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살아난 손기정 선수…서울이 불러낸 80년 전 그날
입력 2025.08.14 (19:35)
수정 2025.08.14 (22: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베를린 올림픽 금메달을 목에 걸고도 가슴엔 일장기를 달아야 했던 고 손기정 선수.
지금 서울 시내를 활보한다면 과연 어떤 모습일까요?
일제강점기 선조들이 광복 80년이 흘러 선진국으로 거듭난 조국을 만나는 감동적인 순간이 AI로 재현됐습니다.
정연욱 기자입니다.
[리포트]
결승선을 향해 외롭게 질주하는 이 선수.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경기에 일장기를 달고 뛴 고 손기정 선수입니다.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고도 꽃으로 가슴팍을 가리며 어두운 표정을 지우진 못한 그의 시선에, 환하게 웃으며 다가오는 김구 선생이 포착됩니다.
다급히 쫓아가보니 돌연 눈 앞에 펼쳐진 광복의 순간.
그리고 80년이 흘러 세계적인 도시로 거듭난 2025년의 서울 한복판에서, 그토록 그리던 태극기를 가슴에 달고 달라진 조국의 위상을 벅차게 체험합니다.
[조정국/광복80주년 서울시기념사업 총감독 : "손기정 선수가 그 때 이루지 못했던 한을 지금 현재로 승화시키고, 미래의 모습을 보여주고 싶어서 저희들이 기획을 하게 됐습니다."]
광복 80주년을 하루 앞두고 열린 서울시 경축식에서는 손기정 선수 뿐 아니라 나라를 위해 기꺼이 목숨을 바친 여러 애국지사들의 숨겨진 활약상이 AI로 생생하게 구현됐습니다.
[오세훈/서울시장 : "그 분들의 희생과 헌신이 있었기에 우리는 빼앗긴 나라를 되찾을 수 있었고 지금의 자유와 평화를 누릴 수 있게 됐습니다."]
["나가! 나가! 싸우러 나가!"]
만주와 연해주를 누볐던 독립군의 노래, 그리고 안중근 의사의 혈서를 재현한 태극기까지.
대한민국 수도 서울이 불러낸 80년 전 그날은 여전히 결의와 환희로 가득했습니다.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촬영기자:김재현/영상편집:강정희/화면제공:서울시
베를린 올림픽 금메달을 목에 걸고도 가슴엔 일장기를 달아야 했던 고 손기정 선수.
지금 서울 시내를 활보한다면 과연 어떤 모습일까요?
일제강점기 선조들이 광복 80년이 흘러 선진국으로 거듭난 조국을 만나는 감동적인 순간이 AI로 재현됐습니다.
정연욱 기자입니다.
[리포트]
결승선을 향해 외롭게 질주하는 이 선수.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경기에 일장기를 달고 뛴 고 손기정 선수입니다.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고도 꽃으로 가슴팍을 가리며 어두운 표정을 지우진 못한 그의 시선에, 환하게 웃으며 다가오는 김구 선생이 포착됩니다.
다급히 쫓아가보니 돌연 눈 앞에 펼쳐진 광복의 순간.
그리고 80년이 흘러 세계적인 도시로 거듭난 2025년의 서울 한복판에서, 그토록 그리던 태극기를 가슴에 달고 달라진 조국의 위상을 벅차게 체험합니다.
[조정국/광복80주년 서울시기념사업 총감독 : "손기정 선수가 그 때 이루지 못했던 한을 지금 현재로 승화시키고, 미래의 모습을 보여주고 싶어서 저희들이 기획을 하게 됐습니다."]
광복 80주년을 하루 앞두고 열린 서울시 경축식에서는 손기정 선수 뿐 아니라 나라를 위해 기꺼이 목숨을 바친 여러 애국지사들의 숨겨진 활약상이 AI로 생생하게 구현됐습니다.
[오세훈/서울시장 : "그 분들의 희생과 헌신이 있었기에 우리는 빼앗긴 나라를 되찾을 수 있었고 지금의 자유와 평화를 누릴 수 있게 됐습니다."]
["나가! 나가! 싸우러 나가!"]
만주와 연해주를 누볐던 독립군의 노래, 그리고 안중근 의사의 혈서를 재현한 태극기까지.
대한민국 수도 서울이 불러낸 80년 전 그날은 여전히 결의와 환희로 가득했습니다.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촬영기자:김재현/영상편집:강정희/화면제공:서울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AI로 살아난 손기정 선수…서울이 불러낸 80년 전 그날
-
- 입력 2025-08-14 19:35:59
- 수정2025-08-14 22:07:12

[앵커]
베를린 올림픽 금메달을 목에 걸고도 가슴엔 일장기를 달아야 했던 고 손기정 선수.
