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평적 소통 상징 돼야”…청년들이 설계한 청와대
입력 2018.04.23 (06:50)
수정 2018.04.23 (06: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서울시가 광화문광장 개선안을 발표하면서 적절한 시기에 청와대를 비우겠다고 한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에도 다시 관심이 모이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새로운 청와대는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요, 건축공모를 통해 다양한 제안을 내놓은 학생들을 송형국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새로운 청와대 구상, 이 학생들은 짓기보다 허무는 일이 먼저라고 제안합니다.
[류채린·이광훈·허성민/고려대 건축학과 : "최근 촛불집회까지 국민들이 계속해서 정치와 민주주의에 참여하려는 노력이 한국을 대표하는 하나의 특징이라고 생각을 했고요. 그런 한국적인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내야 된다고 생각해서 개방을 넘어서 국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청와대가 되면 어떨까..."]
현재 자리에서 업무시설을 시민과 가깝게 옮기고, 담장을 없앤 다음 자유롭게 드나드는 시민들이 정책을 제안하며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프로젝트입니다.
청와대를 한강다리 밑으로 옮기자는 파격적인 상상도 나왔습니다.
[황미석·김지원/서울과기대 건축학과 : "긴 보행축을 양쪽에 먼저 두고, 자연스럽게 (시민이) 유입될 수 있는 동선을 (배치합니다.) 다리를 물리적으로 보면 수평적이잖아요. 국가와 시민이 수평적인 입장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을 했어요."]
다리 중앙부에 대통령 업무공간, 그 옆으로 창업센터와 벼룩시장, 시민 문화 공간을 배치하는 설계입니다.
치솟는 임대료에 삶의 터전을 잃은 주변 주민들부터 고려하자는 방안도 눈길을 끕니다.
[김준석·김한규·김채원/울산대 건축학과 : "이전을 논하기 전에 기존 청와대에서 그 피해에 대한 환원이 먼저 선행되어야 하지 않나라고 생각했고요. (입주민들이) 자생력을 다 갖추게 되면 다시금 사회로 나갈 수 있는 아름다운 이별이 반복되는 그런 청와대를 만들려고 하였습니다."]
갈 곳 없는 이들을 현재 청와대 부지 안에 입주시키고, 스스로 '청와대 마을'을 운영해나가도록 하는 것이 골자입니다.
2백여 팀이 응모한 공모전에서 절대다수의 작품 속에 담긴 것은 권력기관의 수평적 소통에 대한 바람이었습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
최근 서울시가 광화문광장 개선안을 발표하면서 적절한 시기에 청와대를 비우겠다고 한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에도 다시 관심이 모이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새로운 청와대는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요, 건축공모를 통해 다양한 제안을 내놓은 학생들을 송형국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새로운 청와대 구상, 이 학생들은 짓기보다 허무는 일이 먼저라고 제안합니다.
[류채린·이광훈·허성민/고려대 건축학과 : "최근 촛불집회까지 국민들이 계속해서 정치와 민주주의에 참여하려는 노력이 한국을 대표하는 하나의 특징이라고 생각을 했고요. 그런 한국적인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내야 된다고 생각해서 개방을 넘어서 국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청와대가 되면 어떨까..."]
현재 자리에서 업무시설을 시민과 가깝게 옮기고, 담장을 없앤 다음 자유롭게 드나드는 시민들이 정책을 제안하며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프로젝트입니다.
청와대를 한강다리 밑으로 옮기자는 파격적인 상상도 나왔습니다.
[황미석·김지원/서울과기대 건축학과 : "긴 보행축을 양쪽에 먼저 두고, 자연스럽게 (시민이) 유입될 수 있는 동선을 (배치합니다.) 다리를 물리적으로 보면 수평적이잖아요. 국가와 시민이 수평적인 입장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을 했어요."]
다리 중앙부에 대통령 업무공간, 그 옆으로 창업센터와 벼룩시장, 시민 문화 공간을 배치하는 설계입니다.
치솟는 임대료에 삶의 터전을 잃은 주변 주민들부터 고려하자는 방안도 눈길을 끕니다.
[김준석·김한규·김채원/울산대 건축학과 : "이전을 논하기 전에 기존 청와대에서 그 피해에 대한 환원이 먼저 선행되어야 하지 않나라고 생각했고요. (입주민들이) 자생력을 다 갖추게 되면 다시금 사회로 나갈 수 있는 아름다운 이별이 반복되는 그런 청와대를 만들려고 하였습니다."]
갈 곳 없는 이들을 현재 청와대 부지 안에 입주시키고, 스스로 '청와대 마을'을 운영해나가도록 하는 것이 골자입니다.
