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는 합동참모본부와 수도방위사령부를 찾아 1차 현장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특위 소속 여야 위원 전원은 오늘(21일) 서울 용산구에 있는 합참 지휘통제실 내 결심지원실(결심실), 계엄상황실에 이어 수방사 B1 벙커를 차례로 둘러봤습니다.
합참 지휘통제실은 비상계엄 해제요구안 국회 가결 후 윤석열 대통령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등과 회의를 한 곳으로 알려져 있으면서 결심 지원실이 포함된 곳입니다.
수방사 B1 벙커는 여야 대표 등 주요 정치인을 체포해 구금하려 했다는 의혹을 받는 곳입니다.
■ 국조 특위 “수방사 B1 벙커에 50여명 구금 검토 시도 정황” 특위 여야 간사인 국민의힘 김성원·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은 이날 현장 조사 후 국회 소통관에서 연 브리핑에서 계엄 당시 B1 벙커에 50명가량의 구금을 검토한 정황이 있었다는 취지의 조사 결과를 밝혔습니다.
한 의원은 “B1 벙커에서 주요 정치인을 구금하려고 시도한 공간을 확인했다”며 “계엄 당일인 지난달 3일 오후 11시 30분 여인형 당시 방첩사령관이 군사기밀수사실장을 불러 B1 벙커를 특정하며 50여 명 구금이 가능한지 확인하라고 지시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김 전 장관 등의) 공소장엔 체포·구금 대상 주요 인물은 우원식 국회의장, 민주당 이재명 대표, 국민의힘 한동훈 당시 대표 등 14명이라고 돼 있지만 실제 검토됐던 인원은 훨씬 더 많았음을 확인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군사기밀수사실장이 여 전 사령관과 통화한 직후 B1 벙커 현장을 바로 확인하고 구금 시설로 적당하지 않다고 판단해 보고했다고 한다”고 전했습니다.
김 의원은 “실제 부른 명단은 14명이었지만 B1 벙커의 최대 수용 가능 인원이 50여명이라고 보고되며 연락하게 된 것 같다”며 “방첩사 관계자가 (여 전 사령관에게) 구금 시설로 적절치 않다고 보고해 B1 벙커는 활용하지 않은 것을 확인했다”고 했습니다.
이어 “군사기밀수사실장은 (여 전 사령관에) 인권이 전혀 보장되지 않고 구금시설로 쓰기 부적합한 장소라고 말해 (벙커 사용이) 무산됐다고 (오늘) 보고받았다”고 말했습니다.
벙커 내부와 관련해선 한 의원은 “사람이 안에 있기에는 너무나 열악한 환경이라는 느낌을 받았다”고 했습니다.
■
합참 지휘통제실, 녹화 자료 없어…윤 대통령 결심실 방문도 특위는 계엄 당시 지휘부 회의가 이뤄진 합참 지휘통제실도 방문했습니다.
한 의원은 “현장에서 합참 지휘통제실은 녹화가 가능했음에도 (계엄) 당일에는 녹화 버튼을 누르지 않아 녹화 자료는 없었던 것으로 확인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국회 계엄 해제안 의결 이후인 4일 오전 1시 16분부터 47분까지 결심실에서 모임이 있었고 윤석열이 결심실에 도착, 입장해서 29분여 머물다가 직원들을 격려하고 퇴장했다고 확인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여야 특위 위원들은 오늘 현장 조사를 마친 뒤 내일(22일)은 청문회를 실시합니다.
국조특위는 지난 14일, 여당의 반대 속에 윤석열 대통령 등 76명을 청문회 증인으로 채택했습니다.
현재까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심우정 검찰총장 등 18명이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