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지만 확인한 중대재해법 의총…정의당·시민단체 “후퇴 우려”
입력 2020.12.17 (21:39)
수정 2020.12.17 (22: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같이 반복되는 산업재해를 막기 위해, 산재 피해 유가족들은 단식까지 해가며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열쇠를 쥔 민주당은 법제정 취지에는 공감한다면서도 각론에선 의견이 분분한 모양샙니다.
김빛이라 기잡니다.
[리포트]
무제한 토론 방식으로 열린 민주당 의원총회, 중대재해법 제정의 방향을 잡아보겠다는 자리였습니다.
[이낙연/더불어민주당 대표 : "신중을 기해서 만들어야 합니다만, 또 동시에 늦어져서는 안 되는 그런 절박함도..."]
21명의 의원들이 토론에 참여했고 법 제정의 취지에는 모두 공감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중대재해가 발생하면 경영자나 사업주의 책임을 '추정'해 처벌하자는 조항에 대해선 '과도하다' 담당 공무원 처벌 조항에는 범위가 너무 넓다는 주장들이 나왔습니다.
'과잉 입법'이란 의견이었습니다.
또 다른 쟁점은 법 적용의 유예 여부.
'50인 미만 사업장'에는 적용을 4년 유예하자는 조항에 현재 정의당과 노동계가 반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강은미/정의당 원내대표 : "지난 9월까지 사고 재해 발생률은 50인 미만 사업장이 79.1%이고, 노동부에 신고된 중대 재해도 50인 미만 사업장이 84.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오늘(17일) 의총에서 이 쟁점에 대해선 깊이 있는 논의가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결국, 의지만 확인한 뒤 구체적인 논의는 상임위에 맡기겠다는 것이 결론입니다.
[백혜련/더불어민주당 법사위 간사 : "다양한 의견들이 나왔고, 최종적인 논의는 앞으로 상임위의 논의에 맡기겠다는 것이 결론적이고요."]
민주당 의총을 앞두고 국회 앞에선 세월호 참사 가족협의회 등 시민단체와 학계, 그리고 법조계도 기자회견을 열어 내실 있는 법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한목소리를 냈습니다.
[김도형/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회장 : "정말로 처벌이 과도한지, 기존 산업안전보건법 체계로 충분한지 등의 의문에 한국 사회는 정면으로 답할 의무가 있습니다."]
여야 대치 정국 속에서 소관 상임위인 법사위는 법안을 논의할 소위를 언제 열지 등도 결정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빛이랍니다.
촬영기자:최상철/영상편집:이윤진/그래픽:이희문
이같이 반복되는 산업재해를 막기 위해, 산재 피해 유가족들은 단식까지 해가며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열쇠를 쥔 민주당은 법제정 취지에는 공감한다면서도 각론에선 의견이 분분한 모양샙니다.
김빛이라 기잡니다.
[리포트]
무제한 토론 방식으로 열린 민주당 의원총회, 중대재해법 제정의 방향을 잡아보겠다는 자리였습니다.
[이낙연/더불어민주당 대표 : "신중을 기해서 만들어야 합니다만, 또 동시에 늦어져서는 안 되는 그런 절박함도..."]
21명의 의원들이 토론에 참여했고 법 제정의 취지에는 모두 공감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중대재해가 발생하면 경영자나 사업주의 책임을 '추정'해 처벌하자는 조항에 대해선 '과도하다' 담당 공무원 처벌 조항에는 범위가 너무 넓다는 주장들이 나왔습니다.
'과잉 입법'이란 의견이었습니다.
또 다른 쟁점은 법 적용의 유예 여부.
'50인 미만 사업장'에는 적용을 4년 유예하자는 조항에 현재 정의당과 노동계가 반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강은미/정의당 원내대표 : "지난 9월까지 사고 재해 발생률은 50인 미만 사업장이 79.1%이고, 노동부에 신고된 중대 재해도 50인 미만 사업장이 84.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오늘(17일) 의총에서 이 쟁점에 대해선 깊이 있는 논의가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결국, 의지만 확인한 뒤 구체적인 논의는 상임위에 맡기겠다는 것이 결론입니다.
[백혜련/더불어민주당 법사위 간사 : "다양한 의견들이 나왔고, 최종적인 논의는 앞으로 상임위의 논의에 맡기겠다는 것이 결론적이고요."]
민주당 의총을 앞두고 국회 앞에선 세월호 참사 가족협의회 등 시민단체와 학계, 그리고 법조계도 기자회견을 열어 내실 있는 법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한목소리를 냈습니다.
[김도형/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회장 : "정말로 처벌이 과도한지, 기존 산업안전보건법 체계로 충분한지 등의 의문에 한국 사회는 정면으로 답할 의무가 있습니다."]
여야 대치 정국 속에서 소관 상임위인 법사위는 법안을 논의할 소위를 언제 열지 등도 결정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빛이랍니다.
