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완의 산재 노동자와 유족을 만나다
입력 2020.12.24 (21:39)
수정 2020.12.24 (22: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 17일부터 어제(23일)까지 일주일, 일터에서 노동자 16명이 숨졌습니다.
노동건강연대와 KBS가 집계한 결과입니다.
안전하고, 노동자가 존중받는 일터를 위해 우리 헌법은 '노조할 권리'를 보장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권리를 행사하다 불이익 받는 경우 적지 않습니다.
어제 전해드렸듯 LG트윈타워 청소노동자들, 노조를 만들어 처우 개선을 요구하다 전원 해고 통보를 받았는데요.
일부 시민들이 이들에게 힘을 보태기 시작했습니다.
성탄 선물을 보내는가 하면, 식권값을 후원하는 '한끼 연대'에는 일 주일 만에 2천 3백만 원이 모였습니다.
이런 연대와 나눔이 일터를 바꿀 수 있을까요?
KBS 연속보도 <일하다 죽지않게>, 오늘(24일)은 산재 피해자들이 국경을 넘어 연대하는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허효진 기잡니다.
[리포트]
삼성전자 LCD공장에서 일하다 뇌종양에 걸린 한혜경 씨,
화상으로 특별한 손님을 만났습니다.
["안녕하세요."]
타이완 전자 기업에서 일하다 유산의 아픔을 겪은 두진주 씨와 건설현장에서 남편을 잃은 유족 리메이쥐 씨입니다.
[두진주/전자기업 산재 노동자 : "회사가 오염시킨 지하수와 공기에 노출된 탓에 많은 동료들은 유산, 사산, 암 (등에 걸렸습니다)."]
산업 재해로 큰 아픔을 겪은 이들의 공통 관심사는 더 건강하고 더 나은 일터 만들기입니다.
실제로 두진주 씨와 리메이쥐 씨는 타이완에서 산재 입증 책임을 노동자에서 기업으로 전환시킨 산재노동자보호법을 이끌어내는 데 힘을 보태기도 했습니다.
[리메이쥐/건설노동자 산재 유족 : "우리가 해 온 것은 산재 피해 노동자와 유족들이 자신의 피해 경험을 바탕으로 법을 만들게 해서 향후 노동자들의 운명을 바꾸게 한 것입니다."]
한혜경 씨도 10년 동안의 긴 싸움 끝에 산재 인정을 받아낸 소감을 나눴습니다.
[한혜경/삼성 LCD 산재 노동자 : "(산재 인정 받고 나서) 기쁘고 또 슬픈 마음이 들었고요. 산재 인정 받은 건 당연히 (됐어야 하는 일인데)."]
최근 노동계가 요구하고 있는 중대재해기업처벌법에 대한 관심도 각별합니다.
[김시녀/한혜경 씨 어머니 : "국회 앞에는 산업재해가족들이 단식농성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천4백km나 떨어진 곳에서 서로를 위로하고 마음을 나눈 한국과 타이완의 산재노동자.
더이상 노동자가 일터에서 목숨을 잃지 않는 세상을 바라며 다음 만남을 기약합니다.
[타이완 측 : "혜경 씨 힘내시고 정말 용감한 분이라고 생각합니다."]
[한혜경 : "진짜 잘됐으면 좋겠어요."]
KBS 뉴스 허효진입니다.
촬영기자:임태호/영상편집:김근환/화면제공:타이완산재피해자협회
지난 17일부터 어제(23일)까지 일주일, 일터에서 노동자 16명이 숨졌습니다.
노동건강연대와 KBS가 집계한 결과입니다.
안전하고, 노동자가 존중받는 일터를 위해 우리 헌법은 '노조할 권리'를 보장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권리를 행사하다 불이익 받는 경우 적지 않습니다.
어제 전해드렸듯 LG트윈타워 청소노동자들, 노조를 만들어 처우 개선을 요구하다 전원 해고 통보를 받았는데요.
일부 시민들이 이들에게 힘을 보태기 시작했습니다.
성탄 선물을 보내는가 하면, 식권값을 후원하는 '한끼 연대'에는 일 주일 만에 2천 3백만 원이 모였습니다.
이런 연대와 나눔이 일터를 바꿀 수 있을까요?
KBS 연속보도 <일하다 죽지않게>, 오늘(24일)은 산재 피해자들이 국경을 넘어 연대하는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허효진 기잡니다.
[리포트]
삼성전자 LCD공장에서 일하다 뇌종양에 걸린 한혜경 씨,
화상으로 특별한 손님을 만났습니다.
