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 인구 감소에 교사 정원 감축…교육 현장 ‘반발’
입력 2025.08.19 (21:43)
수정 2025.08.19 (21: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저출생 여파로 문을 닫는 학교도 늘면서 정부가 교사 정원 감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교원 단체는 물론 일선 교육청에서도 반대 목소리가 나옵니다.
어떤 이유인지, 고아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저출생의 여파는 농촌 지역 학교에 가장 먼저 불어닥쳤습니다.
올해 전국에 문을 닫는 학교가 49곳, 입학생이 없는 초등학교도 182곳에 이릅니다.
올해 500만 명을 갓 넘겼지만, 4년 뒤엔 학생 수가 80만 명 가까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됩니다.
교육부도 2023년 1.3%, 지난해 1.6%에 이어 올해도 공립학교 교사 정원을 1.8%, 4,800여 명 줄였습니다.
최근 내년 감축안까지 통보되면서 일선 교육청에서 공개적인 반발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이상수/서울시교육청 교육정책국장 : "(학생 수 감소에 대비해) 미리 교원을 감축하게 된다면 현재 학생들이 질 높은 교육을 받지 못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고…."]
교원단체들도 교사 수를 줄이면 교육의 질이 떨어진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10개 학급 가운데 2개 가까이가 여전히 과밀 학급인 상황에서 교사가 넘쳐나는 건 아니라는 이윱니다.
최교진 교육부 장관 후보자도 세종시 교육감으로 재직하며 교원 감축을 반대해 왔습니다.
전국 최초로 초등학교 1~2학년 학급당 학생 수를 20명 이하로 책정하기도 했습니다.
[최교진/교육부 장관 후보자/2022년 3월 : "(학급당 20명 이하는) 아이들 건강과 기초학력 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에서 당연히 추진해야 할 문제인데…"]
저출생에 따른 교사 정원 감축은 거스를 수 없는 정책적 대세라는 의견도 만만치 않습니다.
새로 임명될 교육 수장 앞에 중요한 숙제가 놓여 있습니다.
KBS 뉴스 고아름입니다.
촬영기자:김재현/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최창민
저출생 여파로 문을 닫는 학교도 늘면서 정부가 교사 정원 감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교원 단체는 물론 일선 교육청에서도 반대 목소리가 나옵니다.
어떤 이유인지, 고아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저출생의 여파는 농촌 지역 학교에 가장 먼저 불어닥쳤습니다.
올해 전국에 문을 닫는 학교가 49곳, 입학생이 없는 초등학교도 182곳에 이릅니다.
올해 500만 명을 갓 넘겼지만, 4년 뒤엔 학생 수가 80만 명 가까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됩니다.
교육부도 2023년 1.3%, 지난해 1.6%에 이어 올해도 공립학교 교사 정원을 1.8%, 4,800여 명 줄였습니다.
최근 내년 감축안까지 통보되면서 일선 교육청에서 공개적인 반발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이상수/서울시교육청 교육정책국장 : "(학생 수 감소에 대비해) 미리 교원을 감축하게 된다면 현재 학생들이 질 높은 교육을 받지 못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고…."]
교원단체들도 교사 수를 줄이면 교육의 질이 떨어진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10개 학급 가운데 2개 가까이가 여전히 과밀 학급인 상황에서 교사가 넘쳐나는 건 아니라는 이윱니다.
최교진 교육부 장관 후보자도 세종시 교육감으로 재직하며 교원 감축을 반대해 왔습니다.
전국 최초로 초등학교 1~2학년 학급당 학생 수를 20명 이하로 책정하기도 했습니다.
[최교진/교육부 장관 후보자/2022년 3월 : "(학급당 20명 이하는) 아이들 건강과 기초학력 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에서 당연히 추진해야 할 문제인데…"]
저출생에 따른 교사 정원 감축은 거스를 수 없는 정책적 대세라는 의견도 만만치 않습니다.
새로 임명될 교육 수장 앞에 중요한 숙제가 놓여 있습니다.
KBS 뉴스 고아름입니다.
