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의사들 모였다…대선 국면 “의료정책 철회” 압박
입력 2025.04.20 (21:18)
수정 2025.04.20 (22: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의대 증원이 백지화됐지만, 의료계 목소리는 오히려 더 강경 모듭니다.
오늘(20일) 대규모 집회를 열고 정부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였는데 어떤 주장과 요구가 있었는지 강푸른 기자가 들어봤습니다.
[리포트]
주최 측 추산 2만 5천 명이 모인 전국 의사 궐기대회.
의정 갈등의 핵심 주체인 전공의와 의대생들도 대거 참석했습니다.
의대 증원 정책이 백지화된 이후 의협이 주최한 첫 대규모 집회입니다.
의사와 의대생들은 '필수 의료정책 패키지' 등 정부의 의료 개혁 정책을 전면 재논의하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김택우/대한의사협회장 : "수가 체계는 여전히 비정상이고, 정부는 의사 탓만 하고 있습니다. 그 현실을 너무 잘 알기에, 우리는 이 싸움을 멈출 수 없습니다."]
특히, 내년도 의대 모집 인원은 증원 전 수준으로 동결됐지만, 그 뒤엔 어떻게 될지 모른다는 주장까지 나왔습니다.
[이선우/의대·의전원 학생협회 비대위원장 : "(정부가)2026학년도 모집 인원을 기존 수준으로 조정하겠다고 입장을 내면서도 2027년도부터는 추계위(의료인력 수급 추계위원회)를 통해 증원하겠다고…."]
의사와 의대생들은 정부가 과오를 인정하고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보건복지부 장차관 등 책임자 문책까지 요구했습니다.
특히 이번 대선에선 전문가의 손을 잡는 지도자를 선택해야 한다며, 정치권을 향한 압박도 이어갔습니다.
[조윤정/전국의대교수협의회장 : "의사를 때리면 지지율이 올라간다고 (대선)후보자를 세뇌시키지 마십시오. 의사를 때리면 대한민국의 병이 듭니다."]
1년 넘게 의사들이 싸우는 이유를 국민들이 들어달라는 요구도 나왔습니다.
일부 참석자들은 '문과 DNA'의 오만으로 의료 개혁이 추진된 만큼 최대 피해자는 의사들이라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강푸른입니다.
촬영기자:최상철/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채상우
의대 증원이 백지화됐지만, 의료계 목소리는 오히려 더 강경 모듭니다.
오늘(20일) 대규모 집회를 열고 정부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였는데 어떤 주장과 요구가 있었는지 강푸른 기자가 들어봤습니다.
[리포트]
주최 측 추산 2만 5천 명이 모인 전국 의사 궐기대회.
의정 갈등의 핵심 주체인 전공의와 의대생들도 대거 참석했습니다.
의대 증원 정책이 백지화된 이후 의협이 주최한 첫 대규모 집회입니다.
의사와 의대생들은 '필수 의료정책 패키지' 등 정부의 의료 개혁 정책을 전면 재논의하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김택우/대한의사협회장 : "수가 체계는 여전히 비정상이고, 정부는 의사 탓만 하고 있습니다. 그 현실을 너무 잘 알기에, 우리는 이 싸움을 멈출 수 없습니다."]
특히, 내년도 의대 모집 인원은 증원 전 수준으로 동결됐지만, 그 뒤엔 어떻게 될지 모른다는 주장까지 나왔습니다.
[이선우/의대·의전원 학생협회 비대위원장 : "(정부가)2026학년도 모집 인원을 기존 수준으로 조정하겠다고 입장을 내면서도 2027년도부터는 추계위(의료인력 수급 추계위원회)를 통해 증원하겠다고…."]
의사와 의대생들은 정부가 과오를 인정하고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보건복지부 장차관 등 책임자 문책까지 요구했습니다.
특히 이번 대선에선 전문가의 손을 잡는 지도자를 선택해야 한다며, 정치권을 향한 압박도 이어갔습니다.
[조윤정/전국의대교수협의회장 : "의사를 때리면 지지율이 올라간다고 (대선)후보자를 세뇌시키지 마십시오. 의사를 때리면 대한민국의 병이 듭니다."]
1년 넘게 의사들이 싸우는 이유를 국민들이 들어달라는 요구도 나왔습니다.
일부 참석자들은 '문과 DNA'의 오만으로 의료 개혁이 추진된 만큼 최대 피해자는 의사들이라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강푸른입니다.