지금 서울 시내를 활보한다면 과연 어떤 모습일까요?
일제강점기 선조들이 광복 80년이 흘러 선진국으로 거듭난 조국을 만나는 감동적인 순간이 AI로 재현됐습니다.
정연욱 기자입니다.
[리포트]
결승선을 향해 외롭게 질주하는 이 선수.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경기에 일장기를 달고 뛴 고 손기정 선수입니다.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고도 꽃으로 가슴팍을 가리며 어두운 표정을 지우진 못한 그의 시선에, 환하게 웃으며 다가오는 김구 선생이 포착됩니다.
다급히 쫓아가보니 돌연 눈 앞에 펼쳐진 광복의 순간.
그리고 80년이 흘러 세계적인 도시로 거듭난 2025년의 서울 한복판에서, 그토록 그리던 태극기를 가슴에 달고 달라진 조국의 위상을 벅차게 체험합니다.
[조정국/광복80주년 서울시기념사업 총감독 : "손기정 선수가 그 때 이루지 못했던 한을 지금 현재로 승화시키고, 미래의 모습을 보여주고 싶어서 저희들이 기획을 하게 됐습니다."]
광복 80주년을 하루 앞두고 열린 서울시 경축식에서는 손기정 선수 뿐 아니라 나라를 위해 기꺼이 목숨을 바친 여러 애국지사들의 숨겨진 활약상이 AI로 생생하게 구현됐습니다.
[오세훈/서울시장 : "그 분들의 희생과 헌신이 있었기에 우리는 빼앗긴 나라를 되찾을 수 있었고 지금의 자유와 평화를 누릴 수 있게 됐습니다."]
["나가! 나가! 싸우러 나가!"]
만주와 연해주를 누볐던 독립군의 노래, 그리고 안중근 의사의 혈서를 재현한 태극기까지.
대한민국 수도 서울이 불러낸 80년 전 그날은 여전히 결의와 환희로 가득했습니다.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촬영기자:김재현/영상편집:강정희/화면제공:서울시
베를린 올림픽 금메달을 목에 걸고도 가슴엔 일장기를 달아야 했던 고 손기정 선수.
지금 서울 시내를 활보한다면 과연 어떤 모습일까요?
일제강점기 선조들이 광복 80년이 흘러 선진국으로 거듭난 조국을 만나는 감동적인 순간이 AI로 재현됐습니다.
정연욱 기자입니다.
[리포트]
결승선을 향해 외롭게 질주하는 이 선수.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경기에 일장기를 달고 뛴 고 손기정 선수입니다.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고도 꽃으로 가슴팍을 가리며 어두운 표정을 지우진 못한 그의 시선에, 환하게 웃으며 다가오는 김구 선생이 포착됩니다.
다급히 쫓아가보니 돌연 눈 앞에 펼쳐진 광복의 순간.
그리고 80년이 흘러 세계적인 도시로 거듭난 2025년의 서울 한복판에서, 그토록 그리던 태극기를 가슴에 달고 달라진 조국의 위상을 벅차게 체험합니다.
[조정국/광복80주년 서울시기념사업 총감독 : "손기정 선수가 그 때 이루지 못했던 한을 지금 현재로 승화시키고, 미래의 모습을 보여주고 싶어서 저희들이 기획을 하게 됐습니다."]
광복 80주년을 하루 앞두고 열린 서울시 경축식에서는 손기정 선수 뿐 아니라 나라를 위해 기꺼이 목숨을 바친 여러 애국지사들의 숨겨진 활약상이 AI로 생생하게 구현됐습니다.
[오세훈/서울시장 : "그 분들의 희생과 헌신이 있었기에 우리는 빼앗긴 나라를 되찾을 수 있었고 지금의 자유와 평화를 누릴 수 있게 됐습니다."]
["나가! 나가! 싸우러 나가!"]
만주와 연해주를 누볐던 독립군의 노래, 그리고 안중근 의사의 혈서를 재현한 태극기까지.
대한민국 수도 서울이 불러낸 80년 전 그날은 여전히 결의와 환희로 가득했습니다.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촬영기자:김재현/영상편집:강정희/화면제공:서울시
-
-
정연욱 기자 donkey@kbs.co.kr
정연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광복 80년, 다시 도약하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