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부대 신설 결사 반대”…“주민과 협력 지속”
입력 2025.04.16 (19:29)
수정 2025.04.16 (20: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한적한 농촌 마을인 횡성군 우천면 용둔리에 군부대 신설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주민들은 부대가 들어서면 피해가 클 거라며 우려하고 있는데요.
국방부가 오늘(16일) 주민들과 간담회를 했지만, 정작 정보는 공개하지 않아 반발은 더욱 거세지고 있습니다.
김영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용둔리 군부대 신설을 결사 반대한다! 반대한다!"]
횡성군 우천면 용둔리 주민들 40여 명이 모였습니다.
국방부의 군부대 신설 계획을 철회하라고 요구합니다.
주민들은 국방부가 주민 의사는 무시한 채 부대 조성을 진행하고 있다고 반발합니다.
용둔리 땅 65,000㎡를 사들인 뒤에서야 부대 신설 계획이 알려졌다는 겁니다.
이에 국방부는 주민들과 비공개로 간담회를 열었습니다.
하지만, 1시간 만에 별 소득 없이 끝났습니다.
["머리띠를 했다고 집회예요? 서로 대화하면 되는 거지!"]
국방부는 이 자리에서 국가 안보를 위한 군부대 신설이라며 주민 협조를 요청했습니다.
특히, 부대가 산 정상 부근에 위치하고, 군사보호구역 적용도 최소화한다고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주민들은 국방부가 이곳에 어떤 군부대를 만들고, 어떤 장비들을 운용하는지조차 군사 기밀로 알려주지 않고 있다며 반발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실제 국방부는 2개 중대 규모, 차량화 부대란 것 외엔 어느 것 하나 밝히지 않고 있습니다.
반면, 소음과 재산 가치 하락 등 피해는 명확하단게 주민들의 말입니다.
[원영진/용둔리 군부대 설치 반대 대책위원장 : "정보 공개를 해라, 해도 군사 기밀로 일관하고 있고 횡성군에서도 어떤 조치도 취하지 않고 단순히 용둔리 주민만 피해를 보고 있는 상황입니다."]
국방부는 조만간 주민 간담회를 다시 열 예정입니다.
주민들은 참여하지 않겠다며, 다음 주 대규모 궐기대회를 예고했습니다.
하지만 횡성군은 이번 사안에 대해 국방부 사업으로, 현 단계에서 찬반 입장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
한적한 농촌 마을인 횡성군 우천면 용둔리에 군부대 신설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주민들은 부대가 들어서면 피해가 클 거라며 우려하고 있는데요.
국방부가 오늘(16일) 주민들과 간담회를 했지만, 정작 정보는 공개하지 않아 반발은 더욱 거세지고 있습니다.
김영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용둔리 군부대 신설을 결사 반대한다! 반대한다!"]
횡성군 우천면 용둔리 주민들 40여 명이 모였습니다.
국방부의 군부대 신설 계획을 철회하라고 요구합니다.
주민들은 국방부가 주민 의사는 무시한 채 부대 조성을 진행하고 있다고 반발합니다.
용둔리 땅 65,000㎡를 사들인 뒤에서야 부대 신설 계획이 알려졌다는 겁니다.
이에 국방부는 주민들과 비공개로 간담회를 열었습니다.
하지만, 1시간 만에 별 소득 없이 끝났습니다.
["머리띠를 했다고 집회예요? 서로 대화하면 되는 거지!"]
국방부는 이 자리에서 국가 안보를 위한 군부대 신설이라며 주민 협조를 요청했습니다.
특히, 부대가 산 정상 부근에 위치하고, 군사보호구역 적용도 최소화한다고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주민들은 국방부가 이곳에 어떤 군부대를 만들고, 어떤 장비들을 운용하는지조차 군사 기밀로 알려주지 않고 있다며 반발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실제 국방부는 2개 중대 규모, 차량화 부대란 것 외엔 어느 것 하나 밝히지 않고 있습니다.
반면, 소음과 재산 가치 하락 등 피해는 명확하단게 주민들의 말입니다.
[원영진/용둔리 군부대 설치 반대 대책위원장 : "정보 공개를 해라, 해도 군사 기밀로 일관하고 있고 횡성군에서도 어떤 조치도 취하지 않고 단순히 용둔리 주민만 피해를 보고 있는 상황입니다."]
국방부는 조만간 주민 간담회를 다시 열 예정입니다.
주민들은 참여하지 않겠다며, 다음 주 대규모 궐기대회를 예고했습니다.
