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 회원국들이 대미 관세협상 기한 종료를 앞두고 무역수장에게 강경한 입장을 주문했다고 현지시각 1일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습니다.
EU 회원국 대사들은 전날 열린 비공개회의에서 곧 미국을 방문하는 마로시 셰프초비치 EU 무역·경제안보 집행위원에게 어떤 형태의 합의든 오는 9일부터 현재 부과 중인 10% 기본관세 감축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고 요구했습니다.
대사들은 또 특정 산업 부문에 적용되는 고율관세 인하도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EU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는 27개 회원국의 무역정책 전권을 쥐고 있지만, 대외 협상 시에는 회원국 의견을 수렴하는 게 관례입니다.
셰프초비치 집행위원은 미국에서 3일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만날 예정입니다.
9일 협상 시한 종료 전 사실상 마지막 대면 협상 자리로, 양측은 미국이 제시한 2페이지 분량의 원칙적 합의를 중점적으로 논의할 계획입니다.
협상 시한까지 합의가 타결되지 않으면 EU에 대한 미국의 관세율은 50%로 올라갈 수 있습니다.
그러나 EU의 협상 전략이 먹힐지는 미지수로, 복수의 EU 당국자들에 따르면 트럼프 미 행정부는 EU와 합의가 영국 사례처럼 단계적 합의 형태가 될 것이라고 암시해왔습니다.
시한 내에 1단계 합의를 우선 체결하고 세부 항목에 대한 추가 협상을 벌이되, 10% 기본관세는 계속 유지하는 방식입니다.
EU 회원국들이 4월부터 본격화한 대미 관세협상 국면에서 계속 일관된 입장을 보이지 못하는 것도 협상력을 떨어뜨린다는 지적입니다.
특히 EU가 마련 중인 보복조치를 둘러싼 입장차가 커서, 독일은 '불충분'하더라도 일단은 신속한 합의를 체결하자는 반면 프랑스는 10% 기본관세 유지 등 불균형한 조건은 수용해선 안 된다는 입장입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