2백여 팀이 응모한 공모전에서 절대다수의 작품 속에 담긴 것은 권력기관의 수평적 소통에 대한 바람이었습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수평적 소통 상징 돼야”…청년들이 설계한 청와대
-
- 입력 2018-04-23 06:53:39
- 수정2018-04-23 06:55:29
[앵커]
최근 서울시가 광화문광장 개선안을 발표하면서 적절한 시기에 청와대를 비우겠다고 한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에도 다시 관심이 모이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새로운 청와대는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요, 건축공모를 통해 다양한 제안을 내놓은 학생들을 송형국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새로운 청와대 구상, 이 학생들은 짓기보다 허무는 일이 먼저라고 제안합니다.
[류채린·이광훈·허성민/고려대 건축학과 : "최근 촛불집회까지 국민들이 계속해서 정치와 민주주의에 참여하려는 노력이 한국을 대표하는 하나의 특징이라고 생각을 했고요. 그런 한국적인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내야 된다고 생각해서 개방을 넘어서 국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청와대가 되면 어떨까..."]
현재 자리에서 업무시설을 시민과 가깝게 옮기고, 담장을 없앤 다음 자유롭게 드나드는 시민들이 정책을 제안하며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프로젝트입니다.
청와대를 한강다리 밑으로 옮기자는 파격적인 상상도 나왔습니다.
[황미석·김지원/서울과기대 건축학과 : "긴 보행축을 양쪽에 먼저 두고, 자연스럽게 (시민이) 유입될 수 있는 동선을 (배치합니다.) 다리를 물리적으로 보면 수평적이잖아요. 국가와 시민이 수평적인 입장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을 했어요."]
다리 중앙부에 대통령 업무공간, 그 옆으로 창업센터와 벼룩시장, 시민 문화 공간을 배치하는 설계입니다.
치솟는 임대료에 삶의 터전을 잃은 주변 주민들부터 고려하자는 방안도 눈길을 끕니다.
[김준석·김한규·김채원/울산대 건축학과 : "이전을 논하기 전에 기존 청와대에서 그 피해에 대한 환원이 먼저 선행되어야 하지 않나라고 생각했고요. (입주민들이) 자생력을 다 갖추게 되면 다시금 사회로 나갈 수 있는 아름다운 이별이 반복되는 그런 청와대를 만들려고 하였습니다."]
갈 곳 없는 이들을 현재 청와대 부지 안에 입주시키고, 스스로 '청와대 마을'을 운영해나가도록 하는 것이 골자입니다.
2백여 팀이 응모한 공모전에서 절대다수의 작품 속에 담긴 것은 권력기관의 수평적 소통에 대한 바람이었습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
최근 서울시가 광화문광장 개선안을 발표하면서 적절한 시기에 청와대를 비우겠다고 한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에도 다시 관심이 모이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새로운 청와대는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요, 건축공모를 통해 다양한 제안을 내놓은 학생들을 송형국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새로운 청와대 구상, 이 학생들은 짓기보다 허무는 일이 먼저라고 제안합니다.
[류채린·이광훈·허성민/고려대 건축학과 : "최근 촛불집회까지 국민들이 계속해서 정치와 민주주의에 참여하려는 노력이 한국을 대표하는 하나의 특징이라고 생각을 했고요. 그런 한국적인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내야 된다고 생각해서 개방을 넘어서 국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청와대가 되면 어떨까..."]
현재 자리에서 업무시설을 시민과 가깝게 옮기고, 담장을 없앤 다음 자유롭게 드나드는 시민들이 정책을 제안하며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프로젝트입니다.
청와대를 한강다리 밑으로 옮기자는 파격적인 상상도 나왔습니다.
[황미석·김지원/서울과기대 건축학과 : "긴 보행축을 양쪽에 먼저 두고, 자연스럽게 (시민이) 유입될 수 있는 동선을 (배치합니다.) 다리를 물리적으로 보면 수평적이잖아요. 국가와 시민이 수평적인 입장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을 했어요."]
다리 중앙부에 대통령 업무공간, 그 옆으로 창업센터와 벼룩시장, 시민 문화 공간을 배치하는 설계입니다.
치솟는 임대료에 삶의 터전을 잃은 주변 주민들부터 고려하자는 방안도 눈길을 끕니다.
[김준석·김한규·김채원/울산대 건축학과 : "이전을 논하기 전에 기존 청와대에서 그 피해에 대한 환원이 먼저 선행되어야 하지 않나라고 생각했고요. (입주민들이) 자생력을 다 갖추게 되면 다시금 사회로 나갈 수 있는 아름다운 이별이 반복되는 그런 청와대를 만들려고 하였습니다."]
갈 곳 없는 이들을 현재 청와대 부지 안에 입주시키고, 스스로 '청와대 마을'을 운영해나가도록 하는 것이 골자입니다.
2백여 팀이 응모한 공모전에서 절대다수의 작품 속에 담긴 것은 권력기관의 수평적 소통에 대한 바람이었습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
-
-
송형국 기자 spianato@kbs.co.kr
송형국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