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 와야 예금 인출”…중국 노인 환자 은행서 ‘사망’

입력 2025.05.15 (19:27) 수정 2025.05.15 (22: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중국에선 노인 환자가 병원비를 인출하기 위해 은행에서 장시간 대기하다 숨지는 일이 있었습니다.

예금주가 직접 와야 돈을 내줄 수 있다고 해서, 아픈 몸으로 은행에 갔다가 벌어진 일입니다.

고령 사회에 접어든 중국에서 비슷한 사건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베이징 김효신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중국 후난성의 한 은행에서 병원비로 쓸 예금을 인출하려던 60대 할머니가 쓰러져 숨졌습니다.

본인 확인용 안면 인식 단계에서 오류가 반복돼, 장시간 기다리던 중이었습니다.

병이 위중해 오랜 외출이 어려운 할머니 대신 가족이 돈을 인출하려 했지만, 은행에 거절당한 뒤 벌어진 일입니다.

[사망 할머니 가족 : "(은행 측에서) 반드시 당사자가 와야 한다고 강제했습니다. 두 시간 넘게 시도했는데도 돈을 인출하지 못했습니다. 환자는 이미 사망했어요."]

지난해 말 산둥성에선 고령의 중환자가 병원 침대째 은행을 방문해야 했습니다.

올해 초 쓰촨성에서는 위독한 노인이 들것에 실려 은행을 방문한 뒤에야 예금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쓰촨성 은행 관계자 : "노인이 오래 기다리지 못할까 봐 걱정돼서 가족들 의견을 물어봤는데, 가족들이 모시고 올 수 있다고 했어요."]

모두 까다로운 본인 확인 절차 때문입니다.

중국에선 은행 직원이 예금주를 찾아가거나, 가족이 대신 은행 일을 볼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가 하나둘씩 마련되고는 있지만, 아직은 권고 수준에 그치고 있습니다.

중국도 10년 뒤면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를 넘는 초고령 사회에 접어듭니다.

중국 당국은 방문 서비스를 포함해 고령자에게 특화된 금융 제도를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김효신입니다.

촬영기자:안용습/영상편집:이웅/영상출처:하오칸/자료조사:김시온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직접 와야 예금 인출”…중국 노인 환자 은행서 ‘사망’
    • 입력 2025-05-15 19:27:43
    • 수정2025-05-15 22:09:41
    뉴스 7
[앵커]

중국에선 노인 환자가 병원비를 인출하기 위해 은행에서 장시간 대기하다 숨지는 일이 있었습니다.

예금주가 직접 와야 돈을 내줄 수 있다고 해서, 아픈 몸으로 은행에 갔다가 벌어진 일입니다.

고령 사회에 접어든 중국에서 비슷한 사건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베이징 김효신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중국 후난성의 한 은행에서 병원비로 쓸 예금을 인출하려던 60대 할머니가 쓰러져 숨졌습니다.

본인 확인용 안면 인식 단계에서 오류가 반복돼, 장시간 기다리던 중이었습니다.

병이 위중해 오랜 외출이 어려운 할머니 대신 가족이 돈을 인출하려 했지만, 은행에 거절당한 뒤 벌어진 일입니다.

[사망 할머니 가족 : "(은행 측에서) 반드시 당사자가 와야 한다고 강제했습니다. 두 시간 넘게 시도했는데도 돈을 인출하지 못했습니다. 환자는 이미 사망했어요."]

지난해 말 산둥성에선 고령의 중환자가 병원 침대째 은행을 방문해야 했습니다.

올해 초 쓰촨성에서는 위독한 노인이 들것에 실려 은행을 방문한 뒤에야 예금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쓰촨성 은행 관계자 : "노인이 오래 기다리지 못할까 봐 걱정돼서 가족들 의견을 물어봤는데, 가족들이 모시고 올 수 있다고 했어요."]

모두 까다로운 본인 확인 절차 때문입니다.

중국에선 은행 직원이 예금주를 찾아가거나, 가족이 대신 은행 일을 볼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가 하나둘씩 마련되고는 있지만, 아직은 권고 수준에 그치고 있습니다.

중국도 10년 뒤면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를 넘는 초고령 사회에 접어듭니다.

중국 당국은 방문 서비스를 포함해 고령자에게 특화된 금융 제도를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김효신입니다.

촬영기자:안용습/영상편집:이웅/영상출처:하오칸/자료조사:김시온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