하지만 횡성군은 이번 사안에 대해 국방부 사업으로, 현 단계에서 찬반 입장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군부대 신설 결사 반대”…“주민과 협력 지속”
-
- 입력 2025-04-16 19:29:23
- 수정2025-04-16 20:23:54

[앵커]
한적한 농촌 마을인 횡성군 우천면 용둔리에 군부대 신설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주민들은 부대가 들어서면 피해가 클 거라며 우려하고 있는데요.
국방부가 오늘(16일) 주민들과 간담회를 했지만, 정작 정보는 공개하지 않아 반발은 더욱 거세지고 있습니다.
김영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용둔리 군부대 신설을 결사 반대한다! 반대한다!"]
횡성군 우천면 용둔리 주민들 40여 명이 모였습니다.
국방부의 군부대 신설 계획을 철회하라고 요구합니다.
주민들은 국방부가 주민 의사는 무시한 채 부대 조성을 진행하고 있다고 반발합니다.
용둔리 땅 65,000㎡를 사들인 뒤에서야 부대 신설 계획이 알려졌다는 겁니다.
이에 국방부는 주민들과 비공개로 간담회를 열었습니다.
하지만, 1시간 만에 별 소득 없이 끝났습니다.
["머리띠를 했다고 집회예요? 서로 대화하면 되는 거지!"]
국방부는 이 자리에서 국가 안보를 위한 군부대 신설이라며 주민 협조를 요청했습니다.
특히, 부대가 산 정상 부근에 위치하고, 군사보호구역 적용도 최소화한다고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주민들은 국방부가 이곳에 어떤 군부대를 만들고, 어떤 장비들을 운용하는지조차 군사 기밀로 알려주지 않고 있다며 반발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실제 국방부는 2개 중대 규모, 차량화 부대란 것 외엔 어느 것 하나 밝히지 않고 있습니다.
반면, 소음과 재산 가치 하락 등 피해는 명확하단게 주민들의 말입니다.
[원영진/용둔리 군부대 설치 반대 대책위원장 : "정보 공개를 해라, 해도 군사 기밀로 일관하고 있고 횡성군에서도 어떤 조치도 취하지 않고 단순히 용둔리 주민만 피해를 보고 있는 상황입니다."]
국방부는 조만간 주민 간담회를 다시 열 예정입니다.
주민들은 참여하지 않겠다며, 다음 주 대규모 궐기대회를 예고했습니다.
하지만 횡성군은 이번 사안에 대해 국방부 사업으로, 현 단계에서 찬반 입장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
한적한 농촌 마을인 횡성군 우천면 용둔리에 군부대 신설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주민들은 부대가 들어서면 피해가 클 거라며 우려하고 있는데요.
국방부가 오늘(16일) 주민들과 간담회를 했지만, 정작 정보는 공개하지 않아 반발은 더욱 거세지고 있습니다.
김영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용둔리 군부대 신설을 결사 반대한다! 반대한다!"]
횡성군 우천면 용둔리 주민들 40여 명이 모였습니다.
국방부의 군부대 신설 계획을 철회하라고 요구합니다.
주민들은 국방부가 주민 의사는 무시한 채 부대 조성을 진행하고 있다고 반발합니다.
용둔리 땅 65,000㎡를 사들인 뒤에서야 부대 신설 계획이 알려졌다는 겁니다.
이에 국방부는 주민들과 비공개로 간담회를 열었습니다.
하지만, 1시간 만에 별 소득 없이 끝났습니다.
["머리띠를 했다고 집회예요? 서로 대화하면 되는 거지!"]
국방부는 이 자리에서 국가 안보를 위한 군부대 신설이라며 주민 협조를 요청했습니다.
특히, 부대가 산 정상 부근에 위치하고, 군사보호구역 적용도 최소화한다고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주민들은 국방부가 이곳에 어떤 군부대를 만들고, 어떤 장비들을 운용하는지조차 군사 기밀로 알려주지 않고 있다며 반발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실제 국방부는 2개 중대 규모, 차량화 부대란 것 외엔 어느 것 하나 밝히지 않고 있습니다.
반면, 소음과 재산 가치 하락 등 피해는 명확하단게 주민들의 말입니다.
[원영진/용둔리 군부대 설치 반대 대책위원장 : "정보 공개를 해라, 해도 군사 기밀로 일관하고 있고 횡성군에서도 어떤 조치도 취하지 않고 단순히 용둔리 주민만 피해를 보고 있는 상황입니다."]
국방부는 조만간 주민 간담회를 다시 열 예정입니다.
주민들은 참여하지 않겠다며, 다음 주 대규모 궐기대회를 예고했습니다.
하지만 횡성군은 이번 사안에 대해 국방부 사업으로, 현 단계에서 찬반 입장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
-
-
김영준 기자 yjkim1@kbs.co.kr
김영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