["안녕하세요."]
타이완 전자 기업에서 일하다 유산의 아픔을 겪은 두진주 씨와 건설현장에서 남편을 잃은 유족 리메이쥐 씨입니다.
[두진주/전자기업 산재 노동자 : "회사가 오염시킨 지하수와 공기에 노출된 탓에 많은 동료들은 유산, 사산, 암 (등에 걸렸습니다)."]
산업 재해로 큰 아픔을 겪은 이들의 공통 관심사는 더 건강하고 더 나은 일터 만들기입니다.
실제로 두진주 씨와 리메이쥐 씨는 타이완에서 산재 입증 책임을 노동자에서 기업으로 전환시킨 산재노동자보호법을 이끌어내는 데 힘을 보태기도 했습니다.
[리메이쥐/건설노동자 산재 유족 : "우리가 해 온 것은 산재 피해 노동자와 유족들이 자신의 피해 경험을 바탕으로 법을 만들게 해서 향후 노동자들의 운명을 바꾸게 한 것입니다."]
한혜경 씨도 10년 동안의 긴 싸움 끝에 산재 인정을 받아낸 소감을 나눴습니다.
[한혜경/삼성 LCD 산재 노동자 : "(산재 인정 받고 나서) 기쁘고 또 슬픈 마음이 들었고요. 산재 인정 받은 건 당연히 (됐어야 하는 일인데)."]
최근 노동계가 요구하고 있는 중대재해기업처벌법에 대한 관심도 각별합니다.
[김시녀/한혜경 씨 어머니 : "국회 앞에는 산업재해가족들이 단식농성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천4백km나 떨어진 곳에서 서로를 위로하고 마음을 나눈 한국과 타이완의 산재노동자.
더이상 노동자가 일터에서 목숨을 잃지 않는 세상을 바라며 다음 만남을 기약합니다.
[타이완 측 : "혜경 씨 힘내시고 정말 용감한 분이라고 생각합니다."]
[한혜경 : "진짜 잘됐으면 좋겠어요."]
KBS 뉴스 허효진입니다.
촬영기자:임태호/영상편집:김근환/화면제공:타이완산재피해자협회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타이완의 산재 노동자와 유족을 만나다
-
- 입력 2020-12-24 21:39:17
- 수정2020-12-24 22:07:02

[앵커]
지난 17일부터 어제(23일)까지 일주일, 일터에서 노동자 16명이 숨졌습니다.
노동건강연대와 KBS가 집계한 결과입니다.
안전하고, 노동자가 존중받는 일터를 위해 우리 헌법은 '노조할 권리'를 보장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권리를 행사하다 불이익 받는 경우 적지 않습니다.
어제 전해드렸듯 LG트윈타워 청소노동자들, 노조를 만들어 처우 개선을 요구하다 전원 해고 통보를 받았는데요.
일부 시민들이 이들에게 힘을 보태기 시작했습니다.
성탄 선물을 보내는가 하면, 식권값을 후원하는 '한끼 연대'에는 일 주일 만에 2천 3백만 원이 모였습니다.
이런 연대와 나눔이 일터를 바꿀 수 있을까요?
KBS 연속보도 <일하다 죽지않게>, 오늘(24일)은 산재 피해자들이 국경을 넘어 연대하는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허효진 기잡니다.
[리포트]
삼성전자 LCD공장에서 일하다 뇌종양에 걸린 한혜경 씨,
화상으로 특별한 손님을 만났습니다.
["안녕하세요."]
타이완 전자 기업에서 일하다 유산의 아픔을 겪은 두진주 씨와 건설현장에서 남편을 잃은 유족 리메이쥐 씨입니다.
[두진주/전자기업 산재 노동자 : "회사가 오염시킨 지하수와 공기에 노출된 탓에 많은 동료들은 유산, 사산, 암 (등에 걸렸습니다)."]
산업 재해로 큰 아픔을 겪은 이들의 공통 관심사는 더 건강하고 더 나은 일터 만들기입니다.
실제로 두진주 씨와 리메이쥐 씨는 타이완에서 산재 입증 책임을 노동자에서 기업으로 전환시킨 산재노동자보호법을 이끌어내는 데 힘을 보태기도 했습니다.
[리메이쥐/건설노동자 산재 유족 : "우리가 해 온 것은 산재 피해 노동자와 유족들이 자신의 피해 경험을 바탕으로 법을 만들게 해서 향후 노동자들의 운명을 바꾸게 한 것입니다."]
