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인간] 철새들 보금자리 ‘서울숲’
입력 2012.12.30 (21:21)
수정 2012.12.30 (22: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한강 옆에 대규모로 조성한 서울숲이 갖가지 새들의 보금자리로 자리 잡고 있다죠?
도시에서는 보기 어렵던 철새까지 찾아왔다는데요.
그 이유가 뭘까요?
<자연과 인간> 나신하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파가 밀려와 연못까지 꽁꽁 얼어붙은 서울숲.
인적이 끊긴 소나무숲에서 새들의 월동전쟁이 한창입니다.
배 아래쪽에 붉은 색이 선명한 오색딱따구리입니다.
나무껍질을 뒤지며 벌레를 잡고 있습니다.
딱따구리처럼 굵은 가지에 붙어 있는 작은 새.
보기 드문 겨울철새 나무발발이입니다.
꼬리로 몸을 지탱한 채 위로 올라가며 먹이를 찾습니다.
<인터뷰> 문영민(경희대 한국조류연구소 연구소) : "나무발발이는 귀한 겨울 철새이고요. 주로 침엽수를 선호하고요... 서울숲이 건강하다는 지표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낙엽더미를 콕콕 찍으며 먹이를 찾는 회갈색 새.
노란 부리끝에 검정색이 선명한 밀화부리입니다.
본래 여름철새이지만, 이 녀석은 살기 좋은 서울숲에 눌러앉아 겨울을 나고 있습니다.
인공조성한 숲에 텃새는 물론 철새까지 공존하는 것은 이례적입니다.
생태계가 그만큼 건강해졌다는 증겁니다.
등과 배 부분이 적갈색인 곤줄박이, 몸 전체가 어두운 갈색인 굴뚝새 등 특히 몸집 작은 새들에겐 천국과 같은 곳입니다.
먹이사슬을 파괴할 수 있는 화학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천적 등을 활용한 친환경 방제를 해온 점이 주효했습니다.
<인터뷰> 박정숙(서울숲 자원활동가) : "서울숲에 벌레라든지 새들이 좋아하는 먹이들이 있는 것은 특별히 여름에 약을 치지 않고 자생할 수 있는 힘을 길렀다는 얘기겠죠."
서울숲에선 철새와 텃새를 합쳐 최소 80종 이상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새들이 많이 찾아오는 곳은 사람도 살기 좋은 곳입니다.
KBS 뉴스 나신하입니다.
한강 옆에 대규모로 조성한 서울숲이 갖가지 새들의 보금자리로 자리 잡고 있다죠?
도시에서는 보기 어렵던 철새까지 찾아왔다는데요.
그 이유가 뭘까요?
<자연과 인간> 나신하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파가 밀려와 연못까지 꽁꽁 얼어붙은 서울숲.
인적이 끊긴 소나무숲에서 새들의 월동전쟁이 한창입니다.
배 아래쪽에 붉은 색이 선명한 오색딱따구리입니다.
나무껍질을 뒤지며 벌레를 잡고 있습니다.
딱따구리처럼 굵은 가지에 붙어 있는 작은 새.
보기 드문 겨울철새 나무발발이입니다.
꼬리로 몸을 지탱한 채 위로 올라가며 먹이를 찾습니다.
<인터뷰> 문영민(경희대 한국조류연구소 연구소) : "나무발발이는 귀한 겨울 철새이고요. 주로 침엽수를 선호하고요... 서울숲이 건강하다는 지표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낙엽더미를 콕콕 찍으며 먹이를 찾는 회갈색 새.
노란 부리끝에 검정색이 선명한 밀화부리입니다.
본래 여름철새이지만, 이 녀석은 살기 좋은 서울숲에 눌러앉아 겨울을 나고 있습니다.
인공조성한 숲에 텃새는 물론 철새까지 공존하는 것은 이례적입니다.
생태계가 그만큼 건강해졌다는 증겁니다.
등과 배 부분이 적갈색인 곤줄박이, 몸 전체가 어두운 갈색인 굴뚝새 등 특히 몸집 작은 새들에겐 천국과 같은 곳입니다.
먹이사슬을 파괴할 수 있는 화학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천적 등을 활용한 친환경 방제를 해온 점이 주효했습니다.
<인터뷰> 박정숙(서울숲 자원활동가) : "서울숲에 벌레라든지 새들이 좋아하는 먹이들이 있는 것은 특별히 여름에 약을 치지 않고 자생할 수 있는 힘을 길렀다는 얘기겠죠."
서울숲에선 철새와 텃새를 합쳐 최소 80종 이상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새들이 많이 찾아오는 곳은 사람도 살기 좋은 곳입니다.
KBS 뉴스 나신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자연과인간] 철새들 보금자리 ‘서울숲’
-
- 입력 2012-12-30 21:26:25
- 수정2012-12-30 22:40:35
<앵커 멘트>
한강 옆에 대규모로 조성한 서울숲이 갖가지 새들의 보금자리로 자리 잡고 있다죠?
도시에서는 보기 어렵던 철새까지 찾아왔다는데요.
그 이유가 뭘까요?
<자연과 인간> 나신하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파가 밀려와 연못까지 꽁꽁 얼어붙은 서울숲.
인적이 끊긴 소나무숲에서 새들의 월동전쟁이 한창입니다.
배 아래쪽에 붉은 색이 선명한 오색딱따구리입니다.
나무껍질을 뒤지며 벌레를 잡고 있습니다.
딱따구리처럼 굵은 가지에 붙어 있는 작은 새.
보기 드문 겨울철새 나무발발이입니다.
꼬리로 몸을 지탱한 채 위로 올라가며 먹이를 찾습니다.
<인터뷰> 문영민(경희대 한국조류연구소 연구소) : "나무발발이는 귀한 겨울 철새이고요. 주로 침엽수를 선호하고요... 서울숲이 건강하다는 지표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낙엽더미를 콕콕 찍으며 먹이를 찾는 회갈색 새.
노란 부리끝에 검정색이 선명한 밀화부리입니다.
본래 여름철새이지만, 이 녀석은 살기 좋은 서울숲에 눌러앉아 겨울을 나고 있습니다.
인공조성한 숲에 텃새는 물론 철새까지 공존하는 것은 이례적입니다.
생태계가 그만큼 건강해졌다는 증겁니다.
등과 배 부분이 적갈색인 곤줄박이, 몸 전체가 어두운 갈색인 굴뚝새 등 특히 몸집 작은 새들에겐 천국과 같은 곳입니다.
먹이사슬을 파괴할 수 있는 화학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천적 등을 활용한 친환경 방제를 해온 점이 주효했습니다.
<인터뷰> 박정숙(서울숲 자원활동가) : "서울숲에 벌레라든지 새들이 좋아하는 먹이들이 있는 것은 특별히 여름에 약을 치지 않고 자생할 수 있는 힘을 길렀다는 얘기겠죠."
서울숲에선 철새와 텃새를 합쳐 최소 80종 이상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새들이 많이 찾아오는 곳은 사람도 살기 좋은 곳입니다.
KBS 뉴스 나신하입니다.
-
-
나신하 기자 daniel@kbs.co.kr
나신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