이 난 울산 울주 산불.
약 열흘 동안 산림 480㎢를 태운 사상 최악의 산불 모두 '실수'로 인한 화재로 드러났습니다.
부산도 마찬가지, 불이 났던 산에 다시 찾아가 봤습니다.
실화 위험은 여전합니다.
담뱃불로 산불이 났던 부산 기장군의 한 야산 입구입니다.
당시 5천㎡의 임야가 불에 탔는데, 아직도 담뱃갑과 꽁초가 발견됩니다.
그렇다고 입산객들을 하나하나, 관리하기조차 쉽지 않습니다.
[산불감시원/음성변조 : "(이곳에) 사람들이 많이 오기 때문에. 혹시나 싶어서 대기…."]
실제로 지난 6년간 발생한 부산 산불 88건의 원인을 보면, 실수로 인한 화재가 58건, 전체의 66%에 달했습니다.
실수로 산불을 내더라도 최대 3천만 원, 3년 이하의 징역에 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처벌은 솜방망이입니다.
검거된 산불 가해자에게 20~30만 원 정도 과태료가 부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의로 불을 지른 게 아니라면 기소되더라도 대부분 집행유예 처분에 그칩니다.
[공하성/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 "고의성이 입증되지 않으면 벌칙이 아주 매우 낮아지는 경향이…. 최대 기준보다는 최소 기준을 정해서 경각심을 높이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봅니다."]
사상 최악의 산불 이후 실수로 인한 산불 역시 최대 징역 5년까지 선고하도록 하는, 관련 법 개정 논의가 이어질 전망입니다.
KBS 뉴스 김영록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영상편집:전은별/그래픽:조양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실수’로 시작된 산불…처벌은 솜방망이
-
- 입력 2025-04-09 19:17:13
- 수정2025-04-09 20:21:50

[앵커]
최근 전국적으로 잇따른 대형 산불의 공통점은 작은 불씨, 실화로 시작됐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실수로 인한 화재, 대부분 솜방망이 처벌에 그치고 있습니다.
보완이 시급합니다.
김영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성묘객 실화로 시작된 경북 의성 산불.
잡초를 제거하던 예초기 불티로 인한 경남 산청 산불.
농막에서 용접 작업 중 불이 난 울산 울주 산불.
약 열흘 동안 산림 480㎢를 태운 사상 최악의 산불 모두 '실수'로 인한 화재로 드러났습니다.
부산도 마찬가지, 불이 났던 산에 다시 찾아가 봤습니다.
실화 위험은 여전합니다.
담뱃불로 산불이 났던 부산 기장군의 한 야산 입구입니다.
당시 5천㎡의 임야가 불에 탔는데, 아직도 담뱃갑과 꽁초가 발견됩니다.
그렇다고 입산객들을 하나하나, 관리하기조차 쉽지 않습니다.
[산불감시원/음성변조 : "(이곳에) 사람들이 많이 오기 때문에. 혹시나 싶어서 대기…."]
실제로 지난 6년간 발생한 부산 산불 88건의 원인을 보면, 실수로 인한 화재가 58건, 전체의 66%에 달했습니다.
실수로 산불을 내더라도 최대 3천만 원, 3년 이하의 징역에 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처벌은 솜방망이입니다.
검거된 산불 가해자에게 20~30만 원 정도 과태료가 부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의로 불을 지른 게 아니라면 기소되더라도 대부분 집행유예 처분에 그칩니다.
[공하성/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 "고의성이 입증되지 않으면 벌칙이 아주 매우 낮아지는 경향이…. 최대 기준보다는 최소 기준을 정해서 경각심을 높이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봅니다."]
사상 최악의 산불 이후 실수로 인한 산불 역시 최대 징역 5년까지 선고하도록 하는, 관련 법 개정 논의가 이어질 전망입니다.
KBS 뉴스 김영록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영상편집:전은별/그래픽:조양성
최근 전국적으로 잇따른 대형 산불의 공통점은 작은 불씨, 실화로 시작됐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실수로 인한 화재, 대부분 솜방망이 처벌에 그치고 있습니다.
보완이 시급합니다.
김영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성묘객 실화로 시작된 경북 의성 산불.
잡초를 제거하던 예초기 불티로 인한 경남 산청 산불.
농막에서 용접 작업 중 불이 난 울산 울주 산불.
약 열흘 동안 산림 480㎢를 태운 사상 최악의 산불 모두 '실수'로 인한 화재로 드러났습니다.
부산도 마찬가지, 불이 났던 산에 다시 찾아가 봤습니다.
실화 위험은 여전합니다.
담뱃불로 산불이 났던 부산 기장군의 한 야산 입구입니다.
당시 5천㎡의 임야가 불에 탔는데, 아직도 담뱃갑과 꽁초가 발견됩니다.
그렇다고 입산객들을 하나하나, 관리하기조차 쉽지 않습니다.
[산불감시원/음성변조 : "(이곳에) 사람들이 많이 오기 때문에. 혹시나 싶어서 대기…."]
실제로 지난 6년간 발생한 부산 산불 88건의 원인을 보면, 실수로 인한 화재가 58건, 전체의 66%에 달했습니다.
실수로 산불을 내더라도 최대 3천만 원, 3년 이하의 징역에 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처벌은 솜방망이입니다.
검거된 산불 가해자에게 20~30만 원 정도 과태료가 부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의로 불을 지른 게 아니라면 기소되더라도 대부분 집행유예 처분에 그칩니다.
[공하성/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 "고의성이 입증되지 않으면 벌칙이 아주 매우 낮아지는 경향이…. 최대 기준보다는 최소 기준을 정해서 경각심을 높이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봅니다."]
사상 최악의 산불 이후 실수로 인한 산불 역시 최대 징역 5년까지 선고하도록 하는, 관련 법 개정 논의가 이어질 전망입니다.
KBS 뉴스 김영록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영상편집:전은별/그래픽:조양성
-
-
김영록 기자 kiyuro@kbs.co.kr
김영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영남권 최악의 산불…피해 복구 총력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