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2.13 합의 시한 연장 불가피

입력 2007.04.14 (17:11)

<앵커 멘트>

북한의 2.13 합의 초기 조치 이행 시한이 오늘로 마감되면서 시한 연장이 불가피하게 됐습니다.

선결 조건 충족을 이유로 북한이 초기 조치 이행을 미루자 미국이 북한을 은근히 압박하고 나섰습니다.

김개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북한의 초기 조치 이행 시한인 오늘도 북한은 BDA에서 돈을 인출하지 않았습니다.

이와 관련해 김선경 북한 외무성 유럽담당 부국장은 평양에서 AFP와 가진 인터뷰에서 2500만 달러가 손안에 들어오는 대로 자신들의 책임을 이행할 것이라고 거듭 확인했습니다.

지금은 돈이 손 안에 없고 미국의 구두 약속만 있어서 이를 확인중이지만 2.13 합의 이행을 비관적으로 생각할 이유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당초 합의대로라면 북한은 영변 핵시설을 오늘까지 동결해야 합니다.

이처럼 북한이 초기 조치 이행 시한을 넘기자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차관보가 모처럼 강한 목소리를 냈습니다.

북한은 이제 IAEA 사찰단을 당장 초청하거나 약속 위반에 따른 대가를 치르는 것 중 하나를 택해야 한다는 겁니다.

<인터뷰>힐(미 국무부 차관보) : "북한은 2,13 합의를 통해 원하는 것을 가졌고 이제 북한은 합의를 이행해야 할 시간입니다."

북측이 2.13 합의를 이행할 준비가 돼 있다면 무엇보다 정해진 기간 내에 IAEA 사찰단을 초청하는 모습이라도 보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미 국무부도 힐 차관보의 말을 인용하면서 북한이 어떻게 행동에 옮길 지 주시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케이시 미 국무부 대변인은 북한이 당초 약속대로 시한을 지켰으면 좋았겠지만 합의가 깨진 것으로 보지는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개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뉴스 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