촬영기자:최상철/영상편집:이윤진/그래픽:이희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의지만 확인한 중대재해법 의총…정의당·시민단체 “후퇴 우려”
-
- 입력 2020-12-17 21:39:17
- 수정2020-12-17 22:11:45

[앵커]
이같이 반복되는 산업재해를 막기 위해, 산재 피해 유가족들은 단식까지 해가며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열쇠를 쥔 민주당은 법제정 취지에는 공감한다면서도 각론에선 의견이 분분한 모양샙니다.
김빛이라 기잡니다.
[리포트]
무제한 토론 방식으로 열린 민주당 의원총회, 중대재해법 제정의 방향을 잡아보겠다는 자리였습니다.
[이낙연/더불어민주당 대표 : "신중을 기해서 만들어야 합니다만, 또 동시에 늦어져서는 안 되는 그런 절박함도..."]
21명의 의원들이 토론에 참여했고 법 제정의 취지에는 모두 공감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중대재해가 발생하면 경영자나 사업주의 책임을 '추정'해 처벌하자는 조항에 대해선 '과도하다' 담당 공무원 처벌 조항에는 범위가 너무 넓다는 주장들이 나왔습니다.
'과잉 입법'이란 의견이었습니다.
또 다른 쟁점은 법 적용의 유예 여부.
'50인 미만 사업장'에는 적용을 4년 유예하자는 조항에 현재 정의당과 노동계가 반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강은미/정의당 원내대표 : "지난 9월까지 사고 재해 발생률은 50인 미만 사업장이 79.1%이고, 노동부에 신고된 중대 재해도 50인 미만 사업장이 84.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오늘(17일) 의총에서 이 쟁점에 대해선 깊이 있는 논의가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결국, 의지만 확인한 뒤 구체적인 논의는 상임위에 맡기겠다는 것이 결론입니다.
[백혜련/더불어민주당 법사위 간사 : "다양한 의견들이 나왔고, 최종적인 논의는 앞으로 상임위의 논의에 맡기겠다는 것이 결론적이고요."]
민주당 의총을 앞두고 국회 앞에선 세월호 참사 가족협의회 등 시민단체와 학계, 그리고 법조계도 기자회견을 열어 내실 있는 법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한목소리를 냈습니다.
[김도형/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회장 : "정말로 처벌이 과도한지, 기존 산업안전보건법 체계로 충분한지 등의 의문에 한국 사회는 정면으로 답할 의무가 있습니다."]
여야 대치 정국 속에서 소관 상임위인 법사위는 법안을 논의할 소위를 언제 열지 등도 결정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빛이랍니다.
촬영기자:최상철/영상편집:이윤진/그래픽:이희문
이같이 반복되는 산업재해를 막기 위해, 산재 피해 유가족들은 단식까지 해가며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열쇠를 쥔 민주당은 법제정 취지에는 공감한다면서도 각론에선 의견이 분분한 모양샙니다.
김빛이라 기잡니다.
[리포트]
무제한 토론 방식으로 열린 민주당 의원총회, 중대재해법 제정의 방향을 잡아보겠다는 자리였습니다.
[이낙연/더불어민주당 대표 : "신중을 기해서 만들어야 합니다만, 또 동시에 늦어져서는 안 되는 그런 절박함도..."]
21명의 의원들이 토론에 참여했고 법 제정의 취지에는 모두 공감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중대재해가 발생하면 경영자나 사업주의 책임을 '추정'해 처벌하자는 조항에 대해선 '과도하다' 담당 공무원 처벌 조항에는 범위가 너무 넓다는 주장들이 나왔습니다.
'과잉 입법'이란 의견이었습니다.
또 다른 쟁점은 법 적용의 유예 여부.
'50인 미만 사업장'에는 적용을 4년 유예하자는 조항에 현재 정의당과 노동계가 반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강은미/정의당 원내대표 : "지난 9월까지 사고 재해 발생률은 50인 미만 사업장이 79.1%이고, 노동부에 신고된 중대 재해도 50인 미만 사업장이 84.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오늘(17일) 의총에서 이 쟁점에 대해선 깊이 있는 논의가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결국, 의지만 확인한 뒤 구체적인 논의는 상임위에 맡기겠다는 것이 결론입니다.
[백혜련/더불어민주당 법사위 간사 : "다양한 의견들이 나왔고, 최종적인 논의는 앞으로 상임위의 논의에 맡기겠다는 것이 결론적이고요."]
민주당 의총을 앞두고 국회 앞에선 세월호 참사 가족협의회 등 시민단체와 학계, 그리고 법조계도 기자회견을 열어 내실 있는 법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한목소리를 냈습니다.
[김도형/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회장 : "정말로 처벌이 과도한지, 기존 산업안전보건법 체계로 충분한지 등의 의문에 한국 사회는 정면으로 답할 의무가 있습니다."]
여야 대치 정국 속에서 소관 상임위인 법사위는 법안을 논의할 소위를 언제 열지 등도 결정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빛이랍니다.
촬영기자:최상철/영상편집:이윤진/그래픽:이희문
-
-
김빛이라 기자 glory@kbs.co.kr
김빛이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시리즈
일하다 죽지 않게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