한혜경 씨도 10년 동안의 긴 싸움 끝에 산재 인정을 받아낸 소감을 나눴습니다.
[한혜경/삼성 LCD 산재 노동자 : "(산재 인정 받고 나서) 기쁘고 또 슬픈 마음이 들었고요. 산재 인정 받은 건 당연히 (됐어야 하는 일인데)."]
최근 노동계가 요구하고 있는 중대재해기업처벌법에 대한 관심도 각별합니다.
[김시녀/한혜경 씨 어머니 : "국회 앞에는 산업재해가족들이 단식농성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천4백km나 떨어진 곳에서 서로를 위로하고 마음을 나눈 한국과 타이완의 산재노동자.
더이상 노동자가 일터에서 목숨을 잃지 않는 세상을 바라며 다음 만남을 기약합니다.
[타이완 측 : "혜경 씨 힘내시고 정말 용감한 분이라고 생각합니다."]
[한혜경 : "진짜 잘됐으면 좋겠어요."]
KBS 뉴스 허효진입니다.
촬영기자:임태호/영상편집:김근환/화면제공:타이완산재피해자협회
지난 17일부터 어제(23일)까지 일주일, 일터에서 노동자 16명이 숨졌습니다.
노동건강연대와 KBS가 집계한 결과입니다.
안전하고, 노동자가 존중받는 일터를 위해 우리 헌법은 '노조할 권리'를 보장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권리를 행사하다 불이익 받는 경우 적지 않습니다.
어제 전해드렸듯 LG트윈타워 청소노동자들, 노조를 만들어 처우 개선을 요구하다 전원 해고 통보를 받았는데요.
일부 시민들이 이들에게 힘을 보태기 시작했습니다.
성탄 선물을 보내는가 하면, 식권값을 후원하는 '한끼 연대'에는 일 주일 만에 2천 3백만 원이 모였습니다.
이런 연대와 나눔이 일터를 바꿀 수 있을까요?
KBS 연속보도 <일하다 죽지않게>, 오늘(24일)은 산재 피해자들이 국경을 넘어 연대하는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허효진 기잡니다.
[리포트]
삼성전자 LCD공장에서 일하다 뇌종양에 걸린 한혜경 씨,
화상으로 특별한 손님을 만났습니다.
["안녕하세요."]
타이완 전자 기업에서 일하다 유산의 아픔을 겪은 두진주 씨와 건설현장에서 남편을 잃은 유족 리메이쥐 씨입니다.
[두진주/전자기업 산재 노동자 : "회사가 오염시킨 지하수와 공기에 노출된 탓에 많은 동료들은 유산, 사산, 암 (등에 걸렸습니다)."]
산업 재해로 큰 아픔을 겪은 이들의 공통 관심사는 더 건강하고 더 나은 일터 만들기입니다.
실제로 두진주 씨와 리메이쥐 씨는 타이완에서 산재 입증 책임을 노동자에서 기업으로 전환시킨 산재노동자보호법을 이끌어내는 데 힘을 보태기도 했습니다.
[리메이쥐/건설노동자 산재 유족 : "우리가 해 온 것은 산재 피해 노동자와 유족들이 자신의 피해 경험을 바탕으로 법을 만들게 해서 향후 노동자들의 운명을 바꾸게 한 것입니다."]
한혜경 씨도 10년 동안의 긴 싸움 끝에 산재 인정을 받아낸 소감을 나눴습니다.
[한혜경/삼성 LCD 산재 노동자 : "(산재 인정 받고 나서) 기쁘고 또 슬픈 마음이 들었고요. 산재 인정 받은 건 당연히 (됐어야 하는 일인데)."]
최근 노동계가 요구하고 있는 중대재해기업처벌법에 대한 관심도 각별합니다.
[김시녀/한혜경 씨 어머니 : "국회 앞에는 산업재해가족들이 단식농성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천4백km나 떨어진 곳에서 서로를 위로하고 마음을 나눈 한국과 타이완의 산재노동자.
더이상 노동자가 일터에서 목숨을 잃지 않는 세상을 바라며 다음 만남을 기약합니다.
[타이완 측 : "혜경 씨 힘내시고 정말 용감한 분이라고 생각합니다."]
[한혜경 : "진짜 잘됐으면 좋겠어요."]
KBS 뉴스 허효진입니다.
촬영기자:임태호/영상편집:김근환/화면제공:타이완산재피해자협회
-
-
허효진 기자 her@kbs.co.kr
허효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시리즈
일하다 죽지 않게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