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 폐수 태우면 치명적 유해 물질 발생
입력 2013.02.27 (21:20)
수정 2013.02.27 (22: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해양투기 금지로 처리할 곳이 없어진 음식물 폐수를 무분별하게 소각하고 있는 현장을 얼마전 보도해드렸는데요.
KBS 취재진이 연구기관에 의뢰해 실험한 결과 음식물폐수를 소각하면 치명적인 유해물질이 다량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박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처리할 곳 없어진 음식물 폐수가 소각장으로 반입됩니다.
<인터뷰> 음식 폐수 운반 기사 : "(음식물 폐수) 양이 얼마나 되요? 26톤 좀 안되는 것 같은데요 25톤은 더 되는 것 같고...(어제도 오셨죠?) 예"
해양 투기되던 음식물 폐수는 서울에서만 하루 622톤...
하수 처리 시설에서 464톤, 나머지는 민간시설에서 처리하기로 했지만, 실제론 용량 초과 상태.
매일 상당한 양이 소각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문제는 태울 때 나오는 유해물질....
현재 전국 곳곳의 소각장으로 유입되고 있는 음식물 폐수입니다.
태웠을 때 어떤 유해물질이 나오는지 직접 실험해 봤습니다.
음식물 폐수 200그램을 소각장 온도인 1300도씨의 고열로 태웠습니다.
수 차례 반복 실험 결과...
이산화 질소 6ppm이 검출됐습니다.
이산화질소는 공기 중에 120ppm만 있어도 단 시간내에 사망하는 맹독성 기체....
1톤만 태워도 독성 기준치의 3백 배가 넘는 유해물질이 나오게 됩니다.
<인터뷰> 김흥렬(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위원) : "(200g 태웠을때) 6ppm정도 나왔는데 그걸 1톤으로 환산한다 그러면 거의 한 3만 ppm정도가 나오는 거죠. 적정한 처리시설을 거치지 않으면 어마어마하게 위험한..."
하지만 환경부는 수분이 많은 음폐수가 온도를 낮춰 시설의 내구성이 향상된다며 소각을 옹호합니다.
<인터뷰> 신진수(환경부 폐자원관리과장) : "음폐수를 통해서 온도조절기능을 하기 때문에 (소각장의) 내구성이 증가하는 그런 부분이 있거든요"
취재가 시작되자 환경부는 뒤늦게 전국의 소각장을 대상으로 오염 물질 발생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습니다.
KBS 뉴스 박현입니다.
해양투기 금지로 처리할 곳이 없어진 음식물 폐수를 무분별하게 소각하고 있는 현장을 얼마전 보도해드렸는데요.
KBS 취재진이 연구기관에 의뢰해 실험한 결과 음식물폐수를 소각하면 치명적인 유해물질이 다량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박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처리할 곳 없어진 음식물 폐수가 소각장으로 반입됩니다.
<인터뷰> 음식 폐수 운반 기사 : "(음식물 폐수) 양이 얼마나 되요? 26톤 좀 안되는 것 같은데요 25톤은 더 되는 것 같고...(어제도 오셨죠?) 예"
해양 투기되던 음식물 폐수는 서울에서만 하루 622톤...
하수 처리 시설에서 464톤, 나머지는 민간시설에서 처리하기로 했지만, 실제론 용량 초과 상태.
매일 상당한 양이 소각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문제는 태울 때 나오는 유해물질....
현재 전국 곳곳의 소각장으로 유입되고 있는 음식물 폐수입니다.
태웠을 때 어떤 유해물질이 나오는지 직접 실험해 봤습니다.
음식물 폐수 200그램을 소각장 온도인 1300도씨의 고열로 태웠습니다.
수 차례 반복 실험 결과...
이산화 질소 6ppm이 검출됐습니다.
이산화질소는 공기 중에 120ppm만 있어도 단 시간내에 사망하는 맹독성 기체....
1톤만 태워도 독성 기준치의 3백 배가 넘는 유해물질이 나오게 됩니다.
<인터뷰> 김흥렬(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위원) : "(200g 태웠을때) 6ppm정도 나왔는데 그걸 1톤으로 환산한다 그러면 거의 한 3만 ppm정도가 나오는 거죠. 적정한 처리시설을 거치지 않으면 어마어마하게 위험한..."
하지만 환경부는 수분이 많은 음폐수가 온도를 낮춰 시설의 내구성이 향상된다며 소각을 옹호합니다.
<인터뷰> 신진수(환경부 폐자원관리과장) : "음폐수를 통해서 온도조절기능을 하기 때문에 (소각장의) 내구성이 증가하는 그런 부분이 있거든요"
취재가 시작되자 환경부는 뒤늦게 전국의 소각장을 대상으로 오염 물질 발생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습니다.
KBS 뉴스 박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음식물 폐수 태우면 치명적 유해 물질 발생
-
- 입력 2013-02-27 21:21:27
- 수정2013-02-27 22:03:13
<앵커 멘트>
해양투기 금지로 처리할 곳이 없어진 음식물 폐수를 무분별하게 소각하고 있는 현장을 얼마전 보도해드렸는데요.
KBS 취재진이 연구기관에 의뢰해 실험한 결과 음식물폐수를 소각하면 치명적인 유해물질이 다량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박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처리할 곳 없어진 음식물 폐수가 소각장으로 반입됩니다.
<인터뷰> 음식 폐수 운반 기사 : "(음식물 폐수) 양이 얼마나 되요? 26톤 좀 안되는 것 같은데요 25톤은 더 되는 것 같고...(어제도 오셨죠?) 예"
해양 투기되던 음식물 폐수는 서울에서만 하루 622톤...
하수 처리 시설에서 464톤, 나머지는 민간시설에서 처리하기로 했지만, 실제론 용량 초과 상태.
매일 상당한 양이 소각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문제는 태울 때 나오는 유해물질....
현재 전국 곳곳의 소각장으로 유입되고 있는 음식물 폐수입니다.
태웠을 때 어떤 유해물질이 나오는지 직접 실험해 봤습니다.
음식물 폐수 200그램을 소각장 온도인 1300도씨의 고열로 태웠습니다.
수 차례 반복 실험 결과...
이산화 질소 6ppm이 검출됐습니다.
이산화질소는 공기 중에 120ppm만 있어도 단 시간내에 사망하는 맹독성 기체....
1톤만 태워도 독성 기준치의 3백 배가 넘는 유해물질이 나오게 됩니다.
<인터뷰> 김흥렬(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위원) : "(200g 태웠을때) 6ppm정도 나왔는데 그걸 1톤으로 환산한다 그러면 거의 한 3만 ppm정도가 나오는 거죠. 적정한 처리시설을 거치지 않으면 어마어마하게 위험한..."
하지만 환경부는 수분이 많은 음폐수가 온도를 낮춰 시설의 내구성이 향상된다며 소각을 옹호합니다.
<인터뷰> 신진수(환경부 폐자원관리과장) : "음폐수를 통해서 온도조절기능을 하기 때문에 (소각장의) 내구성이 증가하는 그런 부분이 있거든요"
취재가 시작되자 환경부는 뒤늦게 전국의 소각장을 대상으로 오염 물질 발생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습니다.
KBS 뉴스 박현입니다.
-
-
박현 기자 why@kbs.co.kr
박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