촬영기자:김재현/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최창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학령 인구 감소에 교사 정원 감축…교육 현장 ‘반발’
-
- 입력 2025-08-19 21:43:56
- 수정2025-08-19 21:54:46

[앵커]
저출생 여파로 문을 닫는 학교도 늘면서 정부가 교사 정원 감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교원 단체는 물론 일선 교육청에서도 반대 목소리가 나옵니다.
어떤 이유인지, 고아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저출생의 여파는 농촌 지역 학교에 가장 먼저 불어닥쳤습니다.
올해 전국에 문을 닫는 학교가 49곳, 입학생이 없는 초등학교도 182곳에 이릅니다.
올해 500만 명을 갓 넘겼지만, 4년 뒤엔 학생 수가 80만 명 가까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됩니다.
교육부도 2023년 1.3%, 지난해 1.6%에 이어 올해도 공립학교 교사 정원을 1.8%, 4,800여 명 줄였습니다.
최근 내년 감축안까지 통보되면서 일선 교육청에서 공개적인 반발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이상수/서울시교육청 교육정책국장 : "(학생 수 감소에 대비해) 미리 교원을 감축하게 된다면 현재 학생들이 질 높은 교육을 받지 못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고…."]
교원단체들도 교사 수를 줄이면 교육의 질이 떨어진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10개 학급 가운데 2개 가까이가 여전히 과밀 학급인 상황에서 교사가 넘쳐나는 건 아니라는 이윱니다.
최교진 교육부 장관 후보자도 세종시 교육감으로 재직하며 교원 감축을 반대해 왔습니다.
전국 최초로 초등학교 1~2학년 학급당 학생 수를 20명 이하로 책정하기도 했습니다.
[최교진/교육부 장관 후보자/2022년 3월 : "(학급당 20명 이하는) 아이들 건강과 기초학력 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에서 당연히 추진해야 할 문제인데…"]
저출생에 따른 교사 정원 감축은 거스를 수 없는 정책적 대세라는 의견도 만만치 않습니다.
새로 임명될 교육 수장 앞에 중요한 숙제가 놓여 있습니다.
KBS 뉴스 고아름입니다.
촬영기자:김재현/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최창민
저출생 여파로 문을 닫는 학교도 늘면서 정부가 교사 정원 감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교원 단체는 물론 일선 교육청에서도 반대 목소리가 나옵니다.
어떤 이유인지, 고아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저출생의 여파는 농촌 지역 학교에 가장 먼저 불어닥쳤습니다.
올해 전국에 문을 닫는 학교가 49곳, 입학생이 없는 초등학교도 182곳에 이릅니다.
올해 500만 명을 갓 넘겼지만, 4년 뒤엔 학생 수가 80만 명 가까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됩니다.
교육부도 2023년 1.3%, 지난해 1.6%에 이어 올해도 공립학교 교사 정원을 1.8%, 4,800여 명 줄였습니다.
최근 내년 감축안까지 통보되면서 일선 교육청에서 공개적인 반발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이상수/서울시교육청 교육정책국장 : "(학생 수 감소에 대비해) 미리 교원을 감축하게 된다면 현재 학생들이 질 높은 교육을 받지 못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고…."]
교원단체들도 교사 수를 줄이면 교육의 질이 떨어진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10개 학급 가운데 2개 가까이가 여전히 과밀 학급인 상황에서 교사가 넘쳐나는 건 아니라는 이윱니다.
최교진 교육부 장관 후보자도 세종시 교육감으로 재직하며 교원 감축을 반대해 왔습니다.
전국 최초로 초등학교 1~2학년 학급당 학생 수를 20명 이하로 책정하기도 했습니다.
[최교진/교육부 장관 후보자/2022년 3월 : "(학급당 20명 이하는) 아이들 건강과 기초학력 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에서 당연히 추진해야 할 문제인데…"]
저출생에 따른 교사 정원 감축은 거스를 수 없는 정책적 대세라는 의견도 만만치 않습니다.
새로 임명될 교육 수장 앞에 중요한 숙제가 놓여 있습니다.
KBS 뉴스 고아름입니다.
촬영기자:김재현/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최창민
-
-
고아름 기자 areum@kbs.co.kr
고아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우리 아이, 우리 미래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