촬영기자:최상철/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채상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국 의사들 모였다…대선 국면 “의료정책 철회” 압박
-
- 입력 2025-04-20 21:18:34
- 수정2025-04-20 22:04:20

[앵커]
의대 증원이 백지화됐지만, 의료계 목소리는 오히려 더 강경 모듭니다.
오늘(20일) 대규모 집회를 열고 정부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였는데 어떤 주장과 요구가 있었는지 강푸른 기자가 들어봤습니다.
[리포트]
주최 측 추산 2만 5천 명이 모인 전국 의사 궐기대회.
의정 갈등의 핵심 주체인 전공의와 의대생들도 대거 참석했습니다.
의대 증원 정책이 백지화된 이후 의협이 주최한 첫 대규모 집회입니다.
의사와 의대생들은 '필수 의료정책 패키지' 등 정부의 의료 개혁 정책을 전면 재논의하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김택우/대한의사협회장 : "수가 체계는 여전히 비정상이고, 정부는 의사 탓만 하고 있습니다. 그 현실을 너무 잘 알기에, 우리는 이 싸움을 멈출 수 없습니다."]
특히, 내년도 의대 모집 인원은 증원 전 수준으로 동결됐지만, 그 뒤엔 어떻게 될지 모른다는 주장까지 나왔습니다.
[이선우/의대·의전원 학생협회 비대위원장 : "(정부가)2026학년도 모집 인원을 기존 수준으로 조정하겠다고 입장을 내면서도 2027년도부터는 추계위(의료인력 수급 추계위원회)를 통해 증원하겠다고…."]
의사와 의대생들은 정부가 과오를 인정하고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보건복지부 장차관 등 책임자 문책까지 요구했습니다.
특히 이번 대선에선 전문가의 손을 잡는 지도자를 선택해야 한다며, 정치권을 향한 압박도 이어갔습니다.
[조윤정/전국의대교수협의회장 : "의사를 때리면 지지율이 올라간다고 (대선)후보자를 세뇌시키지 마십시오. 의사를 때리면 대한민국의 병이 듭니다."]
1년 넘게 의사들이 싸우는 이유를 국민들이 들어달라는 요구도 나왔습니다.
일부 참석자들은 '문과 DNA'의 오만으로 의료 개혁이 추진된 만큼 최대 피해자는 의사들이라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강푸른입니다.
촬영기자:최상철/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채상우
의대 증원이 백지화됐지만, 의료계 목소리는 오히려 더 강경 모듭니다.
오늘(20일) 대규모 집회를 열고 정부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였는데 어떤 주장과 요구가 있었는지 강푸른 기자가 들어봤습니다.
[리포트]
주최 측 추산 2만 5천 명이 모인 전국 의사 궐기대회.
의정 갈등의 핵심 주체인 전공의와 의대생들도 대거 참석했습니다.
의대 증원 정책이 백지화된 이후 의협이 주최한 첫 대규모 집회입니다.
의사와 의대생들은 '필수 의료정책 패키지' 등 정부의 의료 개혁 정책을 전면 재논의하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김택우/대한의사협회장 : "수가 체계는 여전히 비정상이고, 정부는 의사 탓만 하고 있습니다. 그 현실을 너무 잘 알기에, 우리는 이 싸움을 멈출 수 없습니다."]
특히, 내년도 의대 모집 인원은 증원 전 수준으로 동결됐지만, 그 뒤엔 어떻게 될지 모른다는 주장까지 나왔습니다.
[이선우/의대·의전원 학생협회 비대위원장 : "(정부가)2026학년도 모집 인원을 기존 수준으로 조정하겠다고 입장을 내면서도 2027년도부터는 추계위(의료인력 수급 추계위원회)를 통해 증원하겠다고…."]
의사와 의대생들은 정부가 과오를 인정하고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보건복지부 장차관 등 책임자 문책까지 요구했습니다.
특히 이번 대선에선 전문가의 손을 잡는 지도자를 선택해야 한다며, 정치권을 향한 압박도 이어갔습니다.
[조윤정/전국의대교수협의회장 : "의사를 때리면 지지율이 올라간다고 (대선)후보자를 세뇌시키지 마십시오. 의사를 때리면 대한민국의 병이 듭니다."]
1년 넘게 의사들이 싸우는 이유를 국민들이 들어달라는 요구도 나왔습니다.
일부 참석자들은 '문과 DNA'의 오만으로 의료 개혁이 추진된 만큼 최대 피해자는 의사들이라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강푸른입니다.
촬영기자:최상철/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채상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보건의료 위기경보 ‘심각’…집단